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Operation

검색결과 624건 처리시간 0.023초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경로변경이 가능한 스마트 셔틀 운행기법 연구 (A Re-Routable Smart Shuttle Traveling Scheme for Smart Mobility)

  • 정성욱;강용수;손영훈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43-249
    • /
    • 2020
  • 4차 산업의 발달과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들은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 기술은 출발지에서 최종 목적지까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이동 및 운송하는 서비스로 단계별 운송수단의 활용(Multi-Modal Service), 효과적인 운송수단의 공유 등의 방법을 통해 보다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중 최종 목적지 도착단계에서 셔틀(Shuttle)을 이용할 수 있는데, 기존 셔틀 운행방법은 운행회사의 운용성만 고려한 방법으로, 일정한 한 방향으로만 주기적으로 운행하는 방법으로 운행함으로써 셔틀 탑승객의 효율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모빌리티를 지원하는 경로변경이 가능한 스마트셔틀 운행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셔틀운행 알고리즘, 셔틀 경로변경 알고리즘, 승객 셔틀탑승 알고리즘의 3가지로 구성되며 각각의 알고리즘들이 유기적이고 효과적으로 작동하여 기존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스마트 셔틀기법의 효과적인 성능분석을 위하여 심도있는 실험(Extensive Experiments)을 수행하였으며, 해당 실험을 통해 승객별 평균 23.6%의 목적지 도착시간 감소, 승객별 평균 10.37% 탑승 대기시간 감소, 그리고 시간당 평균 15.39% 셔틀 이동거리 단축의 성능향상을 보여준다. 이는 탑승자를 고려한 스마트 셔틀기법이 효과적인 경로변경을 통하여 기존 방법보다 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PAT 기반 온도장 보간을 이용한 관측위성의 열지향오차해석 (Thermal pointing error analysis of the observation satellites with interpolated temperature based on PAT method)

  • 임재혁;김선원;김정훈;김창호;전형열;오현철;신창민;이병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0-8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계절 및 주야의 온도변화를 고려한 관측위성의 열지향오차해석을 실시한다. 관측위성은 임무수행기간 동안 다채널의 관측센서를 이용해서 지구표면의 영상을 촬영한다. 그러나 주야 및 계절별로 최대 200도의 온도환경 차이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관측센서 및 별추적기의 시선벡터가 변화되고 정해진 목표지점의 영상촬영이 어렵다. 이런 문제를 사전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해서 열지향오차해석을 실시한다. 우선 궤도열환경해석으로부터 도출된 성긴 온도장 정보를 상세한 구조유한요소모델에 PAT기법을 이용해 보간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열변형해석을 수행하였다. PAT로 보간된 온도분포의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열변형해석결과로부터 열지향오차를 도출하였다.

The Research about Role Area of RT in Digital Environment - Centers on PACS Workplace -

  • Jung, Young-Tae;Park, Bum-Jin;Son, Gi-Gyeong;Jung, Jae-Ho;Kang, Hee-Doo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3-20
    • /
    • 2011
  • Now a days in our society, occupation boundaries have become blurred, and come into the limelight in the prior occupation or miss about new workplace. Medical area is no exception also, So we face urgent problem about protecting and spreading RT work-sphere simultaneously. This research allow to identify on RT role area of digital environment that is obscure profession-realm specially, and open up a new field hereafter. We examined present RT role area of digital environment in the more than thirty medical facility(general or university hospital) through questionnaire/visit survey from PACS administrator. Survey sentence comprises total 29 sentence over all main quadrisection-(eX. hospital formation & treatment state and PACS team composition & organization and PACS team workplace and PACS team daily workload), We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in general contents perspectively. further more, divided main 5 section based on upper analysis and then manufactured output in consideration of each medical facility's operation state. There are comparative problem of hospital policy, So we maintained information security of each facility exhaustively. First, we separated a survey output into main 5 section as follows-(eX. PACS server & maintenance manage, Client/interlock manage, PACS data conversion, 3D reconstruction, PACS data im/export)-that received by 35 medical facility. And then manufactured output with comparative analysis about RT role area each section, general IT managing team about medical environment was out of existence that fill up with RT manpower in the surveyed medical facility consequently. What is worse, hospitals that entirely fill up with another worker were 3 place amazingly. Our specific statistic results show, the respondents was 63% that agree with reorganization of formation base on independence team, and supplement of the personnel average -continuous with upper agreement simply-was about 2.64. Further more, if reorganization break out with only RT manpower, quota TO will increase by geometric progression. Protecting and spreading role workplace is much accounted of the our inevitable project surely and more than 95% PACS administrator's have confidence in this proposition unconditionally. Henceforth, look forward to meeting the RT vision of many-sided multiplayer, based on acquire a specialized IT knowledge actively and open up a new work-field with frontier spirit.

  • PDF

위험성평가를 이용한 노후설비에 대한 비용 편익분석 방법 (Cost-Benefit Analysis Method for Ageing Equipment of Chemical Plants Using Risk Assessment)

  • 정수민;정창모;강석민;채승빈;강승균;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4-92
    • /
    • 2020
  • 대부분의 화학공장 내 설비는 유해물질을 취급하거나,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온도 및 압력의 범위를 벗어난 환경에서 가동되며 이러한 응력 및 환경조건으로 인하여 노후화에 취약하다. 이러한 조건에 노출된 설비는 지속적인 손상이 누적되어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은 물론, 정비 및 교체를 하지 않는다면 사고로 이어진다. 전세계적으로 위험성기반검사(Risk Based Inspection)라는 권고지침이 통용되고 있다. 하지만 RBI는 이미 일정시간 경과한 설비에 대해서는 한계가 존재한다. 적절한 점검을 수행하는 우리나라 울산 산업단지의 노후화 실태 조사 결과, 많은 수의 설비들이 사용기간이 20년을 경과하였다. 또한, 사고가 일어난 설비 대부분이 20년 이상 운영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정 사용기간이 초과된 장치를 노후설비로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에 대하여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도출된 해당 노후설비의 위험성을 Economic index로 표현하여 손실비용을 산정하고 Risk를 감소하기 위하여 비용편익 분석 방법을 활용한 안전투자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이용한 노후설비의 비용편익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노후 설비의 성능 향상 및 수명 연장, 생산 효율성 및 설비 계통 신뢰도 향상, 안전관리 비용 인식 변화, 그리고 직원의 안정감 증대, 손실비용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트렌드를 반영한 농촌체험마을 조성방안 연구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위봉마을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Creation Rural Experience Village Reflecting the Travel trends of the Post-Corona - A Case of Wi-bong Village in Jeollabuk-do -)

  • 안필균;엄성준;조숙영;김상범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27-39
    • /
    • 2020
  • With the COVID-19 pandemic, the global economy has stagnated and our daily lives have changed. The rural economy is also experiencing damage, such as an average of 65% or more de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to rural experience resort village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arising from the prolonged coronavirus, a hospitality system in response to changes in rural tourism behavior and consumer demand is needed to revitalize rural areas and maintain continuous economic independenc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utilize landscape resources such as education, culture, history, and ecology in order to complement the existing experience programs in connection with local resources and local environment. Wibong Village,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attempted to revitalize the village using the resources through the "Creative village creation" project in 2015. Due to poor management of historical resources, difficulty in operating experience programs, and response to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e rate of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plan was very low. Currently, the demand for experience is also decreasing due to the COVID-19 effect, so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 experience village program suitable for the needs of experienced visitors by discovering additional local resources for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experience vill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se of landscape resource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tudy site, additional investigations of local resources were made, and an experience program course that could be operated by theme was proposed by configuring a space suitable for the use of landscape resources. By dividing the additionally investigated landscape resources into history, ecology, and region, an experiential course was created to separate the traffic lines, and the space composition for large-scale experienced visitors that had been previously operated was constructed in a form suitable for the post-corona era. In addition, at least two experiential tour courses that can be operated by period were proposed to maintain economic effects. Starting with this study, if further research on the cre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a rural experience village centered on the connection with the region, it will be used as research results that can be referenced in projects such as village creation, rural space planning, and living area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construction of a rural area suitable for the post-corona era, where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장딴지 신경이식술 후 공여부 합병증에 대한 연구 (Donor Site Morbidity after Sural Nerve Harvesting for Peripheral Nerve Reconstruction)

  • 장정우;최승석;이장현;안희창;강낙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421-426
    • /
    • 2011
  • Purpose: Although the sural nerve is the most commonly used donor for autologous nerve graft, its morbidity after harvesting is sparsely investigated. The sural nerve being a sensory nerve, complications such as sensory changes in its area and neuroma can be expect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donor site morbidity after sural nerve harvesting. Methods: Among the 13 cases, who underwent sural nerve harvesting between January 2004 and August 2009, 11 patients with proper follow up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included harvested graft length, actual length of the grafted nerve, anesthetic and paresthetic area, presence of Tinel sign and symptomatic neuroma, and scar quality. Results: In 7 patients, no anesthetic area could be detected. Of the patients with a follow up period of more than 2 years, all the patients showed no anesthetic area except two cases who had a very small area of sensory deficit ($225mm^2$) on the lateral heel area, and large deficit ($4,500mm^2$) on the lateral foot aspect. The patients with a short follow up period (1~2 m) demonstrated a large anesthetic skin area ($6.760mm^2$, $12,500mm^2$). Only one patient had a Tinel sign. This patient also showed a subcutaneous neuroma, which was visible, but did not complain of discomfort during daily activities. One patient had a hypertrophic scar in the retromalleolar area, whereas the two other scars on the calf were invisible. Conclusion: After a period of 2 years the size of anesthetic skin in the lateral retromalleolar area is nearly zero. It is hypothesized that the size of sensory skin deficit may be large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This area decreases over time so that after 2 years the patient does not feel any discomfort from nerve harvesting.

미계측 유역 유출 모의를 위한 Tank 모형의 매개변수 지역화 (Parameter Regionalization of a Tank Model for Simulating Runoffs from Ungauged Watersheds)

  • 강민구;이주헌;박기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519-53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인 저수지 상류 유역의 유출을 모의하기 위하여 Tank 모형의 구성성분을 개선하고 매개변수를 지역화하였으며,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저수지 상류 유역의 유출특성을 고려하여 3단 Tank 모형을 선정하였다. 유역 물수지를 고려하여 세 번째 Tank의 지하배수과정을 제외하였으며, 증발산성분은 국내의 기상관측 상황을 반영하여 개선하였다. 모형의 민감도 분석결과는 매개변수${\alpha}$의 변화에 따라 모형이 합리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유역의 유역특성인자와 토지이용상태를 변수로 사용하여 모형의 매개변수 지역화식을 결정하였다. 3개 유역의 유출 모의와 1개 저수지의 저수위 모의에 대하여 모형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실측치와 모의치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24개 저수지 유입량 모의에 모형을 적용한 결과, 대상 저수지 상류 유역의 평균 증발산율은 42.8%, 평균 유출률은 56.6%이었다. 결론적으로 매개변수가 지역화된 Tank 모형은 저수지 상류 유역의 유출 모의에 적용이 가능하며, 모의된 유입량 자료는 저수지 계획, 설계, 운영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열-수리-역학적 연계해석을 이용한 복공식 지하 압축공기에너지 저장공동의 역학적 안정성 평가 (Geomechanical Stability of Underground Lined Rock Caverns (LRC) for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CAES) using Coupled Thermal-Hydraulic-Mechanical Analysis)

  • 김형목;;류동우;신중호;송원경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1권5호
    • /
    • pp.394-40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복공식 지하 압축공기에너지 저장공동의 역학적 변형 및 누출 거동의 복합거동을 파악할 목적으로 비등온 다상다성분 유체유동 및 역학적 거동의 연계해석이 가능한 TOUGH-FLAC 해석을 실시하였다. 지하압축공기에너지 저장 공동의 초기 및 장기 운영 과정에서 고압 압축공기 인입 입출에 따른 콘크리트 라이닝 내부에 발생하는 응력 양상을 살펴보고 저장공동 내부 압력 및 온도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기밀성능을 평가하였다. 최대 저장공동 운영압력 8 MPa 조건에서 콘크리트 라이닝 내부에서는 공기침투압에 의한 유효응력의 감소와 접선방향의 인장응력의 증가에 따라 인장균열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콘크리트 라이닝 내부의 인장균열 발생에 따른 투과특성 증가 모델을 이용한 해석 결과, 저장공동 천정부 및 측벽부 일부에서 인장파괴가 발생하여 이들 영역에서의 투과계수는 초기 $10{\times}10^{-20}m^2$에서 $5.0{\times}10^{-13}m^2$까지 증가하였다. 한편, 콘크리트 라이닝 내부 인장균열 발생 및 투과특성 증가에도 불구하고 저장공동 내부 압축공기 압력은 주변 암반의 기밀성능으로 인해 일정하게 유지되고 공기누출량은 일일주입량의 0.02%에도 못 미쳐 복공식 지하 압축공기에너지 저장공동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예측시스템 소개 (I): 현업 운영 전략, 외부 해양·기상 자료 내려 받기 및 오류 알림 기능 (A Technical Guide to Operational Regional Ocean Forecasting Systems in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I): Continuous Operation Strategy, Downloading External Data, and Error Notification)

  • 변도성;서광호;박세영;정광영;이주영;최원진;신재암;최병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2권3호
    • /
    • pp.103-117
    • /
    • 2017
  • 이 노트는 국립해양조사원이 5년(2012~2016년)간에 걸쳐 지역해(동해, 황 동중국해) 수치예측시스템을 구축하여 자동으로 끊임없이 운영하면서 확보한 기술들 중 다음 3가지를 담고 있다. (1) 끊임없이 3일 해양예측 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전략, (2) 매일 특정시각에 외부 해양 기상자료(HYCOM, NOAA/NCEP GFS)를 안정적으로 내려 받는 방법과 (3) 해양예측시스템 운영자들이 휴대전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해양예측시스템 수행 시 발생하는 시스템 오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능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이들 기본 기술과 운영시스템 구성의 기본 개념은 지역해와 연안 해양 수치예측시스템을 자동으로 운영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담수산 이매패 펄조개를 이용한 흐름형 유기물 제어(CROM) 운영 - 퇴적물의 영향 (Operation of CROM System and its Effects of on the Removal of Seston in a Eutrophic Reservoir Using a Native Freshwater Bivalve (Anodonta woodiana) in Korea.)

  • 김백호;백순기;황수옥;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2권2호
    • /
    • pp.161-171
    • /
    • 2009
  • 국내산 담수 이매패 펄조개를 이용하여 부영양 저수지의 표층수를 실험실로 유입 처리하고 처리수는 다시 저수지로 환원하는 이른바 '흐름형 유기물 제어'(CROM: continuous removal of organic matters) 기술을 개발하고 하천에서 채취한 모래퇴적물의 첨가가 유기물 제어와 수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CROM은 크게 저류조, 조정조, 처리조, 분석조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은 처리조에 현장수, 현장수+모래, 현장수+패류, 현장수+모래+패류 등을 각각 구성하여 유업속도는 18${\sim}$25 L $h^{-1}$ 패류밀도는 486.1 indiv. $m^{-2}$, 수온은 15${\sim}$22$^{\circ}C$ 범위에서 13일간 실시하였다. 유기물 및 수질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일 동일한 시간에 수온, pH, DO, 전도도, 탁도, 염분도, 엽록소 a, 부유물질, TN, TP, $NO_2$, $NO_3$, $NH_3$, $PO_4$ 등을 측정하거나 채수하여 곧바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처리수의 반송이 패류의 유기물 제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퇴적물의 첨가에 상관없이 실험기간 동안 80% 이상 유기물(부유물질 빛 ChI-a)을 감소시켰으나 높은 농도의 암모니아와 인산 등을 배출하였다. 결국 한국산 이매패 펄조개를 이용한 CROM 운영효과는 매우 뚜렷하였으나 장기간 운영시 유기물 제어능 및 패류 생존율에 미치는 다른 요인들-수온, 미생물, 세정주기 등의 변화가 예상되며, 처리수에 대한 처리 및 활용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