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s to the first germination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Variations in endopolyploidy level during the short period of the early growing stage in the roots and leaves of maize (Zea mays) seedlings

  • Ogawa, Atsushi;Taguchi, Nanako;Miyoshi, Kazumitsu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2호
    • /
    • pp.117-123
    • /
    • 2010
  • We used a flow cytometer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in endopolyploidy (the frequencies of nuclei with DNA contents equivalent to 4C through 16C) during the short period of the early growing stage in vigorously growing young tissues of maize seedlings. We examined different portions of the root and leaves that had been growing for 7 (day 7) and 13 (day 13) days after germination. Endoreplication showed two opposing phenomena without aging. In one case, the endopolyploidy of the first leaf was higher on day 13 than on day 7. In the latter case, endopolyploidy decreased, as clearly revealed by a comparison of the endopolyploidy of the second leaves and the 160-170 mm portion of the seminal root on days 7 and 13. Endopolyploidy was also lower in the top of the leaf. In roots, endopolyploidy was increased by the exogenous application of abscisic acid for only 1 day. The levels of endopolyploidy increased without an increase in cell size in the roots. These results showed that endoreplication occurs in actively growing and young tissue and that the variation can be induced in the short period examined.

액체배양 방법을 이용한 멸종위기종 복주머니란 종자 무균발아 및 증식 (Propagation of asymbiotically germinated seedlings with liquid culture for endangered lady's slipper orchid (Cypripedium macranthos Sw.))

  • 이정관;허윤선;박상임;박재성;정미진;손성원;서강욱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5-45
    • /
    • 2018
  • We had already reported the successful germination for green pods of purple lady's slipper orchid (Cypripedium macranthos Sw.). The green pod methods is to take immature seeds in green capsules, sterilize the capsule, and take out the sterile seeds. This method, however, needs very critical time of harvest. The critical time of seed harvest changes depending upon the species, condition of the specimen, and climatic influence, and the right time lies between 5 and 12 weeks after fertilization. In this study, the mature seeds were collected after 120-130 days with hand-polination of lady's slipper orchids. Mature seeds are usually dormant and it has to be overcome, either with hormone or storing the seeds near freezing for two or three months to break dormancy. The seeds were first surface sterilized with 70% ethanol and then transferred 1% NaOCl for 10-15 minutes, followed by rinses 3 times with sterilized distilled water. The cypripedium seeds consists of an embryo within a seed coat known as a testa. The testa is water repellent and the seed has a large air space between the embryo and testa so the seed tends to float on water. We had resolved the problems with vacuum pump to soak water into the testa before sterilization. The seeds were placed on liquid or agar solidified germination media. Cultures were incubated at $24{\pm}1^{\circ}C$ in dark. The seeds were germinated in 6-8 weeks in liquid suspension culture (germination percentage over 18%); however, the seeds on agar solidified media took more than 5 months to germinate and the germination percentage less than 5%. The most effective media for liquid culture was 1/4 strength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with 50 ml/l coconut water ($4brix^{\circ}$) at pH 5.8.

  • PDF

느릅나무 자연집단(自然集團)의 시과(翅果), 종자(種子), 발아(發芽) 및 생장특성(生長特性) 변이(變異) (Variation of Samara, Seed,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Populations)

  • 송정호;장경환;임효인;박완근;배관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226-231
    • /
    • 2011
  • 약용식물 느릅나무의 유전자원보존을 위하여 5개 자연집단을 대상으로 시과, 종자, 발아 및 생장특성에 대한 집단간 및 개체간 변이를 조사하였다. 전체 32개 개체목에서 시과를 채취하여 시과 및 종자특성(10개), 발아특성 (3개) 및 생장특성(2개)을 포함하여 총 15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모든 특성에서 집단간 및 개체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평균특성을 살펴보면, 시과길이 13.0 mm, 시과폭 9.7 mm, 시과지수 1.37, 시과 무게 0.015 g, 과경길이 3.07 mm, 종자길이 3.85 mm, 종자폭 2.66 mm, 종자지수 1.46, 종자두께 1.29 mm, 종자무게 0.0062 g, 발아율 34.8%, 평균발아일수 8.6일, 발아속도 3.5개/일, 수고 37.7 mm, 근원경 4.90 mm로 나타났다. 특히, 시과무게, 발아율, 발아속도, 수고 및 근원경 특성은 집단간 및 개체간에 30% 이상의 높은 변이계수 값을 나타냈다. 느릅나무 집단간 유연관계는 지리적 분포에 따른 특별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집군의 유형에 대한 주성분 분석 결과 제4주성분까지가 누적변이 값이 100%를 설명하였다. 제1주성분의 기여율은 41.8%로 형질간 상관분석에서 중요성이 높았던 인자들이었고, 제2주성분의 기여율은 32.9%로 발아특성이었으며, 제3주성분의 기여율은 16.3%로 생장특성이 느릅나무 집단간 유연관계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자생식물 헐떡이풀 종자의 휴면유형과 발아특성 (Seed Dormancy Typ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Tiarella polyphylla D. Don Native to Korea)

  • 최한;이승연;이용하;이정호;김상용;이기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3-371
    • /
    • 2018
  • 헐떡이풀은 우리나라에서 울릉도에서만 분포하는 자생식물로 전통적으로 약용으로 쓰여왔으며, 관상식물로의 활용도 기대되는 자원식물이다. 본 연구는 헐떡이풀 종자의 휴면타파와 발아를 위한 조건을 확립하고 종자휴면 유형을 분류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은 헐떡이풀 종자에 저온층적처리($5^{\circ}C$에서 0, 12주)와 고온층적처리($23^{\circ}C$에서 0, 4, 8, 12주 처리 후에 $5^{\circ}C$에서 8주, 다시 $23^{\circ}C$에서 배양함), $GA_3$ (0, 10, 100, 1000 mg/L)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종자는 무균배지에 소독하여 파종하고 온도 $23^{\circ}C$, 광도 $40{\mu}mo{\ell}{\cdot}m^{-2}{\cdot}s^{-1}$ PPFD, 일장16시간 조건의 배양실에서 배양하였다. 헐떡이풀 종자는 자연상태에서 미숙배인 상태로 탈리되며, 종자 내부로의 수분흡수에 대한 물리적인 장벽은 없었다. 그러나 아무 처리 없이 파종하였을 때 30일이 지나도록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헐떡이풀 종자는 형태적 휴면(MD)과 생리적 휴면(PD)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저온층적처리(0, 12주) 실험의 최종 발아율은 각각 66.7%, 45.6%로 나타났다. 저온처리는 오히려 발아를 약 3주 정도 지연시켰다. 고온층적처리(0, 4, 8, 12주) 실험에서는 최종 발아율이 각각 13.3%, 24.4%, 20.0%, 51.1%로 나타났다. 헐떡이풀 종자의 배는 상대적 고온에서 발달하였다. $GA_3$ 처리는 종자의 휴면을 극복하고 발아를 촉진하였다. $GA_3$ 처리에서의 최종 발아율은 0, 10, 100, 1000 mg/L 처리구에 대하여 각각 33.3%, 45.0%, 42.5%, 72.5%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헐떡이풀 종자는 non-deep simple 형태생리적 휴면(MPD)을 가지고 있으며, $GA_3$ 처리를 통해 고온을 대체하고 종자의 휴면을 타파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에 자생하는 헐떡이풀속의 종자휴면에 대해 처음으로 보고한 논문이다.

Morphological Variation of Two Cultivated Types of Perilla Crop from Different Areas of China

  • Ma, Shi Jun;Lee, Ju Kyo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510-522
    • /
    • 2017
  • To better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for Perilla crop in different areas of China, we studie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in 87 accessions (84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three cultivated var. crispa) from high latitude (Northeast China) and middle latitude (North and Northwest China) areas of China by examining seven quantitative and 10 qualitative characters. Analysis of the morphological variation determin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five quantitative traits between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cultivated var. crispa, including effective number of branches (QN2), number of internodes (QN3), number of branches (QN4), length of the largest inflorescence (QN5), and days from germination to flowering (QN7). However, two quantitative traits-plant height and number of florets of the largest inflorescence-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cultivated var. crispa.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ix quantitative traits were found between the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originating from high and middle latitude areas in China, which included QN2, QN3, QN5, number of florets of the largest inflorescence (QN6), and QN7.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identified five quantitative characters [plant height (QN1), QN2, QN3, QN4, QN7] and six qualitative characters [fragrance of plant (QL1), color of reverse side of leaf (QL3), degree of pubescence (QL5), color of flower (QL6), shape of leaf (QL7), and hardness of seed (QL10)] that contributed to the positive direction on the first axis. The oth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s contributed to the negative direction on the first axis.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cultivated var. crispa were clearly separated by the first axis. In addition,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are from high latitude and middle latitude areas that were clearly separated by the first axis, except for several access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wards understanding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Perilla crop according to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high and middle latitude regions of China.

프라이밍과 펠렛코팅 소재가 벌개미취 종자의 유묘 출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Priming and Pellet Coating Materials on Seedling Emergence of Aster koraiensis)

  • 강원식;김민근;김수영;한심희;김두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1호
    • /
    • pp.41-49
    • /
    • 2020
  • 본 연구는 벌개미취 종자의 대면적 파종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종자 전처리 조건과 펠렛코팅 소재를 선정하고자 실시하였다. 벌개미취 종자는 충실종자를 사용하기 위해 1일간 침지처리 후 침강 종자만을 사용하였다. 종자 전처리는 GA3(200, 500 ppm), 24-epibrassinolide(10-6, 10-7, 10-8 M) 호르몬 처리와 염류삼투프라이밍(100 mM KNO3) 처리로 구분하였다. 펠렛코팅은 무처리와 프라이밍 처리 종자에 피복물질(DTCS와 DTK)과 접착제(PVA와 CMC)를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종자들은 필터페이퍼, 상토, 사양토 환경에서 파종하여 파종상에 따른 종자 처리 효과를 비교하였다. 필터페이퍼에 파종한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 종자가 41%, 프라이밍 종자가 65%로 가장 높았으며, 호르몬 처리 간 차이는 없었다. 프라이밍과 DTCS/PVA 펠렛 혼용 종자의 발아율은 71%로 가장 높았으며, 프라이밍과 DTK/CMC 펠렛 혼용 종자의 발아율은 42%로 가장 낮았다. 프라이밍 처리 후 펠렛코팅한 종자는 무처리 펠렛코팅 종자보다 발아율,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가 향상되었다. 온실의 상토에 파종한 프라이밍 종자의 발아율은 58%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발아일수는 9.4일, 발아속도는 7.0%·day로 27% 발아율의 무처리 종자보다 높았다. 또한 DTK/PVA 코팅 종자의 발아율(40%)은 무처리 종자의 발아율(27%) 보다 높았으며, 무처리 펠렛코팅한 종자의 평균발아일수는 15.0-27.0일로 프라이밍 처리 후 펠렛코팅한 종자보다 길었다. 온실의 사양토에 파종한 무처리 펠렛코팅 종자와 프라이밍 처리 후 펠렛코팅한 종자의 발아율은 모두 1-39%의 범위로 무처리 종자보다 낮았다. 펠렛 소재인 DTK는 DTCS보다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무처리 펠렛코팅 종자의 평균발아일수는 15.0-19.8일로 프라이밍 후 펠렛코팅한 종자보다 느렸다. 본 연구 결과를 기준으로, 벌개미취 종자의 프라이밍 전 처리는 유묘 출현율에 매우 효과적이며, 프라이밍과 펠렛코팅을 병행할 경우, 펠렛 소재로는 DTK가 더 적합하였고, 접착제는 PVA와 CMC 간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모두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땅콩 발아기의 내습성 검정 방법 (Screening Method for Excessive Water Tolerance at Germinating Stage of Peanut)

  • 배석복;황정동;이명희;김성업;오기원;이병규;백인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39-442
    • /
    • 2013
  • 본 연구는 땅콩 파종후 발아기의 내습성 기초자료를 얻고자 파종일수와 침수처리에 따른 출현율을 조사하고 적정 내습성 검정방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품종별 내습성 차이를 구명해보고자 본시험을 수행하였다. 종자의 흡수율 50%에 도달한 것은 공히 5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24시간 후에는 조광 66.6%, 대광 65.1%, 팔광 67.1%에 도달하여 품종간 큰 차가 없었다. 땅콩종자를 vermiculite 풋트에 파종한 후 바로 침수시켰을 때 대광땅콩과 팔광땅콩은 공히 침수 16일까지도 90% 정도의 출현율을 유지하였고 그 후로는 급속히 감소하여 침수 25일에는 출현율이 거의 없었다. 파종 후 발아일자 1~4일에 각각 침수일자 1~5일간 침수처리를 하였을 때 발아일수가 길어질수록, 침수일자가 길어질 수록 땅콩의 출현율이 급속히 떨어졌다. 대광땅콩은 파종 1~3일 후 2일 침수처리까지, 팔광땅콩은 파종 1~2일 후 2일 침수처리까지 정상 출현하였으며 두 품종 공히 3일 이상 침수에서는 모든 발아일수(1~4일)에서 출현율이 급속히 떨어지고 있었다. 파종 2일 후 3일간 침수처리 방법에 따라 국내육성 31품종에 대해 침수 시 내습저항성을 검정한 하였을 때 출현율은 0에서 69%까지 분포하였고 대광땅콩 가장 높았다.

돼지감자 종자의 휴면성과 발아유도를 위한 종자처리 (Seed Dormancy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and Seed Treatment for Germination Induction)

  • 임근발;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0-377
    • /
    • 1989
  • 국내외에서 수집한 5종(JA 2, JA6, Mammoth French White, D-19, K-8) 돼지감자 화기에서 종자결실을 조사하였고 수집 종자들의 발아특성을 밝히고 환경조건을 달리하여 발아유도를 시도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임실율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JA 2의 2.4%에서 Mammoth French White의 14.7% 범위에 있었으며 1주로부터 채취 가능한 종자입수는 JA2의 88개에서 JA6의 1,058 개 범위이었다. 2. 수확 후 3개월 실내 저장된 종자는 약 0%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온도, 광 및 GA3에도 발아가 유도되지 않았다. 그러나 실내에서 27개월 저장된 종자는 D-19 품종에서 47.5%까지 발아하였다. 3. 종피제거된 종자는 96.8%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종피에 바늘로 구멍을 뚫었을 때에도 82.3% 발아하였다. 따라서 종피제거 방법에 의해 완전한 발아유도가 가능하였으며 돼지감자 휴면종자는 종피에 의해 발아가 억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휴면종자를 약 70일 저온습층처리한 경우 8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이 경우 종피존재여부에 관계없이 어느 경우에나 발아하였다.

  • PDF

Variation of Iron Content and Ferritin Distribution during Development Stage under Conditions of Iron Nutritional Status from Hydroponic Culture in Red Pepper ( Capsicum annuum L. )

  • Kim, Young-Ho;Lee, Young-Ok;Nou, Ill-Sup;Shin, Ill-Yong;Kameya, Toshiaki;Saito, Takashi;Kang, Kown-Kyoo
    • Plant Resources
    • /
    • 제1권1호
    • /
    • pp.1-5
    • /
    • 1998
  • Total iron content and ferritin distribution have been determined in red pepper(Capsicum annuum L.) during development stage under conditions of iron nutritional status from hydroponic culture. Color of the leaves become chlorotic on iron deficient and high concentration. The plant height on each iron concentration had retarding effect at concentration lower than $25\muM$ and greater than 125$25\muM$. In normal green leaves. Total iron content was almost constant with a mean value of $2.5\mumole$ of iron/mg of dry matter, except at 63day, for which it increases slightly to $4\mumole$. Howere, iron content of chlorotic plants grew on iron free medium was not almost detectable. Also in post chlorotic leaves(++Fe), iron content was evidently increase unitl 7days after transfer on liquid medium, but decreased from after 14days. Also, ferritin protein analysed total protein extracts prepared from leaves of different ages using antibodies raised against ferritin protein. Ferritin protein dee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first week of germination and was not detectable in vegetative tissues. Ferritin protein in post chlorotic leaves wasevidently strongly cnhanced until 11days after transfer on liquid medium but decreased until the leves became chlorotic.

  • PDF

ICT 기반의 인삼 공정 육묘 시 양액비율이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ent Solution Ratio on Growth in ICT-Based Ginseng Process Ginseng Plant)

  • 김동현;김연복;구현정;백현진 ;이수빈;홍의기;김상기;장광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4호
    • /
    • pp.5-10
    • /
    • 2022
  • 인삼 종자를 사토 토양에 파종 후 평균발아율은 양액농도 EC1.0에서 87%로 가장 높게 나왔다. 다음으로 EC1.5에서는 82%, EC2.0에서는 78%, EC2.5에서는 72%, EC0.5에서는 71%, 비교군(EC0.0)에서는 68% 순이다. 우수 발아율 순서는 EC 1.0, 1.5, 2.0, 2.5, 0.5 비교군 0.0으로 발아율이 확인되었다. 인삼 종자파종 60일 후 식물체를 인삼토양에 이식하였다. 30일 후 각 양액 EC(0.0에서~2.5까지) 각 6개 실험구 별로 생육비교 관찰한 결과 EC1.5에서는 3.90cm로 가장 많은 초장(cm)이 생장을 하였다. EC1.0에서는 0.33g으로 가장 많은 초중(g)의 증가를 하였고, EC0.5에서는 1.46mm으로 가장 많은 초경(mm)의 증가를 하였다. 인삼 이식 생장을 조사한 결과 다른 실험구보다 초장(cm)에서는 EC1.5에서, 초중(g)은 EC1.0에서, 초경(mm)은 EC0.5 양액 농도가 생장이 우수한 결과로 측정되었다. 적절한 양액 농도는 EC0.5~EC1.5까지 생육 증가의 결과값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