• 제목/요약/키워드: Debris flow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5초

토석류의 거동 특성 및 유발강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Triggering Rainfall of Debris Flow)

  • 장창봉;최영남;유남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3-2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강원도 영서와 인접지역에서 토석류가 발생한 지역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구축한 D/B를 바탕으로 토석류의 거동 및 강우특성을 조사하였다. 사면형과 계곡형의 토석류 종류에 따라 발생부, 유하부, 퇴적부로 구별되는 토석류 진행구간에 대해 토석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발생부 및 유하부의 침식 상태를 고려하여 토석류 규모를 산정하였다. 토석류 발생 당시의 강우자료 분석을 통해 토석류 유발 강우 기준에 대한 선행연구와 비교 분석하여 예경보 기준 정립에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사지역에 적합한 토석류 유발강우 ID 곡선을 제안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계곡형 토석류가 발생한 급경사 신기 계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teep Shingi Gully with Channelized Debris Flows)

  • 박상덕;김용현;함광현;손상진;나락스메이;김남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26
    • /
    • 2021
  • In mountain gully, channelized debris flow is an important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topographical change. Social infrastructure as roads may be damaged by channelized debris flows, but there has been little information about their occurrence and movement to prepare for the risk of the debris flow. Most of the channelized debris flows occur during heavy rains in mountainous valley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so there are not many field data. In this study,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tchment, the rainfall and runoff related to the debris flow, the sedimentary pattern and the cross-sectional change of the channel bed, and the underflow velocity of the gravel bed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the Singi gully where the channelized debris flows occurred. In the catchment, there was almost no sediment runoff because the vegetation combine with the debris landforms and covered the surface. Therefore, the obvious cause of the channelized debris flows is the collapse of the slope and bed of the gully. Even if the gravel, cobbles, and boulders of the channel bed were lost by debris flow, the thalweg change due to debris flow may not be significant because they are supplied from the gully side slope normally. After the gabion structures were installed, the debris flow increased the thalweg change, bed erosion and side slope of the gully. Various sedimentary structures in the gull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actors supporting the sedimentation. The hypsometric curve of the gully reflects the debris landforms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and the sediment runoff due to debris flow, etc.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velocity and the hydraulic gradient was non-linear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orous medium with gully bed gravels is saturated with water. These results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channelized debris flow research.

홍수시 유송잡물 이동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vemen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ebris Accumulation at Flood)

  • 오채연;전계원;윤영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07-710
    • /
    • 2008
  • Recently, a rivers' bridge that locate on among the mountains area is destroyed by debris accumulation and debris flow, because of frequent occurrence of typhoon and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therefore a river make a part of dam's effect. Actually, this situation gives damages like inundation of a bridge upper stream area's. Generally, It the main cause of the occurrence route of the debris accumulation is that outbreaks of driftwood and debris flow because of landslide, that occurred by severe rain storm. Also, a lot of debris are occurred when big flood come up during long period at this time, this kind of debris accumulation remove to other place, in several, and specially, debris accumlation move to the place where the depth of water is deep and velocity is fast river center. According to these kind of fact, this research put in effect and analyze that movement characteristic's numerical simulations of debris accumulation at flood according to a domestic outside literature investigation, on-site monitoring survey and parameter scenario which comes out through the hydraulic modeling analysis.

  • PDF

유량과 지형조건에 따른 Flo-2D에서의 토석류 확산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Debris Flow Simulation in Flo-2D Using Flow Discharge and Topographic Information)

  • 김남균;전병희
    • 지질공학
    • /
    • 제32권4호
    • /
    • pp.547-558
    • /
    • 2022
  • 2020년 8월 집중호우로 인하여 전라남도 곡성지역에 토석류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는 재난이 발생하였다. 이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사진 측량을 통해 0.03 m의 고해상도 지형정보를 구축하고 토사의 붕괴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Flo-2D를 이용하여 토석류의 유량과 지형정보의 차이에 따라 유동심, 유속, 확산면적에 대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량이 높아질수록 토석류의 유동심, 유속, 확산면적이 높아지며 고해상도 지형정보와 저해상도 지형정보와의 결과 차이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해상도의 지형정보를 적용하였을 때 실제의 토석류 흐름방향과 유사하게 계산되어 고해상도 지형정보의 적용이 토석류 해석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결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추가로 항복응력과 점성과 같은 지질정보에 대해 고려하면 전반적으로 실제 토석류의 확산 정보보다 작게 계산된 결과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내 모형실험을 통한 토석류 퇴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Using Small-scaled Laboratory Test)

  • 장형준;유국현;이호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5-33
    • /
    • 2021
  • 본 연구는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파악하고 소단을 설치함에 따른 토석류 피해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양한 수로경사 및 토사체적농도를 고려하여 수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소단 설치에 따른 토석류 피해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소단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소단을 설치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의 퇴적 특성 중 도달거리, 총 이동거리 및 이동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수로경사 변화에 따른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토사체적농도 변화에 따른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단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기준으로 소단을 설치한 경우의 퇴적 특성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수로경사와 토사체적농도가 토석류의 퇴적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면에 소단을 설치할 경우 토석류의 도달거리와 이동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총 이동거리가 증가하였다. 이는 소단을 설치하는 것이 토석류의 이동을 지연시키고, 토석류의 잠재적인 이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 소단의 설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토석류 차단시설의 도로적용 설계 방안 (Applicable Road Design Method of Debris-Flow Control Structure)

  • 이용수;김진환;유준;정하익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243-246
    • /
    • 2009
  • Localized rainfall due to abnormal climate has caused extensive damages killing several tens to hundreds of people for yearly basis. The typhoon 'Lusa' of year 2002 has resulted 5,400 billion won of property damage and the damages for roads were approximated to be 2,860 billion won at 12,377 locations holding 53% damage of total. The recent typhoon, 'Aewinia' of yeat 2006 caused the 1,400 billion-won property damage including sweeping and flooding of 127 roads and 65 rivers, respectively. There are needs to minimize the damages for important structures for repeated heavy rainfalls every year and, especially, because debris flow might be a main cause of road damage, the design criteria and guideline for roads are required to be improved. Therefore, this paper presented design method of debris-flow control structure for road protection.

  • PDF

토사재해 위험지역의 구조적 대안 설정을 위한 사태물질 초기 질량분포 및 방어시설물 형상의 영향 분석 (Analysis of Initial Mass Distribution and Facility Shape to Determine Structural Alternative for Hazardous Zone Vulnerable to Debris Flow Disaster)

  • 성주현;오승명;정영훈;변요셉;송창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6-82
    • /
    • 2016
  • A 2-D hydrodynamic model for predicting the movement of debris flow was developed. The developed model was validated against a dam break flow problem conducted in EU CADAM project, and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shown to be satisfactory. In order to suggest structural alternative for hazardous zone vulnerable to debris flow disaster, two types of initial mass distribution and two shapes of defensive structure were considered. It was found that 1) the collapse of debris mass initiated with square pyramid shape induced more damage compared with that of cubic shape; and 2) a defensive structure with semi-circular shape was vulnerable to debris flow disaster in terms of debris control or primary defense compared with that of rectangular-shaped structure.

항공 Lidar 자료와 지형복원기법을 이용한 토석류 토사변화 공간분포 추정 (Estimation of Spatial Soil Distribution Changed by Debris Flow using Airborne Lidar Data and the Topography Restoration Method)

  • 우충식;윤호중;이창우;이규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20-27
    • /
    • 2012
  • 토석류 발생으로 유출된 토사량은 발생 전 후의 항공 Lidar 지형자료의 차이로부터 간단히 추정할 수 있지만, 토석류는 산지에서 발생하고 항공 Lidar 자료는 주로 도시지역에 집중되어있어 토석류의 발생이전 정밀지형자료를 이용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우충식(2011)은 토석류 발생이후 촬영된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이전의 지형을 추정할 수 있는 지형복원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지역인 인제, 봉화, 제천지역에 지형복원기법을 적용하여 RMSE가 0.16~0.34 m인 토석류 발생전 지형자료를 제작하였다. 또한 토석류 발생 전 후의 토사변화량을 분석하였고, 토석류 유동시 나타나는 침식, 유하, 퇴적작용의 공간분포와 하류에 실제 유출된 토사량을 추정하였다.

FLO-2D를 이용한 고속도로에서의 토석류 거동 모델링 (Modeling for Debris Flow Behavior on Expressway Using FLO-2D)

  • 임재태;김병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2호
    • /
    • pp.263-272
    • /
    • 2019
  • 본 연구는 실제 고속도로 인접지역에서 발생한 토석류를 대상으로 고속도로에서의 토석류 거동을 FLO-2D 모형을 적용하여 재현함으로써, 고속도로에서의 토석류 영향 해석에 대한 FLO-2D 모형의 활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2005년 8월 집중호우로 토석류가 발생하여 24시간 동안 교통이 차단된 대전-진주간 고속도로의 덕유산 휴게소구간으로 선정하였다. 발생 토석류에 대한 현장조사 및 토성 시험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GIS를 이용한 지형분석, HEC-HMS를 이용한 수문분석, 그리고 토석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FLO-2D 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을 통한 최적 매개변수 조합을 선정한 후, FLO-2D 모형을 적용한 토석류 거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모형의 예측치와 실측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고속도로에서 토석류 거동해석을 위한 FLO-2D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비선형 점성유체의 다상유동 모형을 이용한 토석류 전산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DEBRIS FLOW USING MULTIPHASE AND NON-NEWTONIAN FLUID MODEL)

  • 이승수;황규관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5-102
    • /
    • 2017
  • Debris flow is a composition of solid objects of various sizes, suspension and water, which occurs frequently as the results of landslide following heavy rainfall. This often causes extensive damage in the form of socio-economic losses and casualties as witnessed during the incident around Mt. Umyeon, Seoul in 2011. There have been numerous investigation to mitigate the impacts from debris flow; however, the estimation as preparedness measure has not been successful due to nonlinear and multiphase characteristics of phenomena both in material and process inherent in the debris flow. This study presents a numerical approach to simulate the debris flow using open source code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OpenFOAM with non-Newtonian viscosity model for three phase material modeling. In order to validate the proposed numerical method, the quantitative evaluations were made by comparisons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was carried for the case of debris flow in the actual incident from Mt. Um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