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archiving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초

대용량 센서 데이터 아카이빙을 위한 색인 분할 기법 (An Index Splitting Technique for Numerous Sensor Data Archiving)

  • 조대수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1-43
    • /
    • 2007
  • 센서 데이터는 대용량이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센서 데이터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는 색인의 개발이 요구된다. 센서 데이터 색인은 데이터 아카이빙을 지원하기 위해서 일정한 시간이 지난 과거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삭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센서 데이터 아카이빙을 지원하기 위해 색인 분할 기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분할된 각각의 색인들은 가상색인으로 구성되어, 외부에서는 하나의 색인으로 보인다. 실험 결과 색인의 생성비용은 총 100,000번의 삽입 연산에 대해서 최대 8%의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삽입되는 데이터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성능이 더 향상됨을 보였다. 영역질의의 경우 각 질의영역이 적을수록, 시간도메인의 크기가 커질수록 큰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선택적 웹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 (Development of Metadata Elements for Intensive Web Archiving)

  • 김희정;이혜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3-160
    • /
    • 2007
  • 디지털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웹 아카이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웹 아카이빙은 수집형태나 운영형태, 또는 아카이빙 대상 컬렉션 범위와 포괄정도에 따라서 설계지침이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선택적 아카이빙을 중심으로 아카이빙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 고려해야 할 메타에이터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선택적 아카이빙을 수행한 선행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필요한 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더블린코어의 기본적인 요소들과 함께 관리적인 요소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 내용들의 확충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글 아카이빙 데이터 기반 멀티 행위 분석 (Multi-Behavior Analysis Based on Google Archiving Data)

  • 김예은;홍사라;김성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737-751
    • /
    • 2023
  • 기업 및 개인의 데이터가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로 이동하면서 클라우드 포렌식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클라우드 데이터는 모바일 기기부터 데스크톱 등 여러 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연동된 계정과 클라우드 서비스로부터 생성되는 정보 등 다양한 행위 아티팩트가 존재한다. 그러나 데이터의 분산 저장과 아티팩트 연계성 부족 등 클라우드의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디지털 증거를 확보하고 분석하는 것에 한계점이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로 아카이빙 서비스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구글의 Takeout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카이빙 데이터 기반의 클라우드 포렌식을 위해 사용자 행위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사 관점에서 필요한 항목을 선별한다. 또한 아티팩트의 연관성과 멀티 행위를 유의미하게 판단하기 위해 선별한 데이터를 시간 정보 기준으로 분석하는 과정과 웹 기반 시각화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데이터 증거수집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른 아카이빙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보여주고자 한다.

OASIS의 선정지침 개선(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OASIS Selection Guidelines)

  • 노영희;고영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5-137
    • /
    • 2012
  • 웹상에서 유통되는 정보자원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가치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인류 유산으로 후세에게 물려주기 위한 웹 아카이빙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이 사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수많은 웹 자원 중 수집 및 보존의 가치가 있는 웹 자원을 선정하기 위한 선정지침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국내외 웹 아카이빙 선정지침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OASIS를 위한 선정지침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웹 자료에 대한 정의, 용어정의, 수집기본원칙, 수집방법, 수집주기, 구체적인 아카이빙 대상자원 선정에 대해서 개선 내용을 제안하였다. 둘째, 수집대상자료에 대해서 대폭적으로 개선 내용을 제안하였으며, 웹 아카이빙 선정제외자료에 대한 제안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집방법과 온라인 자료 납본과의 관련성, 선정대상자료에 대한 목록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 협력형 아카이빙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NVST DATA ARCHIVING SYSTEM BASED ON FASTBIT NOSQL DATABASE

  • Liu, Ying-Bo;Wang, Feng;Ji, Kai-Fan;Deng, Hui;Dai, Wei;Liang, Bo
    • 천문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15-122
    • /
    • 2014
  • The New Vacuum Solar Telescope (NVST) is a 1-meter vacuum solar telescope that aims to observe the fine structures of active regions on the Sun. The main tasks of the NVST are high resolution imaging and spectral observations, including the measurements of the solar magnetic field. The NVST has been collecting more than 20 million FITS files since it began routine observations in 2012 and produces maximum observational records of 120 thousand files in a day. Given the large amount of files, the effective archiving and retrieval of files becomes a critical and urgent problem. In this study, we implement a new data archiving system for the NVST based on the Fastbit Not Only Structured Query Language (NoSQL) database. Comparing to the relational database (i.e., MySQL; My Structured Query Language), the Fastbit database manifests distinctive advantages on indexing and querying performance. In a large scale database of 40 million records, the multi-field combined query response time of Fastbit database is about 15 times faster and fully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NVST. Our slestudy brings a new idea for massive astronomical data archiving and would contribute to the design of data management systems for other astronomical telescopes.

KITSAT-3 Image Product Generation System

  • Shin, Dong-Seok;Choi, Wook-Hyun;Kwak, Sung-Hee;Kim, Tag-G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43-47
    • /
    • 1999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configuration of the KITSAT-3 image data receiving, archiving, processing and distribution system in operation. Following the low-cost and software-based design concept, the whole system is composed of three PCs : two for data receiving, archiving and processing which provide a full dual-redundant configuration and one for image catalog browsing which can be accessed by public users. Except that receiving and archiving PCs have serial data ingest boards plugged in, they are configured by general peripherals. This basic and simple hardware configuration made it possible to show that a very low cost system can support a full ground operation for the utilization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data.

  • PDF

과학기술 분야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정책연구 (A Study of Digital Archiving Policies for National S&T Information Resources)

  • 설문원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4호
    • /
    • pp.23-4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적 차원의 과학기술 분야 디지털 아카이빙 체제구축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과학기술 분야 자원현황을 파악하고, 디지털 자원의 장기보존을 위한 대상을 선정하는 기준을 분석하였다. 다음에는 과학기술 분야 주요 정보자원 유형별로 장기보존을 위한 핵심과제를 제안하였고, 이를 추진할 조직체계를 구상하였다. 또한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추진해야할 전략과제들을 제안하였다.

ERP 기반 실시간 데이터 아카이빙 기술에 관한 특허 분석 및 신규 핵심특허 창출에 관한 연구 (Patent analysis and Creation of new core patents for ERP-based real-time data archiving)

  • 김가윤;정세훈;양진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99-107
    • /
    • 2024
  • 최근 많은 산업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으며, 동시에 기업이 생성하고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에 기업은 ERP 시스템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 ERP 시스템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있어 비용 및 시간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기존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하고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아카이빙 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RP 기반 실시간 데이터 아카이빙 기술에 관한 특허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상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고, 핵심 특허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신규 핵심특허를 창출하고자 한다.

전자책 아카이빙을 위한 협력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Model for Archiving an Electronic Book)

  • 조현양;장보성;유보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61-178
    • /
    • 2010
  • 이 연구는 국내 외 전자책의 수집 및 보존기술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미래 전자책의 기술 진화에 대응한 도서관의 전자책 수집 및 보존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전자책 제작 및 유통 현황과 국내 외 전자책 수집 및 아카이빙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보존기간과 관계없이 보존된 자원에 대한 접근성 유지를 위하여 메타데이터 요소와 OAIS 참조모형을 기반으로 전자책 아카이빙 협력 모형을 제안하였다. 한국형 전자책 아카이빙 협력 모형은 법령에 의한 집중형 모형, 개별 보존 및 분산형 모형, 전자책 아카이빙 보존관리센터 모형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개별 모형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웹기록물 아카이빙 기반기술 연구 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Base Technology for Archiving Web Records)

  • 차승준;이규철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8년도 연합학회학술대회
    • /
    • pp.359-368
    • /
    • 2008
  • 웹에서 생성되는 중요한 자원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웹이라는 특성 때문에 보존되지 않고 사라져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존되지 않고 사라져가는 웹기록물의 보존을 위한 웹 기록물 아카이빙 기반기술을 연구 개발에 관한 것이다. 우선 웹기록물 아카이빙의 절차인 워크플로우에 관해 설계하였고, 그 중 보존과 전달에 필수요소인 메타데이터 요소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웹기록물 아카이빙의 전반적인 사항을 정의하는 아키텍쳐를 정립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