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and alternate day feed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일일 및 격일 습사료 공급방법이 육성 넙치의 성장과 영양소 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ily and Alternate Day Feeding Regimens on Growth and Food Utilization by Juvenil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

  • 김정대;신승훈;조구긴;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1
    • /
    • 2002
  • 관행의 일일공급체제를 격일공급체제로 전환할 경우 넙치의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조사하고 습사료의 공급에 따른 질소와 인의 배설량을 측정 하기 위하여 펑균 체중 90 g의 넙치를 이용하여 양어장에서 8주간 사육실험을 수행하였다. 일일공급 (ED)구의 건물 섭취량은 펑균 107.7g으로 격일공급 (EO)구의 평균 섭취량 89.8 g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사료전환효율은 각각 1.51 (ED) 및 1.47 (EO)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리당 증체량은 섭취량이 높았던 ED구에서 마리당 71.6 g으로 EO구 (61.1 g)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P>0.05). 질소 증가량은 질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던 ED구가 2.13g으로 EO구 (1.76 g)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증체단위당 질소 배설량은 두 처리구 공히 약 113 g으로 동일하였다. 인 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어체내 인 증가량은 공히 0.5 g으로 동일하였다. 증체 단위당 인 배설량은 ED구가 27.6 g으로 EO구 (26.0 g)에 비해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에너지 섭취량은 ED구가 2523 kJ로 EO구 (2116 kJ)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그 결과 체내 에너지 증가량도 ED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에너지 축적효율은 각각 20.6% (ED) 및 18.9% (EO)로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관행의 일일공급체제를 격일공급체제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고단백질(高蛋白質)과 저단백질(低蛋白質) 사료(飼料)의 교대급여(交代給與)가 쥐의 성장(成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Some Effects of Alternate Feeding of High-protein and Low-protein Diets to Growing Rats)

  • 김영길;한인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7권4호
    • /
    • pp.1-5
    • /
    • 1974
  • 이유(離乳)한 40마리의 Albino쥐에게 고단백(高蛋白)과 저단백(低蛋白) 사료(館料)를 간격(間隔)을 달리하여 교대(交代)로 급여(給與)하였을때 성장률(成長率), 사료효율(飼料效率), 단백질(驚白質) 효율(效率), 간장(肝臟)과 내장(內臟)의 무게, 단백질(蛋白質) 소화율(消化率), 질소균형(塞素均衡) 등(等)을 조사(調査)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1일(1日) 간격(間隔)으로 고단백질(高蛋白質)과 저단백질사료(低蛋白質飼料)를 교대(交代)로 급여(給與)한 B구(區)는 중단백질사료(中蛋白質飼料)를 매일(每日) 투여(給與)한 A구(區)와 성장률(成長率),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에 아무런 효과(差異)가 없었다. 그러나 2일(日) 또는 3일간(日間) 저단백질(低蛋白質) 사료(飼料)를 급여(給與)한 다음 하루동안 고단백질(高蛋白質) 사료(飼料)를 급여(給與)하여도 중단백질(中蛋白質) 사료(飼料)를 매일(每日) 투여(給與)한 구(區)와 동일(同一)한 성장률(成長率)을 가져오지 못하였다. 2. 각구간(各區間) 단백질(蛋白質) 효율(效率)에는 아무런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3. 간중(肝重)은 체중(體重)에 비례(比例)하였으나 장중(腸重) 및 장장(腸長)은 각구(各區)간 차이(差異)가 없었다. 4. 각구간(各區間) 단백질(蛋白質)의 소화율(消化率)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나 요중(尿中) 실소(室素) 배설(排懲)은 B, C, D 구(區)가 모두 A구(區)에 비(比)해 유의적(有意的)으로 컸으며 질소(窒素) 섭취량(攝取量)에 대(對)한 체내(體內) 섭취량(攝取量)도 질소(窒素) 섭취량(攝取量)이 많은 구(區)가 떨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