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aged tree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9초

대기오염(大氣汚染) 피해(被害) 소나무의 목재(木材)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ine Tree (Pinus densiflora S. et Z.) Damaged by Air Pollution)

  • 김윤수;박병대;심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105-112
    • /
    • 1987
  • 대기오염(大氣汚染)이 극심한 것으로 알려져있는 온산(溫山) 및 여천(麗川) 지역의 소나무 (Pinus densiflor)를 대상수종으로,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지난 10년간 전반적인 생장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생장감소의 시작년대와 상기(上記)지역에서의 공단(工團)의 가동 년도(年度)가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연륜년대학적(年輪年代學的) 고찰을 통해 입증할 수 있었다. 대기오염 피해지역의 소나무에 있어서 반경방향의 생장의 감소는 지난 10년간 온산(溫山)의 경우 70%, 여천(麗川)의 경우 60%에 달하였다. 이들 소나무는 춘재(春材)의 형성이 억제된 반면 피해기간 중의 추재율(秋材率)은 약 30% 정도 증가되었다. 대기오염 피해기간중 형성된 연륜내(年輪內)의 최대밀도(最大密度)는 건전재의 그것에 비해 약간 낮게 나타났다. 가도관의 치수의 경우 가도관장(假導官長)의 변이(變異)는 찾아볼 수 없었으나, 피해기간중 가도관벽(壁)의 두께와 그 직경은 감소하였다. 이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미시구조(微視構造)의 관찰결과, 하등의 이상조직(異常組織)이나 미생물(微生物)을 발견(發見)할 수 없었다.

  • PDF

솔잎흑파리 피해림의 소나무 생장에 관하여 (On the Growth of Pine Tree in the Damaged Forest by the Needle Gall Midge)

  • 임경빈;임웅규;황종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권2호
    • /
    • pp.66-71
    • /
    • 1977
  • The growth of red and black pines in Muan, Seochen, Gapyeong and Kochang areas was compared by means of th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and stem analysis to study the process of damages caused by pine needle gall midge. Red pine forest of Seocheon area began to suffer by pine needle gall midge from 1961 and the damage was to becoming severe from 1967. The damage became so intense tha tmany forests are withering to death from spring of 1975. Black pine forest also began to suffer from 1973. Red pine forest of Muan area was supposed to be suffered from 1973. Red pine forest of Kochang area suffered by pine needle gall midge from 1967. It seems that the damage became severe from 1973 and that black pine forest was also badly damaged from that time. Red pine forest of the control plot, Gapyeong area, began to suffer from 1967 and it also became intense from 1973. Although the areas of Seocheon, Muan, Kochang, and Gapyeon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locality and the infitration period of pine needle gall equally from 1967 due to mass development of population or other factors and the damage became more intense from 1973. Black pine forest was also badly damaged from that time. Black pine seems to be stronger in insect resistant than red pine. This can be justified by the fact that it began to suffer belatedly in each area and the degree of damage is moderate. The damage of Seocheon area is the severest following Kochang. Muan area is relatively moderate but the forest becoming decrease in growth.

  • PDF

서해안 곰솔림에서의 리지나뿌리썩음병 발생 및 확산 유형 (Occurrence of Rhizina Root Rot in 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 Located at the Western Coastal Area in Korea and Its Spreading Patterns)

  • 이승규;김경희;김연태;박주용;이상현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208-212
    • /
    • 2005
  • 2002년 6월에 서해안의 태안군 남면 달산3리에 위치한 약 20ha의 곰솔림내 27개소에서 각 개소당 평균 10나무씩 무리를 지어 합계 294그루가 고사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2002년 6월부터 2004년 8월까지 4개 고정조사구에서 죽거나 죽어가고 있는 나무의 상태와 피해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파상땅해파리버섯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1) 피해목이 최초 고사목 발생장소로부터 불규칙 동심원을 이루면서 확산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2) 파상땅해파리버섯이 죽은 나무의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3) 나무를 고사시킬 수 있는 해충이나 병원체가 발견되지 않아이 지역에서의 나무집단고사는 리지나뿌리썩음병원균(Rhizina undulate)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해지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결과, 피해지 토양의 pH는 $4.6\~5.79$이었으며, 토양양료수준도 대단히 낮은 상태이었다. 태안 피해지에서는 리지나뿌리썩음병 발생의 중요한 유인인자로 알려져 있는 모닥불 등 '불'을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본 병해 발생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적 유인에 대한 정밀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나무재선충 고사목 제거에 따른 산림훼손 보고 (Report on Forests Damaged Due to Cutting Trees Infected by Pine Wilt Disease)

  • 홍석환;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0-598
    • /
    • 2015
  •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다양한 방제방법에도 고사목은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 방제방법 문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재선충 확산 방지를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병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유충 폐사를 위한 감염목 훈증처리방법이다. 본 연구는 산림 내 소나무재선충 감염목 훈증처리지역에서 훼손 정도를 확인하고자 경상남도 밀양시 일대에 $100m^2$의 조사구 32개소를 설치하여 근원단면적과 수관단면적을 분석하였다. 훼손되지 않은 수목에서 도출한 근원단면적과 수관단면적의 회귀식(침엽수: $R^2=57.4$, 낙엽활엽수: $R^2=63.8$)을 바탕으로 훼손된 수목의 수관단면적을 유추하였다. 분석결과 수관단면적을 기준으로 재선충감염목은 18.7%이었으며 재선충과 무관하게 베어진 수목은 35.5%에 달했다. 소나무류의 경우 8.4%가 재선충과 관계없이 훼손되었으나 참나무류를 포함한 낙엽활엽수류는 훼손비율이 62%에 달했다. 소나무재선충 방재를 위한 훈증처리작업에 따른 아교목층 낙엽활엽수의 무분별한 제거는 산림의 온도저감, 습도조절 등 공익적 기능을 저하할 우려가 높았다.

고성 산불피해지에서 소나무 치수의 자연복원 패턴 (Natural Regeneration Patten of Pine Seedlings on the Burned Forest Site in Gosung, Korea)

  • 임주훈;김정환;배상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2-228
    • /
    • 2012
  • 산불 발생 이후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나무보다는 참나무류로 천연갱신되는 패턴을 보인다. 그러나 능선부나 암반지대 등 척박한 곳에서는 소나무가 일부 생존하며, 때에 따라서는 임분을 형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에서 능선부를 중심으로 소나무의 생장과 개체수를 조사하여 산불피해지에서 소나무의 천연갱신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산불피해지에서 소나무 개체수의 변화는 1회 지표화 피해지인 5번 조사구에서는 산불 발생 후 초기 5년간 증가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이는 지표화에 의해 하층식생이 제거되고 지표화 피해로부터 생존한 개체로부터 종자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회 전소화 피해지인 1, 2, 3, 그리고 4번 조사구의 경우 산불 발생 5년 이후부터 소나무 치수의 발생이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는데 이는 능선 근처에 소나무 잔존목이 존재하지 않아 종자의 유입이 어려워 소나무의 이입이 더뎠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토양 환경이 안정되고 종자를 생산하는 개체가 늘어 소나무 치수의 이입이 증가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나무 수고의 상대 생장율은 임분에 관계없이 시간 경과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모든 조사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결과이다. 따라서 산불피해지에서 자연 복원된 소나무의 수고 상대 생장율은 산불의 발생빈도나 형태와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개체수와 수고 생장속도에 영향을 끼치는 토양의 성질과 유실량, 그리고 주변 임분에서 자라는 참나무류의 생장에 관한 조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한편, 생존한 주변 소나무 임분의 유전학적 동정을 통해 소나무 치수의 이입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011년 남부지방 차나무 저온 피해 조사 (A Survey Low Temperature Damage of Tea Tree at South Korea in 2011)

  • 황정규;김용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6-253
    • /
    • 2012
  • 수분부족과 지속적인 저온현상으로 우리나라 주요 차 생산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는데, 이번 동해는 체내 수분부족으로 잎이 건조되어 퇴색된 녹색을 띄다가 고사하는 청고현상이 먼저 발견되었고, 대부분의 차(茶)재배지역에 피해를 입혔다. 이기간 동안 평균기온은 $0.2^{\circ}C$로 전년대비 $-2.7^{\circ}C$ 낮았고 2011년 01월과 02월의 최저기온의 평균기온은 $-5.6^{\circ}C$로 전년대비 $-4.5^{\circ}C$ 낮았으며, 가장 낮은 기온이 관측된 날은 01월 18일 06시 55분으로 $-11.8^{\circ}C$로 관측되었으며 전년 최저기온 보다 $-5.5^{\circ}C$ 낮게 관측되었다. 2010년 12월부터 2011년 02월까지 월동기간 동안 강우량은 104mm 밖에 되지 않아 전년보다 306mm 적게 내렸다. 색도 측정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2012년에 비해 2011년도에서 L, a, b값 모두 높게 나왔고 수분함량 또한 2012년보다 2011년 잎의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Trypan blue분석에서는 저온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정상 차나무 잎에서는 세포사멸 현상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저온 스트레스를 받은 청고피해 잎은 부분 세포사멸이 되어 부분 염색이 일어났으며, 적고피해 잎에서는 대부분 세포사멸이 일어나 대부분 염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프장의 생태적 리노베이션 방안으로서 식재모델 제안 (Vegetation Model for Naturalness Restoration as an Ecological Renovation in a Golf Course)

  • 이현정;강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5-86
    • /
    • 2004
  •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natural forests focusing on vegetation as a way of ecological renovation for the restoration of naturalness for golf courses that were constructed in the Country and to present vegetation models and appropriate tree species for the purpose. The study site is P golf club, which is located in Gapyong-gun, Kyeonggi Province. The site is within a forest where the grade from the natural ecology map is the first one and the level from the green index accounts for the eight, thus showing a typical environment for a golf course in terms of location. The location of the site explains a reason for restoration. The major substance of the study is to conduct ecological evaluation of vegetation structures around and inside the golf course and to present a vegetation model. In order to evalu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s, the analysis of the study covered succession stages, multi-layer vegetation structures and species diversity. Plant communities that have high species diversity were selected for the vegetation model and proper density and species were proposed considering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and distances between trees. The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targets succession into an oak forest. Within a unit of 100 $m^2$, the recommended model include a tall-tree layer with 11 trees such as Quercus serrata and Quercus mongolica, a sub-tall-tree layer with 12 trees including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Prunus sargentii, Fraxinus rhynchophylla and Acer pseudo sieboldianum, a shrub layer with 32 trees from 16 species, and a grass layer with a cover rate of 45 %. The proposed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needs to apply to : 1) damaged natural forests by the construction of golf courses; 2) boundaries between golf courses and surrounding forests; 3) buffer zones; 4) open spaces in between courses; and 5) areas between greens and tees where open spaces are available in a mass. In conclus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resenting a vegetation model for the restoration of naturalness in the golf course and other damaged forests is to provide multi-layer vegetation structures that are composed of native species. As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for the site, it is recommended to manage the vegetation in such a way that the environment of the site can have a similar environment to the surrounding forest which is expected to succeed into an oaks-dominant one.

한라산 구상나무 구과 해충 발생 현황 (Occurrence status of cone insects on Korean fir (Abies koreana) in Mt. Halla)

  • 김도성;이영돈;좌명은;이차영;남영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7-420
    • /
    • 2020
  •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에서 구과 해충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8-10월에 3개 지역의 4개 조사구에서 구과 117개를 수집하여 생육상에서 우화시킨 후 출현종과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지역별 구과 해충의 피해율 조사를 위해 4개 조사구에서 93그루 1,235개 구과의 구과해충 피해를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채집된 117개 구과에서 솔알락명나방 233개체, 구상애기잎말이나방 101개체, 똥파리 4개체가 확인되었다. 구과 당 평균 개체수는 솔알락명나방 1.99, 구상애기잎말이나방은 0.86개체로 솔알락명나방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라산 4개 조사구 전체 구상나무 구과의 평균 피해율은 49.7에서 80.1%로 조사구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구과 피해율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을수록, 피해 구과에서 우화하는 구과해충 수는 구과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구과 해충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구과를 갖는 구상나무를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반도 도서지역의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Plants Social Network on Island Area in the Korean Peninsula)

  • 이상철;강현미;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7-142
    • /
    • 2024
  • 본 연구는 난온대림에 속한 도서지역에서 조사한 대량의 식생 데이터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식물군락의 수종간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상록활엽수 성숙림에 출현하는 교목성 후박나무·구실잣밤나무·생달나무·광나무, 관목성 돈나무·자금우, 덩굴성 마삭줄·멀꿀이 서로 강한 양성결합(+)을 보였다. 이 수종들은 낙엽활엽수종과는 음성결합(-)하거나 친소관계가 없었는데 이는 입지환경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식물사회네트워크 소시오그램에서 4개의 그룹으로 묶어 상록활엽수종인 그룹I과 낙활엽수종인 그룹II의 수종간에는 중심성과 연결성이 높게 나타났다. 소시오그램의 수종(노드) 배치와 연결정도(그룹화)는 DCA분석와 같이 환경요인과 식물군집의 특성을 간접적으로 추정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식물사회네트워크상 중심성과 영향력이 큰 수종은 마삭줄·사스레피나무·생강나무·때죽나무 등이었다. 이 수종은 생태적 지위의 범위가 넓은 일반종이면서 숲틈과 훼손지 등에 흔히 출현하는 기회종의 특성과 생존전략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 수종들이 식물군집의 종간 상호작용과 군집의 구조와 기능 변화에 그 역할이 클 것이다. 하지만 실제 식물사회에서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식물군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장기적인 연구와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LPG 판매소에서 가스 폭발이 주위 아파트에 미치는 영향 평가 (Consequence Analysis of Gas Explosion in LPG Vessel Retail Store Which is Located around Apartment Complex)

  • 이수경;배용범;오정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8-5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LPG용기를 취급판매 하는 소매상점에의 화재 및 폭발 상황시 인근 아파트 단지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피해 분석을 하였다. 위험성 평가는 피해분석과 빈도분석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는 피해분석에 중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피해분석을 위하여 두 개의 최악시나리오를 Event Tree Analysis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W equivalent Method와 컴퓨터 모델링을 통하여 과압과 비산정도를 예측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소매상점으로부터 거리별 영향분석을 실시하여 폭발사고 발생시 실제 얼마만큼의 위험 영향이 미치는지를 정량적 분석으로 표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