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um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9초

모바일 포털들의 응답시간 비교 및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of Response Time of Mobile Portals)

  • 류귀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7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3개 모바일 포털사이트의 응답시간을 분포를 이용하여 비교하고 분류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Naver, Daum, Nate의 모바일 포털 사이트 접속페이지이며, 실험기간은 모바일 포털들이 활성화되기 시작되던 즈음인 2012년 4월 18일에서 2018년 4월 17일까지 6년간이다. 그리고 실험횟수는 4,060회이다. 분포비교를 위해 히스토그램과 백분율을 이용하였으며 이론적인 비교를 위해 모수적 방법인 카이스케어 검정과 비모수적 방법인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을 실시하였다. 네가지 방법 모두 Naver가 가장 빨랐고, 다음이 Nate, Daum이 가장 느렸다. 평균 응답시간 면에서도 같은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선 포털의 결과와 정반대로서, Naver는 매체 특성에 맞게 유선에서는 많은 콘텐츠를 무선에서는 응답시간을 높이는 전략이고, Daum은 무선에서 응답시간을 희생하면서 콘텐츠를 중시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류에서는 응답시간에 따라 "Comfortable"과 "Tolerable", "Feedback", "Leave"로 나누었으며, 이용자들이 떠날 수 있다는 7초 이상인 "Leave"의 비율이 Naver는 1.18%, Daum이 11.70%, Nate가 1.5%로 Daum이 압도적으로 높아서 Daum의 응답시간은 개선이 매우 절실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분류 결과에 의하면 3개 모바일 포털들이 응답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본 논문의 결과가 모바일 포털들의 응답시간을 줄이는 기술경쟁을 촉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aum 이미지와 QuickBird 위성영상에 의한 NIR 밴드 추출과 정규화식생지수 (NDVI)에의 적용 (NIR Band Extraction for Daum Image and QuickBird Satellite Imagery and its Application in NDVI)

  • 나상일;박종화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4호
    • /
    • pp.37-42
    • /
    • 2009
  • This study extracted Near Infrared (NIR) band using Image Processing Technology (IPT), and calculate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erial photography from Daum portal in combination with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was employed to improve vegetation sensitivity by extracting NIR band and calculating NDVI with comparison to QuickBird result. The extracted NIR band and NDVI through IPT presented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In addition, a regression analysis by land cover character showed high correlation paddy and forest Therefore, this approach could be acceptable to acquire veget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주요 포털사이트의 응답패킷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tribution comparison of response packets for major portal sites)

  • 류귀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3호
    • /
    • pp.437-444
    • /
    • 2013
  •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주요 3개 포털사이트의 응답패킷 분포를 연구하는 것이다. 대상은 Naver, Daum, Nate 등 포털사이트의 대표페이지이며, 실험기간은 2010년 5월 19일에서 2012년 11월 7일까지이며, 실험횟수는 4,642회 실시하였다. 분포 형태는 응답패킷의 양이 많은 Naver, Nate는 양봉분포를 이루고 있으며, Daum은 오른쪽 꼬리가 긴 분포를 이루고 있다. 분포가 동일한가에 대한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 이표본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을 통하여 3개 포털의 분포가 유의수준 1%하에서 다르다는 사실을 밝혔다. 상대도수와 백분위 수의 비교를 통해 응답패킷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응답패킷의 분포가 Naver가 가장 큰 값을 가졌으며, 다음은 Nate이었으며, Daum은 가장 작은 값을 가졌다. 응답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속도를 높이는 것과 병행하여 페이지를 가볍게 만들어야 한다. 본 논문은 포털들이 페이지를 가볍게 만들게 하는 경쟁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Daum Map API를 이용한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정확도 평가 (A Study on the Geometric Correction Accuracy Evaluation of Satellite Images Using Daum Map API)

  • 이성근;이호진;김태근;조기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183-196
    • /
    • 2016
  • 위성영상의 정밀한 기하보정을 위해서는 지상기준점이 필요하며, GPS 측량은 양질의 지상기준점 좌표 취득을 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GPS 측량을 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다른 대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기준점의 좌표를 취득하기 위한 기존의 GPS 측량을 웹 사이트 지도에서 제공하는 좌표로 대체하는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Daum Map API를 통해 취득한 지상기준점의 좌표들 간의 오차량을 확인하였으며, 위성영상의 기하보정에 사용되는 3가지 좌표 변환식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가장 정확도가 높게 나온 변환식을 이용하여 GPS 측량을 통해 취득한 지상기준점의 좌표와 Daum Map API를 통해 취득한 지상기준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을 기하보정하고 그 정확도를 비교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3가지 좌표 변환식 중 polynomial 3차 변환식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Landsat-8과 같은 중해상도 위성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Daum Map API를 통해 지상기준 점의 좌표를 취득하고 이를 영상의 기하보정에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집 - 날마다 걷는 사람들 - 걷기운동 실천자들의 한마디[인터넷 Daum Cafe "도보여행"운영자 김한상 씨 인터뷰] -

  • 곽정은
    • 월간당뇨
    • /
    • 통권223호
    • /
    • pp.26-27
    • /
    • 2008
  • 운동이란 거창한 것이 아니다. 걷기 같은 가벼운 운동도 꾸준히 하면 그 어떤 운동보다도 더 효과적이며 의미가 있다. 또한 혼자 하는 것보다 여러 사람들과 함께 하면 즐거움도, 효과도 배가 되는 법. 요즈음 마음 맞는 사람들끼리 모여 운동을 실천하는 동호회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그 중 인터넷(www.daum.net) cafe "도보여행"운영자 김한상(38세, 서울 도봉구)씨를 만나보았다.

  • PDF

확률분포를 이용한 포털들의 응답시간 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of Portals Based on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Response Time)

  • 류귀열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3-4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stimate response quality of three major portal in Korea based on the response time. In addition to response time, the response time by 1Kbyte will be analysed.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2010 to November 2013 using Firebug. For comparing averages, ANOVA will be used. For comparing distributions, Chisquare test and Kolmogov-Smirnov test will be used for parametric and non parametric test respectively. Results: For response quality based on response time, Daum gets the first place, Naver the second place, and Nate the third place. But the order of the response time per 1Kbyte is different. The order is Naver, Daum and Nate. Conclusion: The response quality may be estimated using various factors. Response tim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Daum provides the shortest response time. We could say Daum provides the best response quality. But Naver provides the shortest response time per 1Kbyte. From these results, we know reducing packets is very important thing in response time.

스마트폰의 정보구조와 사용자경험 (A Study on Information Architecture & User Experience of the Smartphone)

  • 이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83-39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폰의 사용 시 가장 많은 이용 목적을 가진 정보 검색의 인터페이스의 정보 구조와 사용자 경험 패턴을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대표적인 모바일 인터넷 접속 기기인 스마트폰의 특징과 사용자 경험 요소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우선으로 정보 검색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의 메인 페이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네이버와 다음은 각각 28개와 15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 네이버와 다음 모두 하향식 순차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네이버의 카테고리에서는 3Depth 계층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네이버의 경우는 중복된 뉴스 콘텐츠와 과도한 스크롤의 사용으로 인지 부하의 가능성이 제기 되었으며 다음의 경우는 하단의 쇼핑 카테고리에 있어 터치 제스처 사용의 오류 가능성이 제기 되었다.

인도양 중앙해령 Daum 열수분출대의 광물·지구화학적 연구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n the Daum Vent Field, Central Indian Ridge)

  • 김령균;최선기;김종욱;박상준;김원년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6호
    • /
    • pp.765-779
    • /
    • 2023
  • 다음 열수분출대(Daum Vent Field, DVF)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도로 수행된 2021년도 인도양 중앙해령 대양탐사에서 새롭게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DVF의 광상 유형 분류, 광화 조건 비교 및 주요 금속 공급원 규명을 위해 획득한 침니와 마운드 시료를 대상으로 현미경 관찰, 전암분석, 전자현미분석 및 in situ 황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형별 중앙해령 시스템과의 비교연구 결과 DVF에서 확인되는 주요 광물조합(황철석±섬아연석±황동석), 섬아연석 FeS 함량(대부분 <20 mole %) 및 (Cu+Zn)/Fe 전암 구성비(0.001-0.22)의 상관성은 DVF가 현무암 기반의 중앙해령 해저열수광상임을 시사한다. 침니에서 확인되는 교질상/수지상 황철석의 우세한 산출, 상대적으로 철이 결핍된 섬아연석 및 Co 결핍과 Mn, Tl 부화로 특징되는 온도 의존성 금속의 거동 특성은 침니에 비해 마운드의 형성이 상대적으로 고온의 환원성 유체에 의해 규제되었음을 나타낸다. In situ 황 동위원소 분석에서 확인되는 황철석의 δ34S 값 범위(+8.31에서 +10.52‰)는 약 38.7-49.4%의 해수기원 황과 50.6-61.3%의 화성기원 황의 복합적인 기여를 반영하며, 이는 DVF 형성에 있어 주요 금속 공급원이 마그마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물-암석 상호작용임을 지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