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shboard camer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2초

차량용 블랙박스 포렌식을 위한 분석 절차 및 저장 구조 분석 (The analysis of data structure to digital forensic of dashboard camera)

  • 안휘항;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495-1502
    • /
    • 2015
  • 차량용 블랙박스는 실시간으로 차량의 상태를 기록하는 중요한 데이터 처리 장치로 영상뿐만 아니라 충격량, 속도, 방향과 같은 비영상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비영상정보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어 차량의 사고 당시 환경과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근거로 활용된다. 그러나 영상정보 만을 다루는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장치 포렌식 절차를 이용해 차량용 블랙박스 데이터를 분석을 진행하면 사건해결에 중요한 비영상정보를 활용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의 모든 데이터를 추출하고 해석하여 사고 조사 환경에 활용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디지털 포렌식 분석 절차를 제안한다. 또한 국내 시판중인 차량용 블랙박스를 선정하여 제시한 분석 절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차량 인터넷에서 협업 비디오 감시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이웃 발견 방법 (An Efficient Neighbor Discovery Method for Cooperative Video Surveillance Services in Internet of Vehicles)

  • 박태근;이석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97-109
    • /
    • 2016
  • The rapid deployment of millions of mobile sensors and smart devices has resulted in high demand for opportunistic encounter-based networking. For the cooperative video surveillance of dashboard cameras in nearby vehicles, a fast and energy-efficient asynchronous neighbor discovery protocol is indispensable because a dashboard camera is an energy-hungry device after the vehicle's engine has turned off. In the existing asynchronous neighbor discovery protocols, all nodes always try to discover all neighbors. However, a dashboard camera needs to discover nearby dashboard cameras when an event is detec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and energy-efficient asynchronous neighbor discovery protocol, which enables nodes : 1) to have different roles in neighbor discovery, 2) to discover neighbors within a search range, and 3) to report promptly the exact discovery result. The proposed protocol has two modes: periodic wake-up mode and active discovery mode. A node begins with the periodic wake-up mode to be discovered by other nodes, switches to the active discovery mode on receiving a neighbor discovery request, and returns to the periodic wake-up mode when the active discovery mode finishes. In the periodic wake-up mode, a node wakes up at multiples of number ${\alpha}$, where ${\alpha}$ is determined by the node's remaining battery power. In the active discovery mode, a node wakes up for consecutive ${\gamma}$ slots. Then, the node operating in the active discovery mode can discover all neighbors waking up at multiples of ${\beta}$ for ${\beta}{\leq}{\gamma}$ within ${\gamma}$ time slots. Since the proposed protocol assigns one half of the duty cycle to each mode, it consumes equal to or less energy than the existing protocols. A performance comparison shows that the proposed protocol outperforms the existing protocols in terms of discovery latency and energy consumption, where the frequency of neighbor discovery requests by car accidents is not constantly high.

제조업 경쟁사 분석을 통한 품질 개선 전략 수립: 대시보드 카메라 시장에 적용 (Quality Improvement Strategy Development based on Competitor Analysis of Manufacturing Companies: Application to the Dashboard Camera Market)

  • 강창동;최일영;김재경;박재승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41
    • /
    • 2022
  • In a fiercely competitive environment, quality is a key factor that enables dashboard camera makers to maintain their competitive advantage. Quality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brand loyalty, and firm performance. Therefore, to remain competitive, it is important that manufacturers maintain product quality that meets consumer expectation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customer preferences and product performance in terms of product quality and to properly allocate resources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such that the firm can maint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various ways in which manufacturing firms can determine which quality dimensions need improvement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To this end, we analyzed a case study of Urive to develop a quality improvement strategy through importance performance competitor analysis (IPCA). Urive's IPCA results showed that 14 quality dimensions, namely performance, size, price, ease of use, country of origin, manufacturer, brand, product certificate, warranty, distribution channel, market share, reliability, durability, and conformance, were not absolutely competitive compared with those of Mando, Inavi, and Finevu. In terms of color, Urive had an absolute competitive advantage over Mando, but not Inavi and Finevu. Urive's appearance was more competitive than Mando's, but not Inavi's and Finevu's. In terms of advertisement and serviceability, Urive was absolutely less competitive than Mando and Inavi, but had a competitive advantage over Finevu.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resources and time as the first priority for performance, reliability, and durability, which have a large performance difference in common among the three brands. The quality dimensions in which resources and time need to be put in second place are price and ease of use, which have a large performance difference in common among the two brands.

운전자 눈 위치를 이용한 사이드미러와 룸미러 자동조절시스템 (Automatic Side Mirror and Room Mirror Adjustment System using 3D Location of Driver′s Eyes)

  • 노광현;박기현;한민홍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7-7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a mirror control system that can adjust the location of side and room mirror of the vehicle automatically using 3D coordinates to monitor the location of driver's eyes. Through analysis of the image inputted by two B/W CCD camera and infrared lamps installed on top of the driver's dashboard, we can estimate the values of 3D coordinate of the driver's eyes. Using these values, this system can determine the absolute position of each mirror and activate each actuator to the appropriate position. The stereo vision system can detect the driver's eyes whether it is day or night by virtue of infrared Lamps. We have tested this system using 10 drivers who drive a car currently, and most of the drivers were satisfied with the convenience of this system.

  • PDF

차량 전방 영상 장비에서의 보닛 영역 검출 (Extracting bonnet area in dashboard camera)

  • 박종민;김지회;김동욱;이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55-1458
    • /
    • 2015
  • 위 논문은 전방 카메라에 촬영된 내차의 전방 보닛 영역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현재 스마트카나 무인카 등에서 사물인식을 위한 영상처리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영상처리의 실시간성을 위해서 ROI를 잘 한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닛 영상을 효과적으로 검색 대상에서 배제하면 속도와 정확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제안된 보닛 검출 방법의 핵심은, 사다리꼴을 형성하는 3개의 직선을 검출하여 보닛 영역 후보들을 찾고 이를 여러 프레임에 걸친 일관성을 관찰하여 종합 판단하는 것이다. 다양한 블랙박스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 실제 보닛과의 인식결과의 차이는 평균 5 픽셀이다.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Intelligent Facility Management through the Digital Transformation

  • Lee, Junsoo;Kim, Kang Hyun;Cha, Seung Hyun;Koo, Choongwa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485-492
    • /
    • 2020
  • Information on th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conventional methods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that can support decision making about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Through the IoT sensor, the building's energy data and indoor air quality data are collected, and the monitored data is visualized through the ELK Stack and produced as a dashboard. In addition, the target building is photographed with a 360-degree camera and maps using a tool to create a 360-degree tour. Using such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users of buildings can obtain various information in real time without visiting buildings directly. This can lead to changes in actions or actions for building management, supporting facility management decisions, and consequently reduc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 PDF

블랙박스 하드웨어 프로토타이핑을 위한 명령어 추출 기법 (An Instruction Extraction Method For Dashboard Camera Prototyping)

  • 이상민;정대진;최재윤;심재균;안정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9
    • /
    • 2015
  • 현대인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보안, 안전 등 미처 고려되지 않던 분야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부각되면서 CCTV, IP카메라, 차량용 블랙박스와 같은 영상기반 시스템에 대한 시장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맞춰 다양한 영상기반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개발 단계에서 낭비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프로토타이핑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기존의 프로토타이핑을 위한 도구는 비용이나 속도측면에서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기반 시스템 중 블랙박스의 하드웨어를 풀 시스템 에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수행되는 명령어 추출을 통해 시스템의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하드웨어 프로토타이핑 도구를 제안한다. 또한 ARM 시스템용으로 컴파일 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명령어와 추출도구를 통해 추출된 명령어를 비교하여 동작을 확인한다.

차량 내 영상 센서 기반 고속도로 돌발상황 검지 정밀도 평가 (Precision Evaluation of Expressway Incident Detection Based on Dash Cam)

  • 남상기;정연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14-123
    • /
    • 2023
  •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CV) 기술 발전으로 폐쇄회로 TV(Closed-Circuit television: CCTV)와 같은 영상 센서로 돌발상황을 검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기술은 대부분 고정식 영상 센서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식 장비의 영상 범위가 닿지 않는 음영지역의 돌발상황 검지에는 한계가 존재해왔다. 최근 엣지 컴퓨팅(Edge-computing)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식 영상정보의 실시간 분석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는 차량 내 설치된 이동식 영상 센서(dashboard camera 혹은 dash cam)에 컴퓨터 비전 기술을 도입하여 고속도로에서 실시간으로 돌발상황 검지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도로공사 순찰차량에 장착된 dash cam에서 수집된 4,388건의 스틸 프레임 데이터 기반으로 학습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YOLO(You Only Look Once)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객체 모두 예측 정밀도가 70% 이상으로 나타났고, 교통사고는 약 85%의 정밀도를 보였다. 또한 mAP(mean Average Precision)의 경우 0.769로 나타났고, 객체별 AP(Average Precision)를 보면 교통사고가 0.90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낙하물이 0.62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