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gwallyeong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1초

적설의 동질지역 구분과 지역 차등화 (Homogeneous Regions Classification and Regional Differentiation of Snowfall)

  • 김현욱;심재관;최병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2-51
    • /
    • 2017
  • 대설은 우리나라의 법적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최근 기상현상에 의한 사회경제적 영향력을 함께 예보하는 영향예보가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각 지역의 기후적 특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향예보의 기반마련을 위해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하여 적설동질지역을 구분하여 지역별 적설 특징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적설동질지역은 7개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강설량 및 관측일수, 최대강설량을 이용하여 각 그룹의 특징을 구분했다. 대관령, 강릉시, 정읍시는 강설량이 많은 지역으로, 경상도는 강설량이 적은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선행연구와 비교결과 대표적인 지역이 잘 구분되었으나 강설의 특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지역의 영향예보를 위한 정책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 유도강우지수의 결정 (Determination of Driving Rain Index in Korea)

  • 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36-42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건축물의 강우에 대한 노출정도를 지역별로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바람에 의하여 벽체에 부딪치는 비를 유도강우로 표기하였으며 지역별로 유도강우의 세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유도강우지수(Driving Rain Index)를 사용하였다. 국내 64개 지역에서 30년 동안 축적된 풍속과 강우량 자료를 통해서 연평균유도강우지수 (Annual Average Driving Rain Index)를 계산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측정된 지역들을 강우노출이 높은 지역, 중간 지역, 적은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측정된 지역 중 강우에 많이 노출되는 지역은 없었으며 22개 지역만이 노출정도가 중간으로 그리고 나머지 42개 지역은 강우노출정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후변화에 따라서 유도강우지수의 변화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종합적으로 평가할 때 대관령, 부산, 여수 및 제주도 등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국내 건축물의 강우노출정도는 높지 않은 것(moderate to low)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약한 강수에 미치는 도시화 효과 (Effect of urbanization on the light precipitation in the mid-Korean peninsula)

  • 은승희;채상희;김병곤;장기호
    • 대기
    • /
    • 제21권3호
    • /
    • pp.229-241
    • /
    • 2011
  • The continuous urbanizations by a rapid economic growth and a steady increase in population are expected to have a possible impact on meteorology in the downwind region. Long-term (1972~2007) trends of precipitation have been examined in the mid-Korean peninsula for the westerly condition only, along with the sensitivity simulations for a golden day (11 February 2009). During the long-term period, both precipitation amount (PA) and frequency (PF) in the downwind region (Chuncheon, Wonju, Hongcheon) of urban area significantly increased for the westerly and light precipitation ($PA{\leq}1mm\;d^{-1}$) cases, whereas PA and PF in the mountainous region (Daegwallyeong) decreased. The enhancement ratio of PA and PF for the downwind region vs. urban region remarkably increased, which implies a possible urbanization effect on downwind precipitation. In addition, the WRF simulation applied for one golden day demonstrates enhanced updraft and its associated convergence in the downwind area (about 60 km),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cloud mixing ratio. The sensitivity experiments with the change in surface roughness demonstrates a slight increase in cloud water mixing ratio but a negligible effect on precipitation in the upwind region, whereas those with the change in heat source represents the distinctive convergence and its associated updraft in the downwind region but a decrease in liquid water, which may be attributable to the evaporation of cloud droplet by atmospheric heating induced by an increase in an anthropogenic heat. In spite of limitations in the observation-based analysis and one-day simulation, the current result could provide an evidence of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the light precipitation in the downwind region.

네펠로미터로 관측한 서울의 에어러솔 산란계수 특성 (Nephelometer Measurement of Aerosol Scattering Coefficients at Seoul)

  • 심성보;윤영준;염성수;차주완;김종환;김준;이방용
    • 대기
    • /
    • 제18권4호
    • /
    • pp.459-474
    • /
    • 2008
  • Aerosol scattering coefficients for three different wavelengths ($\lambda$=450,550,700 nm) are measured almost continuously by a nephelometer in Seoul for a period of 13 months (February 2007-February 2008), which includes two weeks break in August 2007 for measurements at Daegwallyeong and YoungJongdo. The mean of the daily average scattering coefficients at $\lambda$=550 nm is $194.1{\pm}144.2Mm^{-1}$ and the minimum and maximum are $14.3Mm^{-1}$ and $998.1Mm^{-1}$, respectively. The scattering coefficient shows a general increasing trend with atmospheric relative humidity (RH). When the data are classified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the days with no major weather events show the smallest scattering coefficient and also the lowest RH. Surprisingly haze/fog days show the largest scattering coefficient and Asian dust days comes in second. Although the variation is large within a season, winter shows the largest and autumn shows the smallest scattering coefficient. The average ${\AA}ngstr{\ddot{o}}m$ exponent is $1.40{\pm}0.32$ for the entire Seoul measurement. As expected, Asian dust days show the smallest ${\AA}ngstr{\ddot{o}}m$ exponent and haze/fog days are the next, suggesting more efficient hygroscopic growth of aerosols for this weather condition. Aerosol scattering coefficient seems to show better correspondence with CCN concentration rather than total aerosol concentration, which may indicate that CCN active aerosols are also good scattering aerosols.

우리나라 강풍의 기후학적 시공간 변화 특성 (Climatological Spatio-Temporal Variation of Strong Wind in Korea)

  • 김현욱;김백조;남형구;정종혁;심재관
    • 대기
    • /
    • 제30권1호
    • /
    • pp.47-57
    • /
    • 2020
  • In this study, the climatological spatio-temporal variation of strong wind and gust wind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3 to 2018 was analyzed using daily maximum wind speed and daily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data recorded at 61 observations. Strong wind and gust wind were defined as 14 m s-1 and 20 m s-1, which are the same as the KMA's criteria of special weather report. The frequency of strong wind and gust wind occurrence was divided into regions with the higher 25 percent (Group A) and the lower 75 percent (Group B). The annual frequency of strong wind and gust wind occurrence tended to be decreased in most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Group A with stations located at coastal region, strong wind and gust wind occurred most frequently in winter with higher frequency at 1200~1600 LST and 2300~2400 LST due to influence of East Asian winter monsoon. In addition, a marked decreasing trend throughout the four seasons was shown at Daegwallyeong, Gunsan and Wando observations. In contrast, it can be found in Group B that the monthly frequency of strong wind and wind gust occurrence was higher in August and September by effect of typhoon and hourly frequency was higher from 1200 LST to 1800 LST.

공간분석을 이용한 강원도 지역의 강수분포 분석 (II): 지속기간 및 재현기간별 확률강수량 분석 (Analysis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the region of Gangwon with Spatial Analysis (II): Analysis of Quantiles with Interested Durations and Return Periods)

  • 정창삼;엄명진;허준행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99-10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내 정확한 극치강수분포를 파악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재해를 예방하고자 지역빈도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한 확률강수량과 공간분석을 통하여 강원도의 강수분포를 분석하였다. 강수자료는 강원도내 기상청 관할의 66개 관측소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지역빈도해석결과 GLO 분포형이 강원도에 가장 적합한 분포형으로 나타났다. 강수분포를 지속기간별로 분석한 결과 지속기간이 증가할수록 설악동, 대관령 및 청일 일원에서 높은 확률강수량을 나타내었으며, 지속기간에 따라서 강수의 공간분포가 확연히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현기간별로 분석한 결과 재현기간이 길어질수록 지역별 강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강원도 강수분포를 공간분석한 결과 영동지방에서는 일관적으로 높은 강수량이 발생하였으나 영서지방에서는 지속기간 및 재현기간에 따라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지역별 강수량의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지역빈도해석 이외에 다양한 지리 및 기상조건을 고려할 수 있는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상정보를 활용한 한반도 풍력자원지도 공간적 분포 특성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ind Map over Korea Using Meteorological Resources)

  • 허철운;이용섭;이은정
    • 대기
    • /
    • 제20권2호
    • /
    • pp.63-71
    • /
    • 2010
  • In this study, we derived the wind speed at 50 m and 80 m above sea level from 567 stations over a period of 1 year and correlated to measured wind speed at 5 radiosonde sites. From these correlations, we derived and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wind map over Korea based on hourly observational data recorded over a period of 5 years from 2004 to 2008. As a results, wind speed is generally high over seashores, mountains, and islands. Mean wind speed over Korea at 50 and 80 m above sea level for 5 years during 2004 to 2008 seasonally are highest at Spring, and then followed by Winter, Fall, and Summer. In 76 (14%) stations, mean wind speed at 80 m above sea level for 5 years during 2004 to 2008 are greater than $5ms^{-1}$. The prevailing winds over Korea at 80 m above sea level for 5 years during 2004 to 2008 are North (44%), Northwest (16%), and West (15%). In 99 stations, the % of wind faster than $5ms^{-1}$ was higher than 40%, and in 62 stations, the % of wind faster than $5ms^{-1}$ was higher than 50%. In 178 station, the % of prevailing winds was higher than 30%, and there are 7 stations which also have wind speeds over $5ms^{-1}$, ranking from highest to lowest, Dongsong, Daegwallyeong, Baekun Mt., Hyangrobong Mt., Sorak Mt., Gosan, and Misiryeong Mt..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스키산업에 미치는 영향 -용평.양지.지산 스키리조트를 사례로- (The Impact of Climate Changes on Ski Industry in Central Region of Korea: The Case of Yongpyong.Yangji.Jisan Ski Resort)

  • 허인혜;이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44-460
    • /
    • 2010
  • 본 논문은 중부지방의 스키 리조트를 대상으로 제설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스키장과 인접한 기상 관측지점의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스키장 개장일과 폐장일, 제설작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 요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후 조건이 불리한 수도권 스키리조트는 전체 제설작업 중 94% 이상이 팬형 제설기를 이용한 반면에 용평리조트는 건형 제설기를 이용하였다. 11월 일최저기온의 경우 대관령에서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이천은 1980년대 이후 최근까지 다소 하강하는 경향으로 2000년대 스키리조트 개장일에 영향을 미쳤다. 스키장 폐장일인 2월 중순에도 일최고기온이 $2{\sim}4^{\circ}C$인 수도권 스키리조트가 용평보다 이르다. 보강제설 기간 동안 눈이 활발하게 녹는 날도 대관령보다 이천에서의 증가율이 뚜렷하여 수도권 스키장 관리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공간분석을 이용한 강원도 지역의 강수분포 분석 (I): 강수지역 구분과 계절별 및 연평균 강수량 분석 (Analysis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the region of Gangwon with Spatial Analysis (I): Classification of Precipitation Zones and Analysis for Seasonal and Annual Precipitation)

  • 엄명진;정창삼;조원철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103-11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관측소의 지리적 위치 및 강수특성(월별, 계절별, 연평균)을 이용하여 강원도의 강수지역을 구분하였다. 강수지역 구분은 기상관측소 66개소(기상관서: 11개소, 자동기상시스템(AWS): 55개소)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방법 중 군집 기법인 K-means 방법을 적용하였다. 지역구분 결과, 강수지역은 5개 지역(영동지방 1개 지역 및 영서지방 4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계절별 평균강수량은 봄에는 강원도 전체에 유사하게 발생하였으며, 여름에는 영서지방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영동지방이 높게 발생하였다. 연평균 강수량 및 여름철 강수량의 공간분석 결과 강원도 중 일부 지역(미시령 및 대관령일원)은 산악형 강수 특성을 나타냈으나 전반적인 현상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관측소의 고도별 분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 관측소의 보완 및 AWS의 자료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영동 강풍 관측설계와 예비 관측결과 (Gangwon Yeongdong Wind Experiments (G-WEX) Pilot Study: Downslope windstorms in the Taebaek Mountains, South Korea)

  • 김지은;권태영;박균명;한윤덕;신동현
    • 대기
    • /
    • 제31권4호
    • /
    • pp.361-376
    • /
    • 2021
  • "Gangwon Yeongdong Wind Experiments (G-WEX) Pilot Study: Downslope windstorms in the Taebaek Mountains, South Korea" is promoted based on joint organization by Gangwon Regional Office of Meteorology and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and participation by 12 institution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in development of Yeongdong wind phenomena. The special observation (G-WEX) involved total of 5 intensive observations in March 2020 and April 2020. To collect the data necessary for the research on Yeongdong wind phenomena, (1) high-resolution surface observation network was used to examine surface wind and (2) atmospheric soundings were observed by using Rawinsonde, Wind profiler, Wind Lidar, and Drone. This study covers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pecial observational experiments for downslope windstorms in the leeward of the Taebaek Mountains, named as the Yeongdong wind, including the observational strategies, experimental designs, and pilot studies during the Intensified Observing Period (IOPs). According to 2020 G-WEX observation results, downslope windstorms were observed in 2~3 km of upper atmosphere when the strong winds happened around the top of the mountain near Daegwallyeong. Also, dry adiabatic expansion related to downslope windstorms caused temperature rise and led to formation of an inversion layer in altitude below 2.5 km. Bands of strong wind were located right under the altitude where downslope windstorms are observed with temporal rise of the temperature. As these are preliminary observation results, there needs to be continuous related researches and high-resolution weather ob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