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hwang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In-Jin-Ho-Tang as a potential anti-cancer drug by induction of apoptosis in HepG2 cells

  • Yun, Hyun-Jeong;Heo, Sook-Kyoung;Park, Won-Hwan;Park, Sun-Don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9권2호
    • /
    • pp.106-114
    • /
    • 2009
  • Hepatocellular carcinoma is the world's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tumor of the liver. In-Jin-ho-Tang (IJH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since ancient times, and today it is widely used as a medication for jaundic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of the liver. In-Jin-Ho-Tang is a drug preparation consisting of three herbs: Artemisiae Capillaris Herba (Artemisia capillaries $T_{HUNS}$, Injinho in Korean), Gardeniae Fructus (Gardenia jasminodes $E_{LLIS}$, Chija in Korean) and Rhei radix et rhizoma (Rheum palmatum L., Daehwang in Korea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methanol extract of IJHT could induce HepG2 cancer cell death. Cytotoxic activity of IJHT on HepG2 cells was measured using an XTT assay, with an $IC_{50}$ value of $700{\mu}g/ml$ at 24 h Apoptosis induction by IJHT in HepG2 cells was verified by the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and a decrease in procaspase-3, -8, -9. Treatment of IJHT resulted in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cytosol,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elta}{\Psi}_m$), decrease in anti-apoptotic Bcl-2, and an increase in pro-apoptotic Bax expression. Thus, IJHT induced apoptosis in HepG2 cells via activation of caspase and mitochondria pathw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JHT has potential as an anti-cancer agent.

Ostrom(1990)의 원칙을 이용한 갯벌어장의 이용·관리 우수 어촌계 발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cavation of Superior Fishing Village Community in the Management of the Use of Mudflat Fishing Grounds with using Ostrom (1990)'s Principles)

  • 강석규
    • 수산경영론집
    • /
    • 제50권2호
    • /
    • pp.1-21
    • /
    • 2019
  • This study is to excavate superior fishing communities by applying the Ostrom (1990)'s principles of sustainable and successful use of common goods. Ostrom(1990)'s principles are (1) clearly defined boundaries (2) congruence between appropriation and provision rules and local conditions, (3) collective choice arrangements (4) monitoring (5) graduated sanctions (6) conflict-resolution mechanism (7) recognition of rights to organize by external government authorities (8) nested enterprises. The survey was carried out under the individual interview method of 15 fishing village members in 32 fishing communities with the government's fishery environment improvement and fishery creation projects. The total effective samples are 477. These data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24 fishing villages are selected among the 32 fishing communities in the samples, including Nanji, Sanghwang, Songseok, Sinshido, Jukyo, Jinsan, Changli, Pado, Beopsan, Rahyang, Palbong, Woongdo, Daehwang, Sapsi, Chido, Jinri, Daeri, Songgak, Joongwang, Ojii, Doripo, Doseong, Mongsan 1ri and Songnim as superior fishing vill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limitation that may vary depending on the rigor of the criteria in the process of deriving good fishing communities. Despite this limitation, this study has expanded existing research focused on validating the theoretical applicability of the framework through case analysis of specific fishing communities to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to many fishing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onditions in which fishermen can continue to manage their fishing grounds and stand on their own feet by presenting the framework and principles for developing desirable fishing village models for the continued use of mudflat shells grounds as the common goods.

산욕기(産褥期) 감염(感染) 유발(誘發) 세균(細菌)의 생육(生育)을 억제하는 한약재(漢藥材) 탐색(探索)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screeining of antibacterial herb medicines against puerperal infection-bacteria, Proteus vulgaris, Staphylococcus aures, and Enterococcus faecalis)

  • 임재연;성연수;김희진;이태균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77-203
    • /
    • 1997
  • 산욕기(産褥期) 감염(感染)이란 분만후(分娩後) 생식기(生殖器)의 세균(細菌)에 의한 감염(感染)을 의미(意味)하며, 산후(産後) 체온상승(體溫上昇)의 대부분(大部分)은 골반감염(骨盤感染)에 의한 것으로 산욕기(産褥期) 감염(感染)의 중요(重要)한 지표(指標)가 된다. 한의학에서 산후발열(産後發熱)의 병인병기(病因病機)는 주로 사독감염(邪毒感染), 혈어(血瘀), 외감(外感), 혈허(血虛) 등으로 보았으며, 치료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산후질환(産後疾患)에는 허증(虛證)이 많아 발표공리(發表攻裏)를 과도(過度)하게 하지 않고, 기혈(氣血)과 영위(營衛)의 조화(調和)에 위주로 하나, 외감(外感)과 이실증(裏實證)을 소홀(疏忽)히 하면 안된다. 따라서 산후발열(産後發熱)을 야기(惹起)하는 각종(各種) 원인균(原因菌)에 대(對)한 객관적(客觀的)인 억제효과(抑制效果)의 검증(檢證)은 산후발열(産後發熱)의 치료율(治療率)을 높이는데 중요하다. 그 결과 산욕기감염을 유발하는 각종(各種) 세균(細菌)에 대(對)해 황연(黃連), 오매(烏梅), 오미자(五味子) 등의 수용성(水溶性) 졸출물(拙出物)이 항균활성(抗菌活性)이 상대적(相對的)으로 좋은 효과(效果)를 보였다. 따라서 산욕기(産褥期) 감염(感染)의 치료(治療)에 이들 한약재(韓藥材)를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效果的)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장유전체 SNP 기반 decision tree를 이용한 누에 품종 판별 (Identification of Domesticated Silkworm Varieties Using a Whole Genom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based Decision Tree)

  • 박종우;박정선;정찬영;권혁규;강상국;김성완;김남숙;김기영;김익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47-955
    • /
    • 2022
  • 최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누에가 품종 간 기능성 차이를 나타냄에 따라 품종판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누에의 유전체 내에 존재하는 단일염기가형성(SNP)를 바이오 마커로 이용해 10개의 누에 품종(백황잠, 백옥잠, 대백잠, 대박잠, 대황잠, 골든실크, 항생잠, 주황잠, 금강잠 및 금옥잠)을 판별하기 위하여 전장유전체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품종 특이적인 SNP를 선발하여 품종을 판별하고자 9개의 SNP를 선발하고 각 품종을 교차 검증 할 수 있는 결정 트리를 작성하여 순차적인 분석을 통한 품종 구분을 실시하였다. 대황잠과 골든실크 그리고 금강잠과 대박잠을 구분하는 각각의 SNP867 및 SNP9183에 대해서는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을 이용하고, 그 외의 SNP에 대해서는 Tetra-primer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NP780부터 SNP9183까지 9개의 SNP를 이용하여 동일 집단을 분리하거나 품종을 선발할 수 있었으며, 해당 영역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 결과 대립 유전자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누에 전체 게놈의 SNP와 결정 트리를 이용한 방법은 누에 품종 구분을 위한 판별마커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말초성 안면마비 입원환자 25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n 250 cases of In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 강나루;탁명림;변석미;고우신;윤화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9-121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is the effect of oriental medical care for in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that had visited Dept. of Otolaryngology Oriental medical hospital Dong-eui university. Methods : From January 2008 to September 2010, a clinical study was done on 250 inpatients who were treated as facial nerve paralysis at the Dept. of Otolaryngology Oriental medical hospital Dong-eui university. This study was assessed using the chart analysis. Results : 1. The distribution of sex : female 54.8%, male 45.2%. The distribution of age was pregented that fifty to sixty was the most in 67 cases(26.8%). 2. The distribution of the period of admission : female 12.5 days, male 9.9 days. 3. The distribution of past history : hypertention(18.8%), diabetes-mellitus(10.85%), facial paralysis(9.25%), cerebrovascular disease(4.4%), liver disease(5.6%), hyperlipidemia(1.2%), otitis media(1.2%), herpes zoster(1.2%), cardiac disease(2.45%), thyroid disease(1.2%). 4. The distribution of the region of facial paralysis : Rt(55.36%), Lt(56.52%). 5. Check the mastoid pain : 66.8%(female 73.91%, male 58.04%). 6. Out of prescription(Ko-Bang, 古方), Galgeun-Tang(葛根湯) and Gaejigeogaegayoungchul-Tang was used most in each 34 cases, Daesiho-Tang(大柴胡湯) 30 cases, Galgeungabanha-Tang(葛根加半夏湯) 27 cases, Sihogaeji-Tang(柴胡桂枝湯) 14 cases, Hwanggigaejiomul-Tang 12 cases, Odu-Tang(烏頭湯) 10 cases, Chijadaehwangsi-Tang 10 cases, Gaejigagalgeun-Tang(桂枝加葛根湯) 7 cases, Banhasasim-Tang(半夏瀉心湯) 5 cases, Injinho-Tang(茵蔯蒿湯) 5 cases in order. 7. The distribution of herb group : Mahwang-Jae(麻黃劑) 31.72%, Gaeji-Jae(桂枝劑) 26.00%, Siho-Gae(柴胡劑) 20.70%, Chija-Gae(梔子劑) 7.49%, Buja-Jae(附子劑) 4.41%, Banhahwanggeum-Gae(半夏黃芩劑) 3.08%, Daehwang-Gae(大黃劑) 2.64%, Bockryeong-Gae(茯笭劑) 1.76%, Jisil-Gae(枳實劑) 1.32%, Insam-Gae(人蔘劑) 0.88% in order. 8. The distribution of House-Brackmann grade of admission : Gr Ⅳ 74.85%, Gr.III 13.6%, Gr.V 11.6% in order. 9. The distribution of House-Brackmann grade of discharge : Gr.III 56%, Gr.IV 38.4%, Gr.II 5.6% in order. 10. The average number of OPD follow up is 6.46. Conclusion : This results indicated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with Ko-bang(古方) can be an effective way to treat facial paralysis. The more patients we treat with Ko-bang(古方), the more clinical report is accumulated. Then it would be helpful to map out a systematic treatment on facial paralysis.

충치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다시마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Sea-mustard, Laminaria japonica Extracts on the Cari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 김지회;이두석;임치원;박희연;박정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91-195
    • /
    • 2002
  • 우리 나라 연안에서 채취한 해조류 27종의 $80\%$ ethanol 추출물이 Streptococcus mutans KCTC 3300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고, 다시마의 추출용매별 항균성과, $80\%$ ethanol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였을 때 획분별 MIC를 측정하였다. S. mutans KCTC 3300에 대한 해조류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다시마가 가장 강하였고, 갈파래, 청각, 감태, 곰피 및 미역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홍조류보다 갈조류와 녹조류에 속하는 종이 대체적으로 강하였다 다시마의 항균활성은 추출용매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용매별 가용성 획분의 량과 항균성간에는 뚜렷한 관련이 나타나지 않았다. 5. mutans KCTC 3300과 S. sobrinus KCTC 3307에 대한 해조류의 $80\%$ ethanol 추출물의 MIC는 해조류의 종뿐만 아니라 동일한 해조류 추출물의 경우에도 균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시마의 $80\%$ ethanol 추출물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순차 분획하였을 때 항균활성 물질의 대부분은 ether 획 분에 이행하여 이 획분의 MIC는 105$\mu$g/mL이었고, 수용성 획분은 약 5,500$\mu$g/mL의 농도에서도 균의 증식을 저지하지 못하였다.

검정콩 대립 내도복 신품종 '대흑' (A New Black Seed Coat Soybean Cultivar, 'Daeheug' with Lodging Tolerance, and Large Seed Size)

  • 한원영;백인열;고종민;김현태;오기원;신상욱;박금룡;하태정;신두철;정명근;강성택;윤홍태;오영진;김제규;김호영;최재근;이승수;손창기;김용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7-271
    • /
    • 2010
  • '대흑'은 밥밑용 특성이 우수한 단경 내재해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목표로 대립 장류용 품종인 대황콩과 단경 내도복 내재해 다수성 계통인 밀양 79호를 1997년 인공교배하여 계통 육종법으로 선발한 YS1298-2B-20-5-1-1-1 계통이다. 계통명은 '밀양158호'이고 품종등록번호는 No. 3009이며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대흑'의 신육형은 유한신육형이며 화색은 자색이고 엽형은 환형이다. 모용 및 성숙기의 협은 갈색이며 종피색과 제색은 흑색이고 종실 자엽색은 황색이다. 입형은 편구형으로 성숙기가 지나면 협의 자연개열이 다소 나타난다. 2. 성숙기는 10월 1일로 일품검정콩보다 2일 늦으며, 경장은 51 cm로 2 cm 길고 개체당 협수는 같고, 100립중은 34.3 g으로 '일품검정콩' 보다 6.4 g 무거운 대립종이다. 3. 도복에 비교적 강하며, 포장 재배기간중의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다소 발생하였으나 괴저병에는 강하였으며, SMV 균주로 즙액 접종한 결과 바이러스병에 저항성을 보였고, 미이라병에도 강한 편이었다. 4. 종실 성분중 조단백 함량은 43.5%로 '일품검정콩'과 비슷하였으며 조지방 함량은 다소 높았고 총당 함량은 9.1%로 0.2% 낮았다. 기능 성분 중 안토시아닌 색소 및 아이소플라 본 함량은 '일품검정콩'보다 각각 11.2 mg/g 및 $635{\mu}g/g$으로 1.5 mg/g 및 $68{\mu}g/g$ 높았다. 5. 콩차 가공적성에서 콩차 색소의 용출정도인 530 nm에서의 흡광도는 2.13으로 높았고, DPPH radical 소거능인 콩차의 항산화활성은 비슷하나 총페놀함량은 $1,263{\mu}g/m{\ell}$으로 '일품검정콩'보다 $321{\mu}g/m{\ell}$ 높았다. 5. 수량성은 '05~'07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전국 6개소 평균수량은 ha당 2.26톤으로서 표준품종 '일품검정콩'과 비슷하였다. 6. 적응지역은 전국이며 적정 파종기는 단작지대는 5월 중 하순, 2모작지대는 6월 상중순경으로 조기 파종시에는 바이러스병 발생에 유의하며, 불마름병에 약하므로 병 발생이 심한 지역은 재배를 피하여야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