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ad area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22초

한라산(영실) 장기생태연구(LTER) 조사지 구상나무 숲 식생 변화 (Vegetation Change of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of Abies koreana Forests in Hallasan Mountain (Yeongsil Area))

  • 송국만;김재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2
    • /
    • 2018
  • 본 연구는 한라산 영실 지역의 구상나무 숲에서 식생구조와 종다양성 지수의 변화를 분석하여 장기생태연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1ha당 목본식물은 1,781개체에서 804개체(45.1%)가 증가한 2,585개체였으며, 살아 있는 구상나무는 796개체로 큰 변화는 없었지만 죽은 개체는 190개체에서 312개체로 122개체(64.2%)가 증가하였다. 기타 수종은 살아있는 개체가 982개체에서 1,789개체로 807개체(82.2%)가 증가했으며, 죽은 개체는 10개체에서 31개체가 증가한 41개체였다, 평균 중요도지수 분석결과 상층 구상나무는 감소하였고, 하층 병꽃나무, 산철쭉, 함박꽃나무는 증가하였다. 종다양도는 최대종다양도 대비 상층 6.7%, 하층 7.2%가 증가하였다. 줄기 형태 분석결과 구상나무는 AS형이 70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AS형>AL형>DS형>DB형에서 AS형>DS형>AL형>DB형으로 변하였다. 기타 수종은 AS형이 1,58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AL형>AS형>AF형>AB형에서 AS형>AL형>AB형> AD형으로 변경되었다. 치수 발생 변화는 2014년에 420개체에서 2016년 453개체로 증가하였다. 2014년에 살아있던 개체 중에서 23개체는 죽었으며, 3년생 미만의 새로운 개체가 33개체 새롭게 발생하였다. 2014년 이후 죽은 치수와 새롭게 발생한 치수는 2년생 치수가 가장 많았다. 영실 구상나무 숲은 구상나무의 고사목과 구상나무를 제외한 기타 수종의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치수발생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식생구조의 변화가 빠르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식생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속적인 장기 생태연구가 필요하고 효율적인 자생지 복원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다.

The effect of bonded resin surface area on the detachment force of lingual bonded fixed retainers: An in vitro study

  • Lee, Il-Hong;Lee, Jung-Hwan;Park, In-Young;Kim, Ji-Hyun;Ahn, Jang-H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0-27
    • /
    • 2014
  •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achment force and bonding resin surface are and to determine the resin bonding surface area that would provide adequate bonding strength with minimum resin volume. Methods: One hundred and sixty human pre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of 40 teeth each. The diameter of the resin surface area in each group was as follows: group 1, 1.5 mm; group 2, 2.5 mm; group 3, 3.5 mm; and group 4, 4.5 mm. Respond Dead Soft straight (length 0.0175 inch) was used to fabricate the retainers, and $Transbond^{TM}$ XT was used to fix the retainers to the tooth surfaces. A pair of teeth was embedded in acrylic blocks for each specimen. Thus, each group comprised 20 samples. Fixed retainers were bonded to the teeth, and vertical force was applied at the middle of wire. The force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Results: The mean value of detachment force was the highest for group 4 ($102.38{\pm}2.92N$), followed by group 3 ($63.54{\pm}2.21N$), group 2 ($51.95{\pm}1.61N$), and group 1 ($24.14{\pm}1.38N$). Conclusions: The detachment force of lingual fixed retainers was significantly affected as the area of the resin bonding surface increased. Considering the minimum bonding strength of brackets, a resin bonding surface area with a diameter of 3.5 mm would provide adequate bonding strength.

서울 입정동 일대 도시조직의 적응 유형 (Adaptation Types of Urban Tissue in Ipjeong-dong Area, Seoul)

  • 우동선;조윤오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7호
    • /
    • pp.99-10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daptation types of urban tissue in Ipjeong-dong area, Seoul. Ipjeong-dong area has urban tissue those were made during Joseon dynasty and this is remaining even in the present time. This area was originally urban hanok residential districts till late 1950s. However, it has changed into machinery manufacture business area after demolition of Cheonggyechon shantytown. After several workshops and stores moved in this area, manufacturer and merchants required for more spaces due to lack of room for machinery. To place more workshops in the block, lot alteration were happened and accessibility to workshops inside the block were required. Adaptive road network which is main form of adaptative urban tissue were made to adapt in this kind of poor urban condition. To research about adaptive urban tissue making, distribution were explored and comparison tasks between various cadastral map of 1940, 1964, 1970s and 2017 were conducted. From these tasks, certain types of adaptive urban tiss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elements were found. First of all, forms of adaptive road depend on the surrounded environment. Connecting internal building corridor with original road system is categorized as Type A. Altering a portion of the buildings to make adaptive roads is categorized as Type B. Second, there were two types of formation of adaptive road. Type 1 is for adaptive road which is independent gesture from original road network. Type 2 is for adaptive road which is altering the form of original road network by lengthening or connecting two different dead-end roads.

우리나라 침엽수 및 활엽수림의 고사율 추정식 개발 (Development of Estimated Equation for Mortality Rates by Forest Type in Korea)

  • 손영모;전주현;이선정;임종수;강진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450-456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침엽수와 활엽수림에서 발생하는 고사율(고사 입목의 재적량, %) 추정식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사율 추정을 위하여 적용한 모형은 지수식, Hamilton식 등 6개식이었으며, 이용한 변수는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지위지수 등이었다. 고사율 추정에 이용한 원자료는 5차 및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였으며, 표본점별 고사목과 생존목의 재적량 비로서 고사율을 산정하였다. 적용한 식 중 침엽수와 활엽수의 고사율을 가장 잘 설명하는 식은 $P=(1+e^{(a+b{\times}DBH+c{\times}BA+d{\times}no\_ha+e{\times}density)})^{-1}$의 형태를 갖는 식이다. 침엽수는 약 34%, 활엽수는 약 51%의 적합도를 나타냈다. 두 식 모두 적합도가 높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임목 고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지리적 환경, 토양, 기상, 지위, 경쟁 등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분석에 이용한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등 2~3개의 변수로 산림 내 고사를 설명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임상별 고사율 정보가 없는 현시점에서는 본 연구의 가치는 있다고 생각되며 추후 수관울폐도, 경쟁지수 등을 변수로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고사율 추정식의 정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QoS 보장을 위한 MAC 향상 기법 (A MAC Enhancement Technique for Quality of Service Guarante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이동건;김병훈;탁성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446-1459
    • /
    • 2008
  •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방식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무선 단말간의 통신이 무선 AP(Access Point)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무선 단말이 음영지역으로 이동하면 무선 단말과 무선 AP간의 통신이 단절되고, 무선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단말과의 통신도 단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반 통신 시설이 없이도 무선 단말간의 끊김없는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애드혹(ad hoc)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애드혹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홉 간 다중 경로(Hop-by-Hop Multipath)에 전달되는 MAC (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의 마감시한을 보장하여 응용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DNSQ-MAC (Dynamic Network State aware Quality of service - Medium Access Control) 기법을 제안하였다. DNSQ-MAC 기법은 애드혹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적으로 변하는 네트워크 상태에 적응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킨다. Qualnet을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DNSQ-MAC 기법은 홉 간 다중 경로에서 전달되는 MAC프레임의 마감시한을 보장하고, MAC계층의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되는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 및 패킷 스케줄러에서도 향상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였다.

  • PDF

매트릭스 시스템에 따른 유구치 인접면 수복물에 대한 3D 스캐너를 이용한 형태학적 평가: 실험실적 연구 (Morphological Assessment of Proximal Restoration Depending on Different Matrix Systems in Primary Molars with a 3D Scanner: In Vitro Studies)

  • 신혜원;이난영;송주헌;김준성;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96-408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유구치를 재현한 인공치를 대상으로 인접면 복합레진 수복 시 매트릭스 시스템에 따른 인접면의 외형, 접촉면의 크기 및 수복 전과 후의 부피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이다. 네 가지 종류의 인공치에 Circumferential 매트릭스 시스템에 해당하는 Tofflemire Matrix System과 Sectional 매트릭스 시스템에 해당하는 Palodent V3 Sectional Matrix System, myJunior Kit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수복하고 3D 모델링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Sectional 매트릭스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에서 오목한 인접면 외형이 형성될 확률이 높았으며 더 큰 접촉 면적과 부피가 형성되었다. 이는 Sectional 매트릭스 시스템에 사용되는 매트릭스 밴드의 완전 연질(Dead soft) 특성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접촉점 주변으로 과량의 레진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Sectional 매트릭스 시스템에 포함된 고무 웨지가 매트릭스 밴드를 와동에 잘 적합 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구치 인접면을 Sectional 매트릭스 시스템을 이용해 복합레진 수복하는 경우, 형태학적 관점을 고려한 신중한 사용이 요구된다.

반야봉지역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림-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Banyabong Area -Abies koreana Forest-)

  • 김갑태;김준선;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1
    • /
    • 1991
  • 지리산 반야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37개의 방형구(10$\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고사한 구상나무는 상층수관의 큰 나무들에서 발견되었으며, 개체수의 비율로는 12.81% 이었다. 유묘의 개체수도 매우 적은 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세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성은 구상나무와 털진달래가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구상나무와 쇠물푸레, 까치박달, 조릿대 및 층층나무 등의 수종들과는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H')는 1.9796-2.750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구상나무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쇠퇴원인의 구명과 이에 대한 처방이 필요하며 신갈나무, 당단풍, 쇠물푸레, 까치박달, 층층나무, 조릿대 등을 제거해야 한다.

  • PDF

Mapping of Post-Wildfire Burned Area Using KOMPSAT-3A and Sentinel-2 Imagery: The Case of Sokcho Wildfire, Korea

  • Nur, Arip Syaripudin;Park, Sungjae;Lee, Kwang-Jae;Moon, Jiyoon;Lee, Chang-Wo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551-1565
    • /
    • 2020
  • On April 4, 2019, a forest fire started in Goseong County and lasted for three days, burning the neighboring areas of Sokcho. The strong winds moved the blaze from one region to another region and declared the worst wildfire in South Korea in years. More than 1,880 facilities, including 400 homes, were burnt down. The fire burned a total area of 529 hectares (1,307 acres), which involved 13,000 rescuers and 16,500 military troops to control the fire occurrence. Thousands of people were evacuated, and two people are dead. This study generated post-wildfire maps to provide necessary data for evacuation and mitigation planning to respond to this destructive wildfire, also prevent further damage and restore the area affected by the wildfire. This study used KOMPSAT-3A and Sentinel-2 imagery to map the post-wildfire condition. The SVM showed higher accuracy (overall accuracy 95.29%) compared with ANN (overall accuracy of 94.61%) for the KOMPSAT-3A. Moreover, for Sentinel-2, the SVM attained a higher accuracy (overall accuracy of 91.52%) than the ANN algorithm (overall accuracy 90.11%). In total, four post-wildfire burned area maps were generated;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assess the area affected by the Sokcho wildfire and wildfire mitigation planning in the future.

Comparison of the Complications in Vertical Rectus Abdominis Musculocutaneous Flap with Non-Reconstructed Cases after Pelvic Exenteration

  • Jeon, Heechang;Yoon, Eul Sik;You, Hi-Jin;Kim, Hyon-Surk;Lee, Byung-Il;Park, Seung Ha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22-727
    • /
    • 2014
  • Background Perineal reconstruction following pelvic exenteration is a challenging area in plastic surgery. Its advantages include preventing complications by obliterating the pelvic dead space and minimizing the scar by using the previous abdominal incision and a vertical rectus abdominis musculocutaneous (VRAM) flap.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complications and the outcomes following pelvic exenteration between cases with and without a VRAM flap.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are the complications and the outcomes following pelvic exenteration with or without VRAM flap coverag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ases of nine patients for whom transpelvic VRAM flaps were created following pelvic exenteration due to pelvic malignancy. The complications and outcomes in thes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nother nine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such reconstruction. Results Flap reconstruction was successful in eight cases, with minor complications such as wound infection and dehiscence. In all cases in the reconstructed group (n=9), structural integrity was maintained and major complications including bowel obstruction and infection were prevented by obliterating the pelvic dead space. In contrast, in the control group (n=9), peritonitis and bowel obstruction occurred in 1 case (11%). Conclusions Despite the possibility of flap failure and minor complications, a VRAM flap can result in adequate perineal reconstruction to prevent major complications of pelvic exenteration.

MT 탐사자료에 나타나는 전자기적 인공잡음의 송신원 위치 추정 (Electromagnetic Source Localization of the Cultural Noise in MT Data)

  • 이춘기;권병두;송윤호;이태종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0권4호
    • /
    • pp.285-292
    • /
    • 2007
  • 한반도 중부에서 얻은 자기지전류(MT) 탐사 자료의 dead band 주파수에서는 극심한 인공잡음의 영향이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송신원 위치 추정 기법을 MT 탐사 자료에 적용하여 인공잡음의 송신원 위치를 추정하였다. 일반적인 빔형성 기법은 전자기장 송신원 위치 추정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정합장 처리 기법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자기장 송신원의 위치와 분극 방향을 계산하였다. 강한 잡음 신호에 대한 송신원 위치 추정 해는 매우 좁은 지역에 밀집되어 나타나지만 자연적인 MT 신호의 송신원 위치 추정해는 무작위적인 분포를 보여준다. 강한 잡음의 송신원은 경기도 서부 지역에 위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