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rk Northern Spring whea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밀의 기울과 배아에서 추출한 기름의 자동산화 안정성 및 미량성분 비교 (Comparison of Autoxidative Stability and Minor Compounds in Oils Extracted from Bran and Germ of Keumkang Wheat and Dark Northern Spring Wheat)

  • 최현기;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28-635
    • /
    • 2009
  • 금강밀 또는 Dark Northern Spring(DNS)밀의 기울과 배아로부터 추출한 유지(WBG유)를 빛을 차단하고 $50^{\circ}C$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값, 지방산조성 변화로 자동산화안정성을 평가하였고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엔올, 카로티노이드, 인지질 함량 변화도 함께 측정하였다. 금강밀과 DNS밀에서 추출한 WBG유는 초기 과산화물값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금강밀 WBG유는 DNS밀 WBG유에 비해 높은 유리지방산값을 보였다. 또한 금강밀 WBG유는 DNS밀 WBG유보다 리놀레산이, DNS밀 WBG유는 금강밀 WBG유보다 올레산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 인지질 함량은 DNS밀 WBG유에서 많았으며 토코페롤과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반대 경향을 보였다. 금강밀과 DNS밀에서 추출한 WBG유는 산화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산화속도는 두 기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금강밀과 DNS밀 WBG유의 자동산화 중 카로티노이드와 인지질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분해되었고, 인지질함량이 WBG유의 자동산화정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밀의 기울과 배아에서 추출한 기름의 광산화 과정 중 천연산화방지성분의 변화 (Changes in Natural Antioxidants in Oils Extracted from the Bran and Germ of Keumkang and Dark Northern Spring Wheats During Photo-oxidation)

  • 최현기;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4-20
    • /
    • 2010
  •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DNS)밀의 제분 중 발생하는 기울과 배아로부터 추출한 기름(WBG oil)을 $5^{\circ}C$, 1700 Lux로 12일 동안 광산화시킬때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인지질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 이들과 WBG oil의 광산화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인지질은 WBG oil의 광산화 중 분해되었으며 DNS밀 WBG oil이 금강밀 WBG oil에서보다 토코페롤의 분해가 빨랐으나, 카로티노이드와 인지질 분해 속도는 느렸다. WBG oil의 광산화 정도와 산화방지성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으며 인지질이 WBG oil의 광산화에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었다. 금강밀 WBG oil에 비해 리놀레산 함량이 낮고 올레산 함량이 높았던 DNS밀 WBG oil은 지방산 조성은 물론 인지질의 높은 함량과 낮은 분해 속도에 기인하여 높은 광산화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는 빛의 존재하에서 DNS밀 WBG oil보다는 금강밀 WBG oil이 토코페롤 source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국산밀의 제면특성 (Noodle-Mak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 박남규;송정춘;김기종;이춘기;정헌상;정만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7-172
    • /
    • 1999
  • 우리밀의 소비촉진과 제면적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육성 11품종 (조광밀, 그루밀, 은파밀, 탑동밀, 우리밀, 올그루밀, 알찬밀, 고분밀, 금강밀, 서둔밀, 수원 265호)과 수입밀 2품종(DNS(Dark Northern Spring Wheat), ASW(Australian Standard White))에 대한 제면 가공특성을 분석하였다. 삶은 건면의 조직감에서 탄력성은 국산밀이 0.59-0.79 범위이었으며, 수입밀은 0.55-0.57로 낮았다 껌성은 알찬밀, 응집성은 금강밀, 부착성은 올그루밀, 견고성은 그루밀, 씹힘성은 조광밀, 인장력은 탑동밀, 파쇄력은 고분밀이 가장 높았으며, 생면의 조직감중 응집성은 은파밀, 고분밀, 수원 265호가 높았고 탄력성, 껄성, 부착성, 견고성, 씸힘성 등에서 고분밀이 높았다. 인장력은 알찬밀과 수원 265호가 컸다. 삶은 생면의 조직감에서는 탄력성은 탐동밀, 부착성은 그루밀, 껌성, 응집성, 견고성,씹힘성에서는 금강밀이 컸으며, 인장력은 수원 265호가 높았다. 삶은 건면의 관능검사 결과 색, 조직감 및 전체적 품질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전체적 품질은 ASW 가 가장 좋았고 그다음으로 탑동밀, 알찬밀, 금강밀 순이었다 삶은 생면도 고도의 유의성이 있였으며(p<0.01), 전체적 품질은 탑동밀이 가장 좋았고 그 다음으로 은파밀, 금강밀, 우리밀 순이었다.

  • PDF

국내산 밀의 제빵 적성에 관한 연구 (Bread-Making Properties of Domestic Wheats Cultivars)

  • 남재경;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00
  • 1997년에 수화된 탑동, 은파, 고분, 우리, 올그루, 금강밀의 6종의 국내산 밀과 표준밀로서 DNS(Dark Northern Spring)의 제빵 적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회분함량은 DNS가 0.54%인 반면 금강밀을 비롯한 국내산 밀의 회분함량은 고분밀을 제외하고 그보다 낮았으며 단백질함량은 DNS가 11.68%였고, 금강밀이 13.85%, 은파밀 12.53%, 고분밀 12.32%로 표준밀보다 높은 단백질함량을 보였다. Farinograph에 의한 Valorimeter value는 금강, 고분, 은파밀이 표준밀 DNS보다 좋은 결과였으며 Extensograph에서는 저항도가 45, 90, 135분에서 각시간 별로 증가하였으며, 탑동밀과 고분밀이 DNS보다 저항도가 컸다. 전분이 호화될 때의 점도 변화를 나타내는 Amylograph에서는 우리밀과 올그루 밀을 제외한 4종의 국내산 밀의 호화온도가 DNS와 같거나 낮아 제빵용으로 적합하였다. 식빵의 외관 특성에서 올그루밀이 표준밀과 다른 국내산 밀에 비해 낮은 점수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금강밀은 껍질의 색과 질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 외관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식빵의 내부 특성에서는 식빵 단면의 기공, 색상, 향, 맛에서 올그루밀이 낮은 값으로 다른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색상에서 고분, 금강밀이 다른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 PDF

국산 밀가루의 반죽특성 (Dough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Flour)

  • 정헌상;박남규;송정춘;김기종;정만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1-166
    • /
    • 1999
  • 우리밀 생산농가의 소득증대와 소비촉진을 위한 연구로써 국내 육성 11개 밀품종인 조광밀, 그루밀, 은파밀, 탑동밀, 우리밀, 올그루밀, 알찬밀, 고분밀, 금강밀, 서둔밀, 수원 265호와 수입밀인 DNS Dark Northern Spring Wheat) 및 ASW (Australian Standard White) 등에 대하여 반죽특성을 살펴보았다. 밀가루 반죽의 점착성은 조광밀이 81.8g으로 가장 컸으며, 국산밀의 평균이 54.0 g, 수입밀 DNS 52.9 g, ASW 58.7 g 이었다. 인장력은 탑동밀이 87.6 g으로 가장 컸다. 조직감중 탄성, 껌성, 견고성 및 씹힘성은 우리밀이 각각 0.980, 1.022.8, 1,562.7. 1,00.9로 가장 높았으며, 응집성은 수원 265호가 0.710, 부착성은 그루밀이 -609.4로 가장 높았다. Amylogram특성에서 밀가루의 호화개시온도는 65-69$^{\circ}C$ 범위이었으며, 최고점도와 최저점도 및 5$0^{\circ}C$ 냉각시 최종점도에서 우리밀이 각각 1,140 B.U., 1,100 B.U., 1,730 B.U.로 가장 높았다. Farinogram 특성에서 흡수율은 도달시간이 3.52분으로 가장 긴 수원 265호가 65.1%로 가장 컸으며, 반죽의 형성시간과 약화도 및 안정도에서 고분밀이 각각 9.7분, 32.1분 및 29.9분으로 가장 길었으며, 반죽의 저항성은 올그루밀이 110 B.U.로 가장 높았다.

  • PDF

내외국산 소맥의 주요품종별 제분성 비교연구 (Studies on the milling quality of major varieties of domestic and foreign produced wheat)

  • 김희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0권
    • /
    • pp.57-60
    • /
    • 1971
  • 한국산 소맥 5품종과 미국산소맥 3품종을 밀과 밀가루의 성분ㆍ회분ㆍ조단백질함량 및 제분율을 조사하였는데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은 한국산밀이 미국산밀보다 품종과 시료에 따른 차가 컸다. 2. 밀의 회분함량이 미국산 밀에서는 경질과 연질에 따라 차가 현저했는데 한국산밀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3. 제분율은 한국밀중에서는 육성 003 한 품종만이 비교적 높고 기타는 미국밀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4. 밀가루의 회분함량은 품종간의 차를 인정할수 없었다. 5. 밀가루의 조단백질함량은 한국밀보다 미국밀중에 현저히 높은 것이 있었다. 6. 밀의 조단백질함량과 밀가루의 조단백질함량과의 상관은 한국밀에서 보다 미국밀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 PDF

우리밀의 면역증강능 규명 (Screening of Immune-Enhancing Substance(s) from Korean Wheats)

  • 최면;박재봉;김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07-31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xcellent immune-enhancing substance from Korean wheats(Eunpa, Gueru, Alchan, Topdong, Suwon 267, Gobun) compared with imported ones(Australian standard white, ASW; Dark northern spring, DNS). Phagocytic activities of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 and EA(ethanol-acetic acid) extracts from the wheats were determined using mouse macrophage J774 cell line. In order to set the optimal experimental condition up, the cultured cells were tested in varying experimental conditions. About two to five times higher phagocytic activity was shown in EA extract of Korean wheats compared to that of imported wheats. PBS extracts of wheats did not show increased phagocytic activity compared to control that did not add any extract. The EA extract of Gobun wheat showed the highest phagocytic activity. From the experiment we found that the optimal experimental condition was shown in two hours of reaction time and 0.05mg amout of EA extract added to J774 cells.

  • PDF

한국산 소맥과 수입 소맥의 무기질 특성과 phytate 비교 (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Minerals and Phytate between Korean and Imported Wheat Varieties)

  • 고봉경;임승택;이귀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1-237
    • /
    • 2000
  • 한국산 소맥 고유의 무기질에 관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산 소맥 5품종과 외국산 소맥 3가지 품종의 회분함량과 밀가루 및 반죽의 색깔, 무기질 조성과 phytate 함량을 조사하였다. 한국산 밀 품종은 수입 소맥보다 회분 함량이 많으며 통밀의 회분 함량이 많을수록 밀가루의 회분 함량도 증가되었다. 또한 통밀의 회분 함량이 중가하면 밀가루의 적색도가 높아지며 따라서 백색도가 저하되는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한국산 통밀의 무기질 조성은 Mg, Fe과 P 등이 수입소맥들과 비교하여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제분된 밀가루에서는 Fe의 함량이 수입소맥들과 비교하여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Fe은 통밀과 밀가루 모두에서 한국산 소맥에 월등히 많은 양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Fe은 제분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으며, 겨와 호분층 이외에 배유에도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제분된 뒤에도 Fe은 밀가루에서 많은 양 검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무기질의 흡수를 제해하는 phytate는 한국산 소맥이 수입소맥들과 비교하여 많은 양 함유되어 있었으나, 제분된 밀가루에서는 함량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밀가루와 통밀의 phytate 함량간에 유의적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아 많은 양의 phytate가 제분과정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통밀의 phytate 함량과 통밀의 P 함량간에는 유의적 상관관계가 확인되며 밀가루의 phytate 함량과 밀가루의 P의 함량간에도 유의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한국산 소맥의 P는 phytate 내에 존재하는 P가 상당부분 차지하며, phytate가 제분과정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P도 제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산 밀의 품종별에 따른 아미노산, 구성당 및 무기질 조성 (Composition of Amino Acids, Sugars and Minerals of Domestic Wheat Varieties)

  • 김종태;조성자;황재관;김철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9-235
    • /
    • 1997
  • 국내산 밀(그루, 수원 257, 은파, 조광, 탑동)과 수입 밀(ASW, DNS)을 70% 제분수율로 제분한 밀가루와 통밀의 단백질, 아미노산, 구성당 및 무기질 조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국내산 통밀중 은파와 탑동의 경우 단백질 함량이 약 15%을 나타내었고, 제분한 밀가루는 약 1% 가량 낮은 함량을 보였다. 국내산 밀가루에 있어서 아미노산 조성은 점탄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글루탐산과 프롤린의 함량이 높았고, 제한 아미노산은 국내산이 ASW 보다는 높고 DNS 보다는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수원 257과 탑동의 제한 아미노산 함량이 높았다. 제분 전후의 아미노산 함량에 있어서 글루탐산과 프롤린은 증가하나 리진과 트레오닌 등의 제한 아미노산 양은 감소하였다. 구성당의 조성은 통밀의 경우 밀가루 보다 아라비노스와 자일로스의 함량이 높았으며 글루코스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국내산 밀은 외국산 밀에 비하여 아라비노스와 자일로스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밀가루와 통밀에 있어서 무기질 함량 중 인, 칼륨, 칼슘의 함량은 ASW와 DNS에 비하여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알루미늄과 실리카의 함량은 비슷하거나 소량 증가하였다.

  • PDF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이 라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at Flour Protein Contents on Ramyon (deep-fried instant noodle) Quality)

  • 정구식;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49-655
    • /
    • 1991
  • 단백질 함량이 9.12-9.78%인 HRW-WW와 DNS-WW 밀가루를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제조한 라면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조리된 라면의 무게와 부피는 일정한 조리시간에서 단백질 함량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다. 단백질 함량에 따른 HRW-WW와 DNS-WW 라면의 조리 성질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라면을 4분 조리한 후 무게와 부피는 HRW-WW의 경우 파리노그라프와 익스텐소그라프의 지표와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아밀로그라프의 지표와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DNS-WW의 경우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라면의 관능검사 결과 적정 단백질 함량은 9.28-9.62%이었고 HRW를 DNS로의 대체 효과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