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gu metropolitan area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7초

대구의 토지이용도 유형에 따른 여름철 도시열섬포텐셜 추정연구 (Estimation of Urban Heat Island Potential Based on Land-Use Type in Summertime of Daegu)

  • 안지숙;김해동;김상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5-71
    • /
    • 2007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a urban heat island potential distribution based on the land-use types using Landsat TM(1100 LST August 2004) and AWS data in Daegu. The heat island potential is defined as a difference between surface temperature and air-temperature at each place. The study area was selected as about $900km^2$ square including Daegu metropolitan area. Land-use data obtained by dividing all of Daegu metropolitan area in- to 1-km-square three types of maps were prepared in the 1960s, 1970s and 2000s respectively. Land-use types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Forest and farm lands have been reduced at a wide range during 40 years. Most of those changed into urban area. The heat island potential distribution presented a striking contrasts according to land-use types. For example, the heat island potential of urban area was higher than $10^{\circ}C$ in comparison to those of water or paddy rice areas.

울산 지역 학교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평가 (The Assess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Schools in the Ulsan Metropolitan Area)

  • 정종현;이사우;피영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4-12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Ulsan and its surroundings. Methods: To assess the hazardous chemicals of the 66 classrooms in the 22 schools, the 6 volatile organic compounds such as TVOCs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benzene, toluene, xylene, ethyl benzene and stylene were measured and analyzed from the beginning of May to the end of December, 2009. Results: The mean concentrations of TVOCs in the elementary schools were higher than those of middle and high schools, and multi-purpose classrooms was higher than that in general ones. The benzene and toluene level in schools in Dong-Gu in the vicinity of assorted industrial complexes was higher than that of schools located in other districts around the Ulsan Metropolitan Area. Conclusion: In case of schools in Ulsan Metropolitan Area, elementary school, schools in Dong-Gu, and multipurpose classrooms over general classrooms should be given a high priority for the manage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 PDF

도시화에 의한 야간 대기 냉각율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Variation of Nighttime Cooling Rate Associated with Urbanization)

  • 이순환;박명희;김해동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3-90
    • /
    • 2008
  • In order to clarify the urbanization intensity of Daegu Metropolitan and its characteristics, comparative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cooling rate of two different sites was carried out using observation data for 40 years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Daegu Metropolitan and Chupungnyung represent well urbanized and rural areas,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Chupungnyung, yearly mean temperature at Daegu Metropolitan increases rapidly and especially the differences of minimum temperature increasing rate during 40 years becomes greater. These differences of regional warming are caused by the different urbanization intensity between two sites. And the impact of anthropogenic heat due to urbanization should be stronger in nighttime than in daytime. Sensible heat advection by regional wind during 6 hours from 18 LST contributes to atmospheric cooling. For this reason wind speed is in proportion to cooling rate of atmosphere. However, wind after 24 LST induces the warm air advection and makes decrease the cooling rate in urban area. Although the cooling rates between Daegu Metropolitan and Chupungnyung are some different, the variation tendencies of cooling rate of two site are almost same. Therefore atmospheric cooling rate in nighttime tends to be associated with the intensity of wind speed.

대구지역 대기 중 PM-10과 PM-2.5의 농도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centration of Ambient PM-10 and PM-2.5 in Daegu Area)

  • 도화석;최수진;박민숙;임종기;권종대;김은경;송희봉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0-28
    • /
    • 2014
  • 대구지역의 13개 대기오염측정소 중 PM-10과 PM-2.5를 동시에 측정하는 3개 측정소 즉, 공업지역에 위치한 이현동, 주거지역에 위치한 만촌동, 도로변에 위치한 평리동 측정소를 대상으로 최근 2년간(2011~2012)의 자료를 이용하여 PM-10과 PM-2.5의 농도분포 특성을 연구하였다. PM-10 농도는 이현동($52.5{\mu}g/m^3$)과 평리동($60.9{\mu}g/m^3$) 모두 연평균 기준치인 $50{\mu}g/m^3$을 초과하였고, 만촌동($44.9{\mu}g/m^3$)은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PM-2.5 농도는 세 지점 모두 미국의 EPA 연간기준치($15{\mu}g/m^3$)를 초과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2015년부터 시행되는 PM-2.5의 연평균기준치($25{\mu}g/m^3$)도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계절별 변화를 보면, PM-10은 봄철 > 겨울철 > 가을철 > 여름철 순이었고, PM-2.5는 겨울철 > 봄철 > 가을철 > 여름철 순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월변화 특성을 보면, PM-10과 PM-2.5 모두 겨울철인 2월에 가장 높고 여름철인 9월경에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일변화 특성을 보면, PM-10과 PM-2.5 모두 오전 7시부터 증가하여 10시~11시경에 최고 농도를 기록하고 오후 6시까지 하강하여 저녁과 새벽까지 일정한 농도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주중의 미세먼지 농도는 주말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그 변동 폭은 공업지역이 주거지역보다 크게 나타났다. PM-2.5/PM-10 비는 여름철이 높고 봄철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황사발생시 PM-2.5/PM-10 비는 비황사시 0.54~0.64에 비해 0.32~0.42로 매우 낮은 특성을 보였다. 본 자료는 대구지역의 미세먼지(PM-10, PM-2.5)의 현황과 특성에 대한 연구로써 향후 미세먼지의 연구 및 대기오염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대구지역 유통 한약재의 유해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zardous Metal Content of Herbal Medicines in the Daegu Area)

  • 이진희;김지연;박상규;이재호;윤종호;한기동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57-266
    • /
    • 2017
  • Objectives: The hazardous metals content of medicinal herbs distributed in the Daegu area was investigated, and the place of origin and the content of herbicides and medicinal components were studied. Methods: An analysis of hazardous metals content (10 types) was carried out on 164 samples of 99 types of herbal medicines. Among the total samples, 45 were domestic and 119 were imported. Hg was analyzed by the amalgamation method. Other hazardous metals content (nine types) was digested using the microwave method and measur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ICP-OES). Results: The mean values of the hazardous metals content in the herbal medicines were Pb 1.0833 mg/kg, As 0.0136 mg/kg, Cd 0.0840 mg/kg, Cr 3.7120 mg/kg, Cu 4.2666 mg/kg, Mn 40.080 mg/kg, Ni 1.4330 mg/kg, Sb 0.1053 mg/kg, Al 202.64 mg/kg and Hg 0.0062 mg/kg. Three of the samples violate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regulatory guidance on cadmium (less than 0.3 mg/kg). The measured values of heavy metals (Pb, As, Cd, Hg) showed levels below the recommended levels for herbal medicines in MFDS regulatory guidance. In the comparison of domestic samples with imported herbal medicines, it was found that one domestic and two imported samples surpassed the maximum residue limits for cadmium. The median values of the hazardous metals detected in the three medicinal parts of the root, leaf (branch), and flower (seed and fruit) were as follows. Cr, Ni, Sb and Al were highly detected in roots, Pb, Cd, Mn, Hg in leafs (branch), and As, Cu in flowers (seed and fruit). Conclusion: There were various kinds of hazardous metals which were detected at high levels according to the place of origin of the medicinal herb and the parts the plant. For hazardous metals for which no acceptance criteria have been established, safety standards should be further studied and managed to ensure the safety of herbal medicines.

전지구 대기질 재분석 자료의 평가와 국지규모 미세먼지 예보모델에 미치는 영향 (Assessment of Global Air Quality Reanalysis and Its Impact as Chemical Boundary Conditions for a Local PM Modeling System)

  • 이강열;이순환;김은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1029-1042
    • /
    • 2016
  • The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are important factors in regional chemical transport modeling systems.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chemical boundary conditions for regional air quality models tends to be different from the dynamically varying boundary conditions in global chemical transport models. In this study, the impact of real time Copernicus atmosphere monitoring service (CAMS) re-analysis data from the modeling atmospheric composition and climate project interim implementation (MACC) on the regional air quality in the Korean Peninsula was carried out using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ing system (CMAQ). A comparison between conventional global data and CAMS for numerical assessments was also conducted. Although the horizontal resolution of the CAMS re-analysis data is not higher than the conventionally provided data, the simulated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s with boundary conditions for CAMS re-analysis is more reasonable than any other data, and the estimation accuracy over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Seoul and Daegu metropolitan areas, was improved. Although an inland area such as the Daegu metropolitan area often has large uncertainty in PM prediction, the level of improvement in the prediction for the Daegu metropolitan area is higher than in the coastal area of the 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부산권 인구이동의 공간적 패턴에 관한 연구 (Spatial Patterns of Migration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 구동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30-939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부산의 인구 감소가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에 의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부산의 교외화에 의한 결과임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7대도시 및 부산권의 인구와 가구, 그리고 시도간 및 부산권의 인구이동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은 서울, 대구 등 우리나라의 다른 대도시와 유사하게 인구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부산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셋째, 부산의 인구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부산권으로도 다수 유출되고 있으므로, 부산의 인구 감소를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로만 해석하는 시각은 옳지 않다. 넷째, 부산의 인구는 부산권 내의 인접한 도시로 주로 유출되고 있으며, 따라서 부산의 인구 감소는 부산의 교외화, 즉 부산권의 성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구지역 학교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Trace Elements Analysis and Source Assessment of School Dust in Daegu, Korea)

  • 송희봉;도화석;이명숙;신동찬;윤호석;곽진희;정철수;강재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90-1399
    • /
    • 2007
  • 2007년 1월에 대구지역의 총 45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먼지를 채취하여 100 ${\mu}m$ 이하로 체거름하고 산추출한 후 ICP로 14개 원소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를 이용한 미량원소성분의 발생원을 평가한 결과, 운동장은 자연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반면에 교실은 인위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석결과는 자연적인 발생원 성분이 인위적인 발생원 성분에 비해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교실은 운동장보다 뚜렷하게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도시지역과 농촌지역간 그리고 토양운동장과 잔디운동장을 이용하는 교실간은 대체로 농도차이가 없었다. 대구지역의 수준은 국내의 다른 지역보다 운동장이 낮은 농도를 보였으나 교실은 높은 농도를 보였다. 대구지역의 교실에 축적된 먼지는 도로상에 축적된 먼지보다 미량원소성분을 적게 함유하고 있었다. 오염지수를 이용한 중금속성분의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 운동장은 중금속오염이 거의 없는 수준을 보였으나 교실은 중금속오염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운동장은 도시지역과 농촌지역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교실은 도시지역이 농촌지역 보다 중금속오염이 약간 높았다. 미량원소성분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운동장은 교실보다 미량원소성분간에 양호한 상관성을 많이 보였다. 교실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은 운동장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대구광역권의 환경용량 및 생태계용역가치 평가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and Ecosystem Service Value in the Daegu Metropolitan Area)

  • 정성관;이우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8-33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광역권을 대상으로 생태적발자국(Ecological Footprint: EF) 지수 분석을 통해 도시의 환경용량을 산정하고 생태계의 용역가치를 평가하여 우리의 소비패턴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97년, 2002년, 2007년의 각 도시별 통계연보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2007년 토지지목별 평균공시지가를 생태계용역가치(Ecosystem Service Value: ESV) 평가에 활용하였다. 도시별 총 EF지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2007년 고령군의 EF지수가 3.3052g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대구시는 2.0134gha로 가장 적은 면적으로 소비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생태적자 분석 결과, 2007년 군위군을 제외한 7개 도시가 생태적자 상태로 분석되어 도시의 환경용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대구광역시가 현재의 소비구조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약 30배 이상의 추가적인 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대구광역시를 기준으로 ESV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대구광역시민은 연간 1인당 1,078.6백만 원을 생태계에 빚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