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gu city

검색결과 1,242건 처리시간 0.043초

대구시 구도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유휴 학교시설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Activation Methods of Old Downtown in Daegu -Concentrated on the Practical Use of Unused School Facilities-)

  • 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1호
    • /
    • pp.64-73
    • /
    • 2011
  • Jung-gu in Daegu is an old downtown that has led the development of Daegu as a representative center and a commercial area with historicity and placeless. However, an urban center is losing its vitality due to the transfer of city halls and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The downtown area that is still important in a city should lead urban development continuously so that it needs to return its vitality by rehabilitating the weakling urban center. Accordingly this study makes the school which shows drop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classes in the school buildings located in Jung-gu, Daegu. Consequently this study figures out a cause for the occurrence of unused school facilities and find a solution as the space for local residents by investigating the facilities of schools, the surroundings, the reality, and the present condition.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actual situations of a downtown area that has gone through development and history of Daegu as a center. To this end, it aims to seek for methods to activate the city by relating the practical use of unused school facilities.

대구광역시 담장허물기운동의 정체성과 나아갈 방향 (The Identity and Some Practical Suggestions of The Demolishing Walls Campaign in Daegu City)

  • 김수봉;정응호;이승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51-60
    • /
    • 2006
  •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emolishing Walls Campaign has started in Daegu. Recently, the campaign influenced to the other cities in Korea, such as Seoul, Incheon and Busan with various names regarding cities' circumstances. In these context, the study aims to highlight the identity of the Demolishing Walls Campaign compare Daegu with other cities where similar movement has started. In addition, the study evaluates the campaign in term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conomical aspects to suggest some practical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mpaign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esearch shows that the identity of the Daegu Campaign is started by bottom-up approach based on citizens' participation compare with others cities' campaigns which are mainly started by the local government so called top-down method. The Daegu campaign influences the local people aware of their potential abilities in positively improving urban environment. The results of survey also highlights the advantages of green spaces which by the campaign in terms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aspects. Newly generating urban greens accept and store heat which Influences urban microclimate conditions and it possibly affects energy savings of the city. Most of survey participants eager to continue this campaign which shows positive results in various aspects by the local people. Therefore, the city government building a coalition of local people, NGOs, and interest group to keep the identity of the campaign in Daegu.

지하공간의 구성요소 및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 대구지하철2호선 반월당 메트로센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nent and Interior Design of the Underground Space - Focused on the Banwoldang Hetero Center of the 2 Subway Line in Daegu -)

  • 김완준;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63-172
    • /
    • 2006
  •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Banwoldang in Daegu is the private enterprise historical development project that Daegu City & The forth construction company of the Samsung, Kolon, Daewoo, Hwasung promote, and take a role as the underground bridgehead that links east and west of the Daegu as the lunction of the 2 subway line. Accordingly,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Banwoldang in Daegu have a import significance in that not only the alternative of the solution about the simple commercial formation or the limited ground but also compose the important axis of the city develoment. But, When I see the variety of problems, especially see the negative import in Daegu,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is the large underlying cause that revitalize the city. Consequently, in the study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underground space and the directivity of the interior design, to assistant for the develement plan of the more safe, comfort underground space.

공동주택 주차장의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Trace element Analysis and Source Assessment of Apartment Parking Lot Dust in Daegu, Korea)

  • 배건호;정철수;박규태;이명숙;신동찬;김용혜;윤민혜;한영진;최혁;백성옥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56-766
    • /
    • 2011
  • 공동주택 주차장의 먼지오염실태를 연구하기 위하여 2010년 3월말에서 6월초까지 대구지역 공동주택 36곳의 지상주차장(36지점)과 지하주차장(36지점)을 대상으로 채취한 총 72개의 시료를 $100{\mu}m$ 이하로 체거름하고 산추출한 후 ICP로 14개 원소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를 이용한 미량원소성분의 발생원 평가결과는 지상주차장과 지하주차장 모두 Fe, K, Mg, Mn, Na, V의 성분은 자연적인 발생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는 반면에 Cd, Cr, Cu, Ni, Pb, Zn의 성분은 인위적인 발생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a은 지상주차장의 경우에는 자연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받았고, 지하주차장의 경우에는 인위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량원소성분의 농도분석 결과는 자연적인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이 인위적인 발생원과 관련된 성분보다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인위적인 발생원성분의 기여도는 지하주차장이 지상주차장보다 높았으며, 미량원소성분의 평균농도 또한 지하주차장이 지상주차장보다 높았다. 오염지수를 이용한 중금속성분의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는 지하주차장이 지상주차장보다 5.5배정도 높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량원소성분간의 상관성 분석결과는 지상주차장이 지하주차장에 비해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는 항목이 많았으며, 특히 자연적 발생원 성분간 유의한 상관성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유해 중금속성분과 지하주차장의 영향인자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는 주차대수(공간)가 적은 지점이 큰 지점보다, 환기장치를 가동하지 않은 지점이 가동한 지점보다, 그리고 최근 도색년도와 청소일이 오래된 지점이 상대적으로 유해 중금속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추이대(推移帶)를 중심으로 한 경상북도 3개 도시의 열섬 평가 (Evaluation of the heat island in transition zone of three cities in Kyungpook, Korea)

  • 박인환;장갑수;김종용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2호
    • /
    • pp.73-82
    • /
    • 1999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urban heat island in three cities: Daegu, Kyungju, and Pohang for understanding the degree of nature conservation concentrating in the transition zone of them. Daegu city is the third city in Korea which has a dense population. Kyungju is a traditional city which has good nature. Pohang is an industrial city which has those of characters of Daegu and Kyungju. Landsat 1M data in May 17, 1997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heat island. There were about four theoretical models to estimate the surface temperature from TM data: Two-point linear model, Linear regression model, Quadratic regression model, and Cubic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Linear regression model had been utilized to analyze the urban heat island. On the resultant images, the transition zone of Daegu was urbanized more extremely than those of other two cities. It is thought that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NDVI and surface temperature, used in this study, is regarded as one of effective methodologies for urban-environmental detection from satellite imageries.

  • PDF

Sintering of the Crankshaft Position Sensor Wheel

  • Park, J.K.;Park, H.S.;Park, J.S.;Song, K.W.
    • 한국분말야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년도 Extended Abstracts of 2006 POWDER METALLURGY World Congress Part 1
    • /
    • pp.401-402
    • /
    • 2006
  • All-surface, all-tooth machining and roll forming of cast iron have been used to manufacture the crankshaft position sensor wheel (CPSW). However, these methods pose many problems such as difficult processing, high material cost, and low tooth precision. Thus, we developed a sintered CPSW with an improved detection abilit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previous methods of manufacturing CPSW by simplifying the process flow and improving tooth precision. The sintering process is introduced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compare the sintered and roll formed products and analyzed the result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sintering process. Furthermore, we compared and analyzed stress and displacement in the sintered and roll formed products through the "Finite Element Method(FEM)".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and FEM results, the sintered product showed satisfactory mechanical properties. It was less expensive to process and lighter and showed better quality than the roll formed produ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design an optimum CPSW using the sintering process.

  • PDF

대구지역 학교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Trace Elements Analysis and Source Assessment of School Dust in Daegu, Korea)

  • 송희봉;도화석;이명숙;신동찬;윤호석;곽진희;정철수;강재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90-1399
    • /
    • 2007
  • 2007년 1월에 대구지역의 총 45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먼지를 채취하여 100 ${\mu}m$ 이하로 체거름하고 산추출한 후 ICP로 14개 원소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를 이용한 미량원소성분의 발생원을 평가한 결과, 운동장은 자연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반면에 교실은 인위적인 발생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석결과는 자연적인 발생원 성분이 인위적인 발생원 성분에 비해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교실은 운동장보다 뚜렷하게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도시지역과 농촌지역간 그리고 토양운동장과 잔디운동장을 이용하는 교실간은 대체로 농도차이가 없었다. 대구지역의 수준은 국내의 다른 지역보다 운동장이 낮은 농도를 보였으나 교실은 높은 농도를 보였다. 대구지역의 교실에 축적된 먼지는 도로상에 축적된 먼지보다 미량원소성분을 적게 함유하고 있었다. 오염지수를 이용한 중금속성분의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 운동장은 중금속오염이 거의 없는 수준을 보였으나 교실은 중금속오염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운동장은 도시지역과 농촌지역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교실은 도시지역이 농촌지역 보다 중금속오염이 약간 높았다. 미량원소성분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운동장은 교실보다 미량원소성분간에 양호한 상관성을 많이 보였다. 교실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은 운동장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대구시 공공도서관 현황 분석 및 정책과제 제안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posals for Policy Tasks of Public Libraries in Daegu City)

  • 윤희윤;오선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43-65
    • /
    • 2023
  •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의 지적 및 독서 활동을 위한 지식정보서비스, 문화향유 및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서비스, 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제3의 공간과 시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충실한 인프라 구축을 전제로 사회적 요구가 적시에 반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공인통계에 근거하여 핵심지표 중심의 현황을 분석한 후 설문조사와 연계하여 보완 또는 주력해야 할 정책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전국 대비 대구시의 핵심지표는 제3의 대도시에 부합하지 않을 정도로 취약할 뿐만 아니라 기초자치단체별 편차도 상당히 심하였다. 그리고 대구 시민은 일상생활에서 공공도서관을 중시한 반면에 교통 불편, 필요한 자료 및 희망 프로그램 부족, 각종 규제의 순으로 불만족률이 높았다. 따라서 대구시는 자료구입비 증액과 신간 장서개발 강화, 전문사서 확충, 기초자치단 체별 서비스 격차해소를 위한 공공도서관 건립 확대, 접근편의성 제고, 이용 저해요인 개선 등에 주력해야 한다. 그 외에 2024년 대구도서관 건립·운영을 계기로 공공도서관 운영시스템 구축, 다른 지식문화기관과의 상생협력을 통한 외연 확장 등을 통해 대구시 공공도서관을 발전시키고 시민을 위한 지식문화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도시경제발전을 위한 중소기업 네트워킹 정책 활성화의 한계에 대한 연구 -대구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Limits to Promoting SMEs Networking Policies for Urban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Korea: Centering on the Case of Daegu City)

  • 김태운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2-491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경제발전을 위한 국가 및 지방정책의 맥락에서 중소기업 네트워킹 정책을 활성화시키는 데 있어서의 한계점들을 대구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구시와 같은 대도시에서는 도시경제의 이점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네트워킹 활동을 촉진시키는 전략은 지식기반경제에서 도시경제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기업유치라는 외생적 전략에 의존하는 국가 및 지방의 정책방향과 함께 지방과학기술정책이 중앙정부 주도로 추진되면서 중소기업보다는 대학과 연구소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네트워킹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을 제고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중소기업 네트워킹 활동 지원과 관련된 지역 특화 정책들은 소홀하게 다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 PDF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을 위한 민간사진기록 수집 활성화 방안: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quisition Methods of Private Photographs for The Urban Landscape Documentation Project: Focusing on Daegu Metropolitan City)

  • 신지원;최상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63-181
    • /
    • 2021
  • 도시의 변화를 포착하는 사진 기록은 지역 역사 기록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기록이다. 국내에서는 7개 주요 도시(서울, 인천, 광주, 울산, 대전, 부산, 대구)에서 각 도시의 사진기록을 보관하는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에 착수하여 진행되고 있지만 도시변화를 담고 있는 사진기록을 적절하게 수집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사업을 중심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의 현황을 조사하였는데 대구광역시의 경우 일부 공모전 사진과 지방자치단체의 오래된 사진만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구광역시 변화를 포착한 중요한 사진 기록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증 절차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어, 이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을 위해 기증을 기반으로 한 사진 기록물의 수집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증 기반 사진기록물 수집 개선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시민의 사진기록 기증 절차와 기증된 사진에 대한 메타데이터 세트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