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adlock Preven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Reviewing And Analysis of The Deadlock Handling Methods

  • El-Sharawy, Enas E.;Ahmed, Thowiba E;Alshammari, Reem H;Alsubaie, Wafaa;Almuhanna, Norah;Alqahtani, Asm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230-236
    • /
    • 2022
  • Objectives: The primary goal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the multiple algorithms used for deadlock handling methods and then outline the common method in deadlock handling methods. Methods: The article methodology begins with introducing a literature review studying different algorithms used in deadlock detection and many algorithms for deadlocks prevented, recovered, and avoided. Discussion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review were done to classify and compare the studied algorithms.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adlock detection method solves the deadlock. As soon as the real-time deadlock detection algorithm is identified and indicated, it performs better than the non-real-time deadlock detection algorithm. Our novelty the statistics that we get from the percentages of reviewing outcomes that show the most effective rate of 47% is in deadlock prevention. Then deadlock detection and recovery with 28% finally, a rate of 25% for deadlock avoidance.

유연 공정 라우팅에서의 고착 탐지 및 해결 (Deadlock Detection and Resolution for Flexible Job Routing)

  • 임동순;우훈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3권58호
    • /
    • pp.49-58
    • /
    • 2000
  • In order to resolve a deadlock problem in manufacturing systems, three main methods have been proposed-prevention, avoidance, and recovery. The prevention and avoidance methods require predicting deadlocks in advance in order to prohibit them. In contrast, the recovery method allows a system to enter a deadlock state, then resolves it usually using a common buffer. In this paper, a deadlock recovery method considering the impact of flexible job routings is proposed. This method is based on capacity-designated directed graph (CDG) model representing current requesting and occupying relations between Jobs and resources in order to detect a deadlock and then recovers it.

  • PDF

Siphon 특성을 이용한 FMS의 Deadlock 해석과 제어 (Deadlock Analysis and Control of FMS's Using Siphon property)

  • 김정철;김진권;황형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677-682
    • /
    • 2007
  • Concurrent competition for finite resources by multiple parts in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FMS's) and inappropriate initial marking or net structure of Petri net with share resources results in deadlock. This is an important issue to be addressed in the operation of the systems. Deadlock is a system state so that some working processes can never be finished. Deadlock situation is due to a wrong resource allocation policy. In fact, behind a deadlock problem there is a circular wait situation for a set of resources. Deadlock can disable an entire system and make automated operation impossible. Particularly, an unmanned system cannot recover from such a status and a set of jobs waits indefinitely for never-to-be-released resource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eadlock prevention method using siphon and trap of Petri net. It is based on potential deadlock which are siphon that eventually became empty. This method prevents the deadlock by the control of transition fire and initial marking in the Petri net. An given example of FMS is shown to illustrate our results with deadlock-free.

동적 재구성 환경에서 교착상태를 예방하기 위한 오차 시간 메시지 브로드캐스트 기법 연구 (Error Time Message Broadcast Method to Prevent Deadlock in Dynamic Reconfiguration Environment)

  • 신현준;김성진;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31-2136
    • /
    • 2016
  • 산업 4.0 이전의 많은 제조 방식들이 단순히 생산 라인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산업 4.0은 생산 설비 스스로 작업 방식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FMS, AMS, MAS 등의 제조 방식들이 발전하여 왔으나, 이러한 제조방식들은 기계, agent, 자원 공유 등의 이유로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사람의 개입으로 인해 제조 방식이 동적으로 재구성되는 상황에서 발생되는 교착상태를 방지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으로 재구성되는 상황의 모델을 제시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교착상태를 방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사람이 개입한 기계의 제조 시간이 변경될 경우 주변 기계들에게 오차 시간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생산 제조 시간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생산 라인의 상황이 변화하더라도 교착상태는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일반화된 철학자 만찬 문제의 교착상태 예방 알고리즘 (Algorithm for Deadlock Prevention of Generalized Philosophers' Dining Problem)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3-78
    • /
    • 2023
  •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는 5명의 철학자(프로세서)들이 원형 탁자에 둘러 앉아 함께 스파게티(또는 국수) 식사를 하는데 있어 자신의 양쪽에 있는 젓가락(자원) 한 쌍(2개)을 모두 가져야만 식사가 가능한 경우로 모든 철학자가 우측의 젓가락 1개씩 모두 가진 경우 아무도 식사를 못하는 교착상태(deadlock)를 해결하는 문제이다. 교착상태는 병행 시스템(concurrent system)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로 현행 운영체제(OS)에서는 이를 예방하는 방법은 채택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2≤n≤∞의 모든 프로세서들이 다중 병행(parallel concurrency)처리 능력을 갖고 있는 OS에서 교착상태를 전혀 유발하지 않는 묘책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n/2⌋개의 홀수 프로세서들이 그룹을 형성하여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으로 실행이 종료되면 다음 프로세서로 우측 이동(shift right)시키는 그룹 라운드-로빈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은 1-라운드의 모든 프로세서를 실행시키려면 짝수 프로세서인 경우 2회, 홀수 프로세서는 3회를 수행하면 되고, n회를 수행하면 짝수 프로세서인 경우는 n/2회, 홀수 프로세서는 (n-1)/2회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분산시스템에서 데드락 예방을 위한 데이터 우선순위 상속 알고리즘 (Data Priority-Inheritance Algorithm for Deadlock Prevention in distributed System)

  • 노치환;서창석;이병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06-111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트랜잭션 순서화 기법중 데이터 우선순위 알고리즘(DPLP: Data-Priority Based Locking Potocol)의 높은 재시작 비율을 낮추고, 시스템의 처리 효율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트랜잭션을 일정한 크기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같은 그룹에 있는 트랜잭션은 선점권을 인정함으로써 자원을 점유하고 있는 트랜잭션에게 우선순위를 상속하여 트랜잭션의 재시작 비율을 낮춘다. 낮은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장시간 잠금(lock)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룹 우선순위를 적용한다. 상속에 의한 데드락 방지를 위해서 충돌전에 다른 데이터의 잠금여부를 검사한다.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으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기존의 기법들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성능 비교 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우선순위 상속 알고리즘이 기존의 상속 알고리즘과 데이터 우선순위 알고리즘 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도심지 대심도 터널건설에 따른 갈등분석 및 대책 (Conflict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due to construction of very-deep tunnels in urban area)

  • 문준식;전기찬;김영근;문훈기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371-384
    • /
    • 2021
  • 지하공간의 개발, 특히 도심지 대심도 터널은 지상의 부족한 공간을 대체할 수 있는 건설사업으로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복잡하고 장시간이 걸리는 설계 및 시공특성, 장대화 특성 등으로 인하여 관련 공공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양상이 복잡해지고 있다. 또한, 주로 공적인 예산이 투입되므로 민원발생 시 소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져 갈등이 증폭되거나 교착이 장기화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도심지 대심도 터널 시공관련 주요 갈등의 진행상황을 분석하여 갈등 발생 원인, 장기화 요인 및 해결방안 등을 검토하고, 일반시민과 터널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대심도 터널건설에 대한 인식, 주요 갈등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도심지 대심도 터널의 갈등 최소화를 위한 제언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도심지 대심도 터널건설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다각적인 홍보방안 및 사업추진 절차의 개선사항 등 대안을 수립하고 터널 건설관련 인식 제고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