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jeonche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대전광역시 대전천과 갑천 및 유등천의 물과 주변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의 분리 및 분포 특성 (Isolation and Diversity of Wild Yeasts from the Waters and Bank Soils of Daejeoncheon, Gapcheon, and Yudeungcheo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 한상민;이상엽;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9-269
    • /
    • 2017
  • 대전광역시 하천들의 효모 종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대전광역시 동남부와 시내를 흐르는 대전천과 서남부의 갑천에 있는 물과 주변 토양들을 2016년 8월과 2017년 2월에 각각 148점을 동일 장소에서 채취하여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여름 채취 물과 주변 토양 74점에서 23종 37균주의 야생효모들이 분리된 반면에 겨울 채취 시료들에서는 약 2배 이상 많은 34종 83균주가 분리되었다. 이들 3대 하천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야생효모는 Candida속 균으로 전체 42%이었고 Cryptococcus속 균과 식품에서 주로 분리되는 Saccharomyces속 균들이 각각 7%와 6%로 많이 분리되었다. 종 수준에서는 Candida tropicalis가 25균주로 가장 많았으며 여름 시료와 겨울 시료에서 공통으로 분리된 효모들은 Aureobasidium pullulans 등 13종이었다.

대전광역시 대전천과 갑천의 물과 주변 토양들로부터 분리한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Unrecorded Wild Yeasts from the Water and Riverside Soils of Daejeoncheon and Gapcheo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 한상민;이상엽;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53-159
    • /
    • 2017
  • 대전광역시의 대전천과 갑천의 물과 주변토양들로부터 분리한 야생효모 중 대전천에서 분리한 Debaryomyces udenii JSF601, Kazachstania telluris JSF602와 Tricosporon faecale JSF614, Candida infanticola WJSL0039, Candida palmioleophila WJSL0048, Pichia spartinae WJSL0087, Trichosporon coprophilum WJSL0093 등 7균주들과 갑천에서 분리한 Leucosporidium golubevii WJSL0108과 Ustilentyloma graminis WJSL0118의 야생효모들이 국내 미기록 효모 균주들로 최종 선별 하여 이들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대전천에서 분리, 선별한 국내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Pichia spartinae WJSL0087, Kazachstania telluris JSF602, Tricosporon faecale JSF614와 Trichosporon coprophilum WJSL0093들은 자낭포자와 의균사를 형성하였다. Candida infanticola WJSL0039는 10%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이었고 Pichia spartinae WJSL0087는 $37^{\circ}C$에서 생육하는 고온성 효모이었다. 갑천에서 분리, 선별한 국내 미기록 효모들은 모두 구형으로 자낭포자를 형성하였다. Ustilentyloma graminis WJSL0118 만이 의균사를 형성하였고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도 생육하였으며 $37^{\circ}C$에서 생육하는 고온성 효모이었다.

도시 하천유지유량 공급의 저수지 운영 방법 (Operation rule curve for supplying urban instream flow from reservoir)

  • 노재경;이재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163-172
    • /
    • 2011
  • To provide the operation rule curve for suppling instream flow to urban stream from reservoir, the Soho reservoir with watershed area of 7.4 $km^2$ and total water storage of 2.58 $Mm^3$ was planned at the headwaters of the Daejeoncheon. Daily streamflow was simulated and using the simulated streamflow and desired instream flow, the operation rule curve by Senga method was drawn and evaluated through reservoir operation. Senga method is derived by accumul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streamflow and desired instream flow adversely. Water storages were simulated on a daily basis to supply urban instream flow from Soho reservoir, but the amount of supplying instream flow to urban stream was not nearly increased comparing with that of normal operation that does not used the rule curve. Thereafter the new simulation-based operation rule curve was derived and applied to supply instream flow from Soho reservoir. In normal operation, the amount of instream flow was shown to 15,000 $m^3$/d, but it was increased to 27,700 $m^3$/d in withdrawal limited operation using the new derived rule curve, in which the applicability of this rule curve was proved. Also comparing with the flow duration curves at station just before urban Daejeoncheon stream without and with upstream Soho reservoir, the 95th flow was decreased from 1.64 mm/d to 1.51 mm/d, and the 355th flow was increased from 0.17 mm/d to 0.30 mm/d. Monthly streamflows during October to March were increased from 10.6~24.1 mm to 24.1~34.0 mm with the increasing rate of 141~227%.

영산강 수계 지류.지천의 수질 특성 평가 및 등급화 방안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de Classification of Yeongsan River Tributaries)

  • 정수정;김갑순;서동주;김정현;임병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4-513
    • /
    • 2013
  • Water quality trends for major tributaries (66 sit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of Korea were examined for 12 parameters based on water quality data collected every month over a period of 12 months. The complex data matrix was treat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such as PCA, FA and CA. PCA/FA identified four factors,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structure explaining 78.2% of the total variance. The first factor accounting 27.3% of the total variance was correlated with BOD, TN, TP, and TOC, and weighting values were allowed to these parameters for grade classification. CA rendered a dendrogram, where monitoring sites were grouped into 5 clusters. Cluster 2 corresponds to high pollution from domestic wastewater, wastewater treatment and run-off from livestock farms. For grade classification of tributaries, scores to 10 indexes were calculated considering the weighting values to 3 parameters as BOD, TN and TP which were categorized as the first factor after FA. The highest-polluted group included 10 tributaries such as Gwangjucheon, Jangsucheon, Daejeoncheon, Gamjungcheon, Yeongsancheon. The results indicate that grade classification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is useful in reliable classification of tributaries in the study area.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숲 조성 계획기법 개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Wind Ventilation Forest Planning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

  • 한봉호;박석철;박수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8-4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 바람길숲 조성 계획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세먼지 및 폭염 공간분석을 통해 상대적으로 심각한 집중지역의 유역권을 공간단위로 도출하였고, 해당 유역권 내 찬공기 유동 잠재성이 있는 지역을 바람길숲 조성 대상권역으로 선정하였다. 미세먼지 극심지역은 대덕구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유성구 대덕테크노밸리 일대가 해당되었다. 폭염 발생 우심지역은 대덕산업단지(목상동),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대화동), 오정동 밀집주거지(오정동) 일대가 해당되었다. 대전 지점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측정 결과 낮과 밤의 평균 풍속은 0.1-1.7m/s, 밤 시간 바람 유동이 낮보다 저조하였고, 밤에 외곽 산림에서 생성되는 찬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바람길숲 계획이 필요하였다. 대전광역시 미세먼지·폭염 집중관리 권역은 대전천 권역, 유등천 권역, 갑천-유등천 권역, 갑천 권역으로 총 4개 권역이었다. 바람길숲 조성계획 사례는 4개 권역 중 대전광역시 구도심이며, 바람길 조성 효과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갑천-유등천 권역을 대상으로 제시하였다. 갑천-유등천 권역은 계족산 서사면 산림, 우성이산 남사면 산림에서 생성된 찬공기를 갑천, 유등천과 가로숲을 통해 연결하여 도심으로 찬공기 확산될 수 있도록 바람길숲을 계획하였다. 바람길숲 대상 권역 선정 후 해당 권역 내 기후톱지도, 바람형성기능 평가도 작성, 바람장미(밤) 현황 파악, 미세먼지 발생현황, 지표면 온도 분포현황을 상세하게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바람길숲 계획 구상 및 유형별 세부 대상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바람길숲 유형별 조성방향 설정과 조성방향에 따른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