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p-ho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2초

조선시대 답호(塔胡) 연구 - 17세기 전기까지 - (A Study of Dap-ho(塔胡) in Joseon Dynasty - Until the Early $17^{th}$ Century -)

  • 송미경
    • 복식
    • /
    • 제59권10호
    • /
    • pp.51-67
    • /
    • 2009
  • The study is about 'Dap-ho', a kind of men's coat in the early, and mid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study examined the kinds, color, and fabric of Dap-ho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t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 and the change of shape through excavated costume, and the period is limited until early 17th century.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is record of Dap-ho from King Sejong period to Gwang-hae-gun period. After 160 years, it appears again in King Young-jo period, and remains until King Soon-jong period. It was mentioned 168 times, from over 100 cases. There are 26 colors of Dap-ho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among them, green appears the most. Thin fabric, like Joo [紬], Sa[紗], and Cho[綃] was used often, and there are records of double layered, and cotton padded Dap-ho. The period when Dap-ho appears as excavated costume is almost the same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disappears after the decease of Dae-ho Kang(1541-1624), and Sun-un Yun(1580~1628). After in this period, Dan-ryung, and Jik-ryung changes into double layered clothes, and Jik-ryung functioned as the underclothes of Dan-ryung, instead of Dap-ho. The excavated costumes of Hwak Kim(1572~1633), and Eung-hae Lee(1547~1626) proofs this. But Dap-ho was called 'Jun-bok', 'Dugree', Que-ja', and 'Dap-ho' until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답호의 조형특성을 응용한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using characteristic the Joseon dynasty Dap-ho)

  • 염순정;김은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7-101
    • /
    • 2019
  • The sleeve is closely connected with activity in terms of costume. As a kind of overcoat, Dap-ho of the Joseon Dynasty is short-sleeved or sleeveless. Dap-ho, with simple sleeves is convenient for layering and taking off and since it is easily adjustable using a gusset, a slit, or coat string, and this can be applied to layered look-related design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esign item, which sustains the existence of traditional costumes and facilitates diverse layered looks and co-ordination, using the formative elements of Dap-ho. For this study, theoretical backgrounds and relics of Dap-ho of the Joseon Dynasty were analyz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cient literature,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relics preserved in museums. The analysis targeted nine relics that show the birth and death years and the constructive changes in shapes, colors, materials of Dap-ho. Formative elements of Dap-ho were applied to the designing and the manufacturing of clothes for middle-aged women in their fifties and the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the silhouette, gusset, slit, and the indirectly attached coat string of Dap-ho are good to be used as various design items for covering the body shapes of middle-aged women, and the short-sleeved or sleeveless type is convenient to be layered. Second, when it comes to the material, it is possible to emphasize a traditional image and practicality at the same time by mixing and matching the Hanbok cloth and cotton. Third, in relation to the colors, the coexistence-based color arrangement method considering the theory of Yin and Yang can be applied to modern clothes and this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a traditional image in a harmonious way.

다이머산계 폴리아미드의 합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imer Acid-Based Polyamides)

  • 박현주;전호균;오상택
    • 접착 및 계면
    • /
    • 제17권4호
    • /
    • pp.136-14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aliphatic diamine 또는 aromatic diamine을 함유하는 다이머산계 폴리아미드 수지를 축합중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FT-IR로 폴리아미드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Diamine의 구조에 따라 합성된 폴리아미드의 기계적, 열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방향족 diamine 함유 폴리아미드(DAP)의 경우 지방족 diamine 함유 폴리아미드(DAH) 보다 인장강도와 전단접착강도가 우수하였다. DSC thermogram에서 DAP는 DAH 보다 높은 $T_g$$T_m$을 나타내었다. DAP의 연화점은 $112-115^{\circ}C$이고, DAH는 $98-121^{\circ}C$이었다.

조리개형 X선 콜리메이터의 개발에 따른 유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by Development of IRIS Type X-ray Collimator)

  • 강인석;박재윤;임청환;최재호;정홍량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3호
    • /
    • pp.249-254
    • /
    • 2018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DAP(Dose Area Product) reduction effect of the newly developed IRIS collimator by measuring the DAP of the Rectangle collimator and the IRIS collimator depending on the field, SID(Source to Image recpetor Distance) change, and AEC mode u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RIS collimator decreased DAP by 34.91, 29.33, and 29.04%,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Rectangle collimator when the field was increased to $8{\times}8$, $12{\times}12$, $16{\times}16inch$. And also, when the SID was increased to 100, 120 and 140 cm, the IRIS collimator decreased DAP by 10.73, 33.68 and 46.22%,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Rectangle collimator. In AEC mode and none-AEC mode, DAP in IRIS collimator was reduced by 32.71 and 21.69%,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Rectangle type. The IRIS collimator can reduce DAP by 29.62% on average compared to Rectangle type,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wly developed IRIS collimator can be used in medical field to alleviate radiation exposure.

홈 헬스를 위한 메디컬 센서노드의 분산보관 프로토콜 (Distributed Archiving Protocol between the Medical Sensor Nodes for the Home Health Service)

  • 이영호;장희태;이병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80-90
    • /
    • 2012
  • 메디컬 센서노드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는 홈 헬스 게이트웨이가 장애중이더라도 분실되지 말아야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장애 중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면 메디컬 센서노드가 임시로 로컬저장소에 저장하거나 다른 센서노드와 상호 교신하여 저장 공간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센서노드를 선정한 후 분산 보관한다면 생체정보의 분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보의 측정주기는 생체정보의 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분산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기기마다 다르므로 보다 효율적인 보관기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다양한 측정주기를 갖는 생체정보 센서노드간의 효율적 분산보관 프로토콜(DAP)을 제안하였다. 또한 DAP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센서노드와 게이트웨이 간에 DAP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을 한 결과, 99.3%의 높은 회수율과 적중률을 구할 수 있어 일시적인 장애에는 센서노드가 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란탄족(III)족 이온과 Diaza-18-crown-6-diisopropionic Acid의 착화합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mplexation of some Lanthanides with Diaza-18-crown-6-diisopropionic Acid)

  • 김정석;이창헌;한선호;서무열;엄태윤;박진하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40-848
    • /
    • 1992
  • 이온성 거대고리 리간드, diaza-18-crown-6-diisopropionic acid(K22DAP)를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의 양성자화 상수와 몇 가지 란탄족원소와의 안정도 상수를 전위차적정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양성자화 상수는 log$K_1$ = 9.05, log$K_2$ = 8.37, log$K_3$ = 1.88 및 log$K_4$ = 0.99이고, La(III), Nd(III), Gd(III) 및 Lu(III)와의 안정도 상수 (logKML)는 각각 11.14, 11.43, 11.74 및 10.88이었다. 거대고리 이온운반 물질로서 K22DAP를 사용하고 TTA(thenoyltrifluoroacetone)를 추출제로 하여 란탄(III)족 이온의 추출성질을 연구하였다. pH 8.0의 수상에서 La(III)과 Nd(III)이온은 주로 삼성분착물 Ln(K22DAP)TTA를 형성하였다.

  • PDF

의료 및 산업용 X-선 발생장치의 선량평가를 위한 면적선량계(DAP) 개발 (Development of DAP(Dose Area Product) for Radiation Evaluation of Medical and Industrial X-ray generator)

  • 곽동훈;이상헌;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95-49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의료 및 산업용 X-선 발생장치의 선량평가를 위한 면적선량계(DAP)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Ion-Chamber를 이용한 면적선량 측정기술을 기반으로 진단용 X-선 장치에 의해 발생된 피폭선량을 명확히 측정할 수 있다. 면적선량계의 하드웨어부는 공기 중에서 X-선에 의해 전리되는 전하의 양을 측정한다. 미소 전류를 통한 누적선량 측정을 위한 고속 처리 알고리즘부는 입력 손실 없이 낮은 구현비용(전력)으로 X-선에 의해 전리되는 전하의 양을 측정한다. X-선 발생장치의 동작에 동기화된 유무선 송수신 프로토콜부는 통신 속도를 향상시킨다. 연동 및 에이징을 위한 PC 기반 제어 프로그램부는 실시간으로 발생된 X-선량을 측정하여 PC용 GUI를 통해 측정 그래프 및 수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공인시험기관에서 평가한 결과, 각각의 에너지 대역(30, 60, 100, 150kV)에서 면적선량계에 측정되는 값이 선형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4등분한 지점에서 측정기의 지시치에 대한 표준편차가 ${\pm}1.25%$를 나타내어서 면적선량계가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한 측정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한편, ${\pm}4.2%$의 불확도가 측정되어서 국제 표준인 ${\pm}15%$ 이하에서 정상동작 됨이 확인되었다.

항산화 성분을 함유한 PE 필름이 반건오징어 저장 중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Preparation of Antioxidative Polyethylene Film and Its Effects on the Lipid Oxidation of Semi-dried Squid during Storage)

  • 김영명;박형우;변지영;김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7
    • /
    • 2005
  • Antioxidative polyethylene films for food packaging were experimentally prepared by fortification of TBHQ(tertiary butylhydroquinone) and dl-a-tocopherol at the weight ratio of 0.05, 0.2 and 0.5%, respectively and laminated with nylon. TBHQ and tocopherol contents in the PE/nylon film were analyzed an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film were investigated on the lipid oxidation of semi-dried squid during storage at 5℃ and l5℃. TBHQ contents of TAP 1(TBHQ 0.05%), TAP 2(TBHQ 0.2%) and TAP 3(0.5%) were 38, 146 and 365 mg/100g, respectively. Tocopherol contents of DAP l(tocopherol 0.05%), DAP 2(tocopherol 0.2%) and DAP 3(tocopherol 0.5%) were 33, 139 and 356 mg/l00g, respectively. TBA value and POV during storage of semi-drid squid were affected both by storage temperatures and packaging films. Lipid oxidation during storage was retarded by anti-oxidative films, as TBA value of TAP 3 and DAP 3 revealed about 50% of control after storage at 5℃ for 20 days and similer effects in POV were also observed.

DAP(Dose Area Product)를 이용한 TLD와 PLD의 선량 측정 비교 (Comparison on the Dosimetry of TLD and PLD by Dose Area Product)

  • 최재호;강구준;장서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44-250
    • /
    • 2012
  • 본 연구는 현재 법령 개인선량계인 PLD와 TLD의 선량 분석을 통해 성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동판독장치를 이용해 PLD와 TLD의 적산선량을 판독 후 선량 교정 과정을 거친 두 소자의 값은 70kVp, 200mA, 0.012sec와 42kVp, 100mA, 0.012sec의 각각의 촬영조건에서 TLD는 PLD 측정 시와 통계적 차이를 나타냈다(각각 p<0.001, p<0.001). DAP와 두 소자의 측정값 차이는 70kVp, 200mA, 0.012sec 촬영조건에서 TLD는 DAP 평균값보다 $44.2mGy{\cdot}cm^2$이 낮은 값이 나타났고, PLD는 DAP 평균값에 $15.5mGy{\cdot}cm^2$이 낮은 $246.8mGy{\cdot}cm^2$으로 나타났다. 42kVp, 100mA, 0.012sec 촬영조건에서는 TLD는 DAP 평균 값의 $17.9mGy{\cdot}cm^2$이 낮은 값을 보였으며, PLD는 DAP 평균값에 $7.6mGy{\cdot}cm^2$이 낮은 $82.6mGy{\cdot}cm^2$으로 나타나 PLD가 DAP에 더 근접한 값을 보였다. 또한 PLD에 비해 TLD는 10개의 각 소자마다 측정된 선량 값에서 소자 상호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고, 1개의 소자를 반복 측정한 재현성 실험에서 PLD는 ${\pm}1%$ 이내로 TLD ${\pm}2%$ 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PLD가 TLD에 비해 선량 측정 능력면에서 더 우수한 결과가 나타났고, 진단용 방사선영역에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개인피폭 관리에 PLD가 더욱 적합하고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