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bates upon Social Econom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사회적경제 고찰 : 정의, 범주 그리고 몇 가지 쟁점들 (Definitions, Categories, and Several Debating Points of Social Economy)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121-126
    • /
    • 2022
  • 이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과학계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주제인 사회적경제를 개괄한 후 사회적경제를 둘러싼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사회적경제의 개념정의가 이루어 질 것이다. 국제기관과 국내외 사회적경제 전문 연구자들의 개념정의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본 후, 사회적경제의 범주에 대한 논의까지 진행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경제에 대한 논의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국내 사회적경제의 역사적 발전경로와 범주 및 유형들이 다루어 질 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의 핵심주제인 사회적경제 관련 쟁점들을 다룬다. 사회적경제 관련 쟁점은 크게 다섯 가지 정도 이며 사회적경제의 고용창출효과 존재 여부, 사회적경제와 복지국가와의 관계 설정,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 사회적경제와 시민사회와의 관계 설정 문제,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회적경제와 기본소득간의 관계가 다루어진다.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에 관심을 가진 전문 연구자들에게 사회적경제란 무엇이며 사회적경제에 대한 연구가 실제 시장자본주의체제속에서 어떠한 거시사회학적 함의를 갖는지를 고민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수산업에 대한 국가 역할: 헌법의 정치경제학적 의미와 해석 (National Roles of Fisheries: Political-Economic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 박성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244-260
    • /
    • 2006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national roles of fisheries in the global economy from the constitutional view point. Globalization provides general firms and businessmen with great opportunities that allow them to be able to plan and operate their business strategies beyond the national boundaries. WTO and FTA negotiations must be important facilitators of such globalization. However, Korean primary industries like fisheries under comparative disadvantage have a high probability that there may have to be the trade-offs between the primary and the industrial sector to maximize national benefits in the process of bilateral and/or multilateral international trade deals. Since, moreover, fishermen face strong binding constraints under which they hardly carry out fishing operations standing aloof from national boarders, they have to manage fishing businesses within their own national territory, to maintain and develop fisheries culture, and to explore their own destiny for themselves. Because of such reasons, the constitution imposes upon the State the duty to support and develop fisheries and fishing villages. Considering its article and spirit associated with fisheries(i.e. article 123), it seems unnecessary at this point in time that Korean society makes debates over national consensus for supporting fisheries. The reason is because the explicit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do not allow their arbitrary interpretation depending upon interests or policy situations. However, where national support to the particular sector could not meet the expected social value system, there would be a great deal of chance to invite serious societal debates over such national commitment to the fisheries. Therefore, whether using it efficiently and realizing the socially expected policy goals must be a responsibility of both fisheries administration and fishing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