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 Outflow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9초

용담댐 시험유역 특성자료분석 연구 (Analysis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ngdam Dam experimental basin)

  • 황의호;채효석;이근상;고덕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44-1449
    • /
    • 2006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로 되어 있고, 토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하므로 유역이 다양한 지형, 토양, 식생, 토지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수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유출량의 계산을 위해서는 직접유출 뿐만 아니라 기저유출까지 재현할 수 있는 유역수문모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유역내 수문인자의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위해서는 유역출구에서 뿐만 아니라 유역전체에 대한 수문인자를 평가할 수 있는 분포형 모형이 요구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수자원관리 및 개발 계획수립을 위한 물리기반 수문모형의 개발 및 적용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우리 공사도 유역조사에서 PRMS 모형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 등 이수분야에 물리기반 모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USGS WEASEL은 PC Arc/Info 기반에서 구동하는 방식으로 사용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측면에 있어 불편함이 초래하고 있으며, 현재 GIS 기술의 발달과 함께 ESRI ArcGIS9.1이 개발되어 GIS를 이용한 분석에 있어 편리성을 제공하여 많은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편리한 모델링 환경 제공을 신기술 적용 및 국내 자연환경에 적합한 유출매개변수 도출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선진 사례 벤치마킹을 통한 수자원 DB로부터 물리기반 수문모형 입력 자료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전 후처리기를 개발하고, 다양한 수문 수질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GIS 기반의 입출력 컴포넌트를 개발하였다.

  • PDF

홍수추적 속산도식해법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quick graphical method of flood routing)

  • 박정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079-4086
    • /
    • 1976
  • In many reservoir projects, economic considerations will necessitate a design utilizing surcharge. Determination of the most economical combination of surcharge and spillway capacity for a given spillway crest level will require flood routing studies and economic studies of the dam-reservoir-spillway combinations. Many methods of actual flood routing have been devised, each of them with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ome of these methods are listed below: (1) Arithmetical trial-and-error method. (2) Modified Puls' method (3) Cheng's graphical method (4) Horton's arithmetical method (5) Ekadahl's arithmetical method (6) Digital computer programming. For the purpose of preliminary design and cost estimating of dams and spillways, it is often required to estimate, for a given design flood and spillway crest level. the approximate values of two among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spillway spillway length, maximum discharge and surcharge depth at maximum discharge, when one of these quantities is given. As is well known, the outflow hydrograph for an ungated overflow spillway assumes the form of a wave-shaped curve with a minimum point for Q=o At zero time and a maximum point for Q=Qmax at its intersection with the falling leg of the inflow hydrograph (see Fig. 4) The shaded area between the inflow and outflow hydrographs represents at the approximate scale the temporary retention Vt. In line with the remarks, draw by free hand the assumed outflow hydrograph with its maximum point for the given Qmax (see Fig. 4) and by planimetration find Vt. From the reservoir capacity curve (Fig. 3) find Vs for the given spillway crest level and make V=Vs+Vt. From the above curve find surcharge water elevation for V and surcharge depth Hmax over spillway crest. From the discharge formula compute {{{{L= { Q} over { { CH}^{3/2 } } }}}} The methed provides a means for a quick and fairly accurate estimation of spillway capacity.

  • PDF

지하저류조 신설에 따른 우수 유출량 저감 (Reduction of Rainfall Runoff by Constructing Underground Storage Tank)

  • 송창근;서일원;정영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927-9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댐 하류 노천강당 유역과 공대폭포 유역에 지속시간 1시간 50년 빈도 강우에 관한 저수지 홍수추적을 실시하고 지하저류조가 설치되는 경우 다음의 사항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1) 저류조의 저류량; (2) 우수유출량 및 첨두수위의 저감정도; (3) 지체시간 변화; (4) 신설 지하저류조의 유출입부 암거 설계. 노천강당 유역에 $25,000m^3$ 저류조가 설치되는 경우 총 유입량 대비 49.43 %의 저류효과가 발생하고 49.64 %의 첨두 유량 감소효과와 28분의 지체시간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첨두 수위는 $15,000m^3$ 저류조에 비해 35 cm 낮게 나타났다. 기존 저류시설과 신설 지하저류조의 공동 운영을 통해, 홍수 발생 시 댐 유역에서 초과되는 유출량을 탄력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강수계의 수문자료와 원수탁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Hydrological Data and Raw Water Turbidity of Han River Basin)

  • 정안철;강태운;김성원;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1호
    • /
    • pp.1-9
    • /
    • 2016
  • 원활한 용수공급과 정수장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설계 유지 관리를 위해서 한강수계에 위치하고 있는 두 광역정수장의 원수탁도와 수문자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광역정수장의 취수원인 댐의 유입유량, 방류량, 강우를 수문자료로서 활용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서는 상관분석과 주성분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탁도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식을 제안하여 탁도 변화 예측을 수행하였다. 충주정수장의 원수탁도는 충주댐의 방류량(0.708)과 와부정수장의 원수탁도는 팔당댐의 유입량(0.805)과 높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관성이 높은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제안한 회귀식의 탁도 예측치는 상수도시설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수탁도 산정방법을 이용한 경우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래의 원수탁도를 예측하여 추가적인 정수장 건설 및 기존 정수장의 효율적인 유지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생 BOD 영향에 따른 남강댐 하류부 수질모델링 연구 (A Study on Water Quality Modeling for Autochthonous BOD Effect in Namgang Dam Downstream)

  • 황수덕;이성준;김영도;권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4호
    • /
    • pp.413-424
    • /
    • 2013
  • 오염발생부하량을 억제하고 환경 친화적으로 지역을 개발할 수 있는 유역중심의 수질관리정책으로 수질오염 총량관리제를 도입하게 되었다. 하지만 총량 관리제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낙동강 주요지천인 남강 하류부의 수질이 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남강 하류수계는 주변의 도시와 산업지역에 비점오염원이 산재하고, 하류수계의 물의 흐름이 더욱 완만해짐에 따라 수질 악화가 가속화되고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부영양화된 수역에서 BOD 농도는 유역으로부터 발생한 미처리 하수가 수역으로 유입되는 영향도 있지만 하천내에서 미처리된 영양염을 이용한 식물플랑크톤의 생산에 의해 공급되는 자생 BOD의 영향도 크게 작용한다. 남강하류의 수질관리를 위해서 유입 BOD와 자생 BOD의 기여도를 파악하여 오염 원인물질을 줄이기 위한 수질관리 방안이 설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생산 및 사멸에 의한 내부생산 유기물 증가를 고려하도록 국내에서 개발된 QUALKO2와 미국 EPA의 QUAL2E를 이용하여 자생 BOD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QUALKO2 모형에서Chl.a의 영향을 받는 구간에서 BOD 농도가QUAL2E 모형의 BOD 농도보다 증가하고, 실측값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QUALKO2 모형에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남강 하류의 수질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댐 방류량의 증가와 하수처리장 방류수질 개선 등에 의한 Chl,a의 저감 방안을 모색하여 자생 BOD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댐 배수조작에 따른 저수지내 탁수변화 모의 - 대청댐을 대상으로 - (Simulation of Turbid Water in the Stratified Daecheong Reservoir during Gate Operation)

  • 이재일;서세덕;이규성;하성룡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6호
    • /
    • pp.377-386
    • /
    • 2009
  • Due to severe flooding, the long-term residence of turbidity flows within the stratified Daecheong Reservoir have lengthened. A long-term residence of turbidity flows within the stratified Daecheong Reservoir after floods has been major environmental issu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to water supply from the hydrodynamics and turbidity outflow. Two gate operation scenarios were investigated. Scenario A refers to gate operations according to rainfall events, and scenario B refers to gate operations according to inflow. From the results of secenario A, the SS concentrations decreased from 0.44mg/l to 0.54mg/l at the front of the dam, whereas SS concentrations increased from 0.24mg/l to 1.24mg/l at the intake points at Munhi and Daejeon. From the results of scenario B, the SS concentrations decreased from 0.61mg/l to 0.83mg/l at the front of Dam; howeve, SS concentrations also decreased from 0.16mg/l to 0.48mg/l at the intake points at Munhi and Daejeon. It seems that it may be more efficient to control turbidity by creating additional outflows of generated discharge after intensive rainfalls than not.

1차원 비정상상태 하천수질모의를 위한 KORIV1-WIN 개발 (Development of One-Dimensional Unsteady Water Quality Model for River)

  • 정세웅;고익환;김남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563-567
    • /
    • 2004
  • During drought season, the self-purification capacities of the four major rivers in Korea are significantly controlled by environmental maintenance flows supplied from the mid- or upstream large dams. Therefore, it is obviously important to operate the dams considering not only water quantity aspects but also conservation of downstream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s. Mathematical water quality models can be efficiently used to serve as a decision support tool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operational alternatives of upstream dams on the downstream aquatic environment. In this study, an unsteady on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KORIV1-WIN was developed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numerical algorithms for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simulations of CE-QUAL-RIV1. It consists of hydrodynamic(KORIV1H) and water quality(KORIV1Q) modules, and pre- and post-processors for input data preparations and output displays. The model can be used to predict one-dimensional hydraulic and water quality variations in rivers with highly unsteady flows such as dam outflow change, rainfall-runoff, and chemical spill events.

  • PDF

댐붕괴 모델링을 위한 첨두붕괴유출량 예측식 검토 (Review of Peak Breach Outflow Predictors in Dam-Failure Modeling)

  • 김극수;김지성;김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46-1851
    • /
    • 2010
  • 댐붕괴 모델링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된 시기는 미국 Baldwin Hills 댐(1964)과 Lower Van Norman(San Fernando) 댐(1971) 붕괴 사고 이후이며 1970년대 발생한 Buffalo Creek 댐(서부 버지니아, 1972), Teton 댐(아이다호, 1976), Laurel Run 댐/Sandy Run 댐(펜실바니아, 1977), Kelly Barnes 댐(조지아, 1977) 붕괴 사고로 인해 미국 댐 안전 관리 프로그램의 포괄적 재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국내에서도 연천댐 붕괴(1996년)와 장현저수지와 동막저수지의 붕괴(2002년)로 하류에 위치한 가옥 및 농경지 침수로 인해 재산피해가 발생한 바 있으며, 2005년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의무화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오늘날 댐 붕괴와 붕괴로 인한 유출 수문곡선을 분석하는데 이용 가능한 수많은 도구들이 존재하고 있다.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가장 널리 이용되는 모형은 NWS Dam-Break Flood Forecasting Model(DAMBRK; Fread, 1977)이며 국내 댐 저수지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 DAMBRK 모형의 입력자료는 붕괴지속시간, 결괴부측면경사, 최종결괴부바닥표고, 댐붕괴시작수위 등이 요구되며, 이 중 결괴형성과정에 관련된 매개변수의 선정을 위해서는 댐붕괴 사례연구 자료가 활용되고 있다. 모형으로부터 도출된 붕괴유출수문곡선에 대한 적정성 평가는 과거 경험, 공학적 판단, 첨두유량 예측식에 의해 수행되고 있으며 가장 객관적인 기준이라 판단되는 첨두유출량 예측식은 사례연구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높은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까지 개발된 댐결괴 첨두유출량 예측식을 기반으로 국내 건설된 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필댐에 대해 댐높이, 댐형식별로 예측식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 PDF

물리기반 분포형 수문 모형과 딥러닝 기반 LSTM 모형을 활용한 충주댐 및 소양강댐 유역의 미래 수자원 전망 (Prospect of future water resources in the basins of Chungju Dam and Soyang-gang Dam using a physics-based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and a deep-learning-based LSTM model)

  • 김용찬;김영란;황성환;김동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2호
    • /
    • pp.1115-1124
    • /
    • 2022
  • 본 연구는 충주댐과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수문모형인 Variable Infiltration Capacity (VIC) 모형 기반의 댐 유입량 예측 모형과 딥러닝 모형의 일종인 LSTM 기반의 댐 방류량 예측 모형으로 구성된 통합 모델링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여 미래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기후모델에 따른 미래 기후자료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4개의 CMIP6 GCM 모델의 기후자료를 미래기간(2021-2100)에 대한 VIC 모형의 기상자료로 입력하였다. 미래기후자료를 적용한 결과, 미래가 진행됨에 따라 기간별 평균 유입량이 증가하였으며, 먼 미래(2070-2100)에는 관측기간(1986-2020)에 비해 유입량이 최대 22% 증가하였다. 갈수량 분석 결과, 임의의 4일~50일에 대한 댐 방류량의 최소값은 관측치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뭄이 과거에 관측된 것보다 더 장기간에 걸쳐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수도권 시민들이 미래의 가뭄으로 인해 심각한 물 부족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기 및 중기 미래에 비하여 장기미래에 저수량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졌으며 이는 수자원 관리의 어려움이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청호의 조류발생 분석 (Study on Algae Occurrence in Daecheong Reservoir)

  • 조완희;염경택;김진수;반양진;정세웅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3호
    • /
    • pp.367-380
    • /
    • 2012
  • There are many long and round shape shores due to terrain characteristics in Daecheong reservoir. Therefore it is indicated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of algae every year since the stream is being regulated by these terrain characteristics and reservoir operation about inflow and outflow discharge. Also oversupply of nutrient salt from tributaries of Daecheong reservoir where pollutants were concentrated generates massive growth of algae and depending on hydrological, reservoir operation condition, those proliferated algae at the stagnant tributaries moves to the mainstream of Daecheong reservoir which could create problems of water quality.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e tendency of algae generation by examining algae occurring status for the last 4 years since 2008, and implemented hydraulic analysis at Daecheong reservoir through numerical tracer simulation by applying 3-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ELCOM. Also it was implemen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the algae generation tendency and hydraulic behavior at Daecheong reservoir. Through numerical tracer simulation in this study, it could be noticed the degree of spread of inflow indicated similar trend to the algae occurring status at Daecheong reservoir and verified the different tendency of algae generation in 2011 unlike previous year caused by the rise of water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