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collection place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4초

일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d Study o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Depression Stress,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 김정숙;김성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48-54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의 관계와 그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C지역의 C대학과 H대학 3학년 간호대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10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는 없었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beta}=0.246$, p=.000), 자기효능감(${\beta}=-.170$, p=.000), 자아존중감(${\beta}=-.131$ p=.000)순으로 확인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울의 원인과 우울수준을 심층적으로 사정하고 우울을 감소시켜 정서적 건강문제를 위협하는 대처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Effect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Iranian Women Work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Noori, Fatemeh;Behboodimoghadam, Zahra;Haghani, Shima;Pashaeypoor, Shahzad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4호
    • /
    • pp.275-283
    • /
    • 2021
  • Objectives: The workplace is an ideal place for encouraging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women workers. Methods: This randomize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with 80 women workers employed at a food packaging facility in 2020. The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were classified into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using block randomization. An empowerment program for women workers was conducted across 6 sessions based on an empowerment model. Data collection tools include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and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which participants completed both before the program and 8 weeks after the last sess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in SPSS version 16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in various health-promoting behaviors before the program. However, the intervention group's scores for nutrition (34.92±1.09 vs. 27.87±4.23), physical activity (24.40±2.94 vs. 17.40±5.03), stress management (26.35±2.60 vs. 23.05±4.27), spiritual growth (34.02±3.00 vs. 30.22±5.40),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0.82±2.38 vs. 27.60±4.61), and health responsibility (31.60±2.71 vs. 28.22±4.59)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8 weeks after the program had ended.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179.00±9.22 vs. 151.42±20.25, p=0.001). Conclusions: An empowerment program for women workers led t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Similar programs can ultimately improve women's health in the workplace.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정신 및 행동장애 환자에 관한 인식과 개선방안 (Awareness and its improvement to patients with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paramedic students)

  • 최수아;최고은;강지혜;조근자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5-11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paramedic students to patients with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suggest its improvement measur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aramedic students after consent to this study through online.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18 to August 1, 2022 and 12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8.0. Results: The level of prejudice of subjects showed 2.73 points and their level of discrimination showed 2.52 poin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grade, experience of field practice, reason for major selection etc. i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level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ontact experience to patients, contact place, taking subjects etc. i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levels. The high correlation showed between tot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r=.853, p<.001). The improvement measures of an awareness about patients were positive role of mass media, better educational contents etc. Conclusion: Paramedic students need to treat patients with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withou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erefore, it needed to develop and apply th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paramedic students to be able to improve an awareness about patients with positive role of mass media about them.

인터벤션실의 오염실태 분석 및 평가 (Analysis and Evaluation of Pathogen Contamination Status in Interventional Angiography Room)

  • 김경완;임인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3호
    • /
    • pp.233-239
    • /
    • 2022
  • In the radiology department, where radiation is used in medical institutions to perform examinations with various equipment, the field of surgical treatment is the intervention angiography room. Accordingly, strict infection control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tamination status by detecting pathogens before and after disinfection in the intervention angiography room,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death by using a disinfectant, sodium dichloride isocyanurate, which is mainly used in the intervention angiography room. The subjects were 10 medical institutions of general hospital level or higher with an intervention angiography room in the P city, and 12 places with high contact frequency during examinations and procedures were sampled and requested to an analysis institution. As for the sample collection method, up/down, left/right directions were used to increase precision. Before disinfection, all procedures were completed, and after disinfection, exposure was performed using a disinfectant for at least 10 minutes, and detection was performed using a transport medium. As a result, in the pathogen analysis, most pathogens were detected in a humid environment or in a place with high contact frequency for microorganisms to thrive. The detected pathogens were found in the general environment or were human flora. It is a pathogen that does not cause disease under normal healthy host conditions. However, it was found to be an opportunistic infection that causes opportunistic infection depending on the case or situation in which the body's resistance is weaken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using the disinfectant mainly used in the intervention angiography room, it was found that more than 93.3% of them died. Therefore, the data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good basic data for the evaluation of pathogens in the intervention angiography room and will be of great help in infection control.

간호대학생의 노인 인식에 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Elderly)

  • 조혜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221-23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노인은 어떠한지 내용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6월 27일부터 7월 1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전남지역에 있는 일 간호대학 4학년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 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목적에 맞는 63개의 진술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개 범주로 구분하고, 10개의 주제와 45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노인을 바라보는 관점'범주에서는 부정적 시각, 긍정적 시각, 동정적 시각, 무관심 등의 4개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두 번째 '노화 과정' 범주에서는 1개의 주제인 노인 모습이 도출되었다. 세 번째 '사회 속에서의 노인' 범주에서는 현대사회에서의 노인, 사회적 현상, 노인의 권리 등 3개 주제가, 마지막으로 '노인과의 관계 개선'범주에서는 노인 이해하기, 자기성찰이라는 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노인 인식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과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 윤리적 민감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thical Sensitivity)

  • 이주연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1호
    • /
    • pp.107-115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 간호전문직관과 윤리적 민감성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9월 1일부터 2022년 10월 31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은 IBM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소명의식은 간호전문직관(r=.43, p<.001), 윤리적 민감성(r=.38,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윤리적 민감성은 간호전문직관(r=.59,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과 간호전문직과의 관계에서 윤리적 민감성은 완전 매개변수임이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36%였다. 따라서 윤리적 민감성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며,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포스트 팬데믹 여행 의도에 관한 연구 : 코로나에 대한 지루함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Post-Pandemic Travel Intention: Boredom as a Key Predictor)

  • 박준성;박희준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21
    • /
    • 2024
  • Purpos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impact of COVID-19-induced boredom, a prevalent form of pandemic-related stress, on travel motivation and post-pandemic travel intentions.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interplay among travel motivation, travel constraints, and the willingness to pay more for travel experiences in the post-pandemic context. Methods: A PLS-SEM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Data collection took place through an online survey in February and March 2021, with a total of 575 respondents participating. Participants provided responses regarding their current levels of boredom due to COVID-19, five different travel motivations, seven travel constraints, and their post-pandemic travel intentions. Additionally,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ir willingness to pay more for travel. Results: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t role of COVID-19-induced boredom in predicting post-pandemic travel intentions and the willingness to pay more for travel. Contrary to previous perceptions, boredom emerges as a driving factor, enhancing travel intentions during the pandemic. Additionally, relaxation becomes the primary motivation for travel during COVID-19, and structural constraints exert a noticeable impact on travel intentions, challenging previous assumptions. Stress levels directly influence the willingness to pay more during travel experiences,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additional pay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travel.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practical insights for tourism stakeholders. Recognizing and addressing boredom in marketing strategies, implementing aggressive additional payment options, and focusing on relaxation-oriented travel products are recommended to cater to post-pandemic traveler preferences and revive the tourism industry effectively.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한 간호학개론 수업 사례연구: 성찰일지 내용분석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in Introduction to Nursing Science Class: by Contents Analysis of the Reflection Journals)

  • 주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15-22
    • /
    • 2023
  • 본 연구는 프로젝트기반 간호학개론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후 학생들의 경험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시행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 G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중 2021년과 2022년에 간호학개론 교과목을 수강한 총 95명의 학생이었다. 자료수집은 2021년 9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이루어졌고 자료분석은 간호학개론 수업 프로젝트 활동이 종료된 후 학생들이 제출한 성찰일지를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범주, 9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4개의 범주는 「어려운 공부도 쉽게」, 「신기하고 재미있는 학습 경험」, 「단단해진 팀워크」, 「제한된 발표의 아쉬움」이었다. 프로젝트기반 학습법은 간호학개론 교육에 효과적이며 적용 가능한 학습법이었으며, 더 나아가 학생들의 태도 및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일개 대학교 학생에게 적용한 결과인 만큼 향후 반복적인 연구와 간호학과 다른 교과목 교육에서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

전문직 자아개념이 병원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o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Hospital Nurses)

  • 오수희;송영신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7호
    • /
    • pp.93-10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돌봄지각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언구대상자는 C지역과 D지역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93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7월부터 8월까지이고, IBM SPS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조직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 졸업자가 대학교 이상 졸업한 자보다 조직사회화가 높았고,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조직사회화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각 학력 수준의 간호사가 조직 내에서 빠르게 사회화될 수 있도록 병원 차원에서의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학력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과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사들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고 업무 정체성 확립을 확립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도시근린공원 미세먼지(PM)저감과 공간차폐율과의 관계 -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r Matter Reduction and Space Shielding Rate in Urban Neighborhood Park)

  • 구민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7-77
    • /
    • 2019
  • 본 연구는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 도심에서 도시근린공원의 중심이 입구에 비해 어느 정도 저감된 공간인지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공원중앙의 공간 차폐율과 미세먼지 저감율과의 상관관계를 실험을 통해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대구시 수성구 평지형 도시근린공원 7개를 대상으로 3일동안 같은 장소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근린공원 중심은 입구보다 온도는 평균 1.05℃ 낮고, 습도는 평균 2.57% 높았다. 둘째, 미세먼지 감소율은 PM1 17.09%, PM2.5 17.65%, PM10 14.99%의 저감율로 초미세먼지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원의 규모가 작을수록 저감효과가 더 높았다. 또한 기상청발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날일수록 공원중앙에서의 저감율은 낮았으며, 공원입구의 농도가 높을수록 저감율은 높았다. 셋째, 공원중심에서 공간차폐율이 높을수록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시근린공원의 미세먼지 저감정도와 공간차폐율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 확대된 실험데이터들의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