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Tx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Importance of Nucleotides Adjacent to the Core Region of Diphtheria tox Promoter/Operator

  • Lee, John-Hw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622-627
    • /
    • 2002
  • Diphtheria toxin repressor (DtxR) binds to approximately 30 to 35-bp regions containing an interrupted 9-bp inverted repeat within a 19-bp core sequence. The core sequence is fairly conserved and critical for DtxR binding. The flanking regions that are consisted of 5 to 8 more of nucleotides from the core are also required for DtxR binding. The nucleotides in both flanking regions are A-T rich. To examine whether the A-T nucleotides in both flanking regions from the core have significant roles for DtxR binding, a DNA fragment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diphtheria tox promoter/operator, and DNA fragments with substitution of A and T nucleotides In the flanking regions to G and C were also constr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these substitutions on binding of DtxR and repressibility by DtxR, $\beta$-galactosidase activity from lacZ fused to the region was assessed. Gel mobility shift of the region by purified DtxR was also examined. The DNA fragments containing the mutations in the flanking regions still exhibited repression and mobility shift with DtxR. The core segment with the mutation is still, therefore, recognized by DtxR. Nonetheless, the results from the assays indicated that the substitution significantly decreased repression of the operator by DtxR in vivo under high-iron condition and decreased binding of DtxR to the opera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and T nucleotides fur both flanking regions are preferred for the binding of DtxR.

분산 중계기 Part 2: 실험실 테스트 결과 (Distributed Translator Part 2: Laboratory Test Results)

  • 박성익;음호민;서재현;김흥묵;이수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9-3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방식에서의 분산 주파수 망(distributed frequency network)을 위해 개발된 분산중계기(Distributed Translator: DTxR)에 대한 실험실 테스트 결과를 기술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DTxR 실험실 테스트는 수신부 테스트와 송신부 테스트로 구분된다. DTxR 수신부 테스트는 dynamic range, 랜덤 잡음, 단일 에코, 인접채널 신호의 간섭 테스트 등을 포함하고, DTxR 송신부 테스트는 출력신호의 품질(대역외 방사, 송신 품질, 위상잡음), 출력신호들의 주파수 일치, TxID (Transmitter Identification) 신호가 상용 수신기에 미치는 영향 평가 등을 포함한다. 실험실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DTxR 수신부는 0~17 us 범위 내의 평균 -2.5 dB의 단일 에코 신호를 제거하며, 랜덤 잡음에 대한 TOV (Threshold of Visibility)는 평균 17.5 dB이다. 또한, DTxR 송신부 출력 신호는 미국의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규격을 만족하며, DTxR 출력신호들의 주파수 차이는 0.001 Hz 보다 작다.

분산 중계기 Part 3: 필드 테스트 결과 (Distributed Translator Part 3: Field Test Results)

  • 박성익;서재현;음호민;이용훈;김흥묵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0-5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방식에서의 분산 주파수 망(distributed frequency network)을 위해 개발된 분산중계기(Distributed Translator: DTxR)에 대한 필드 테스트 결과를 기술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캐나다 오타와에서 수행된 필드 테스트에서는 두 대의 DTxR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중첩 지역을 중심으로 안테나 및 수신기 종류에 따른 각 측정 지점의 수신 전계 강도, 잡음 마진, 수신 여부, 수신가능 방위각을 측정하였다. 필드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두 대의 DTxR이 모두 켜졌을 때 수신 전계 강도 및 잡음 마진은 각각의 DTxR이 켜졌을 때 보다 증가하였지만, 수신율 및 수신가능 방위각은 수신기의 종류에 따라 증가하거나 비슷하였다.

분산 중계기 Part 1: 분산 중계 기술 (Distributed Translator Part 1: Distributed Translator Technology)

  • 김흥묵;박성익;음호민;서재현;이용태;임형수;이수인;이혁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4-2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방식에서의 분산 주파수 망(distributed frequency network: DFN)의 특징 및 기술적인 요구 사항에 관해 고찰하고, 그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분산중계기(Distributed Translator: DTxR)를 제안한다. DFN은 송신기와 중계기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지만 동일한 송신기 신호를 중계하는 모든 중계기들 간에는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송망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DTxR 구현을 위한 복조, 등화, TxID (Transmitter Identification) 생성 및 삽입, 변조, 그리고 중계기간 주파수 일치 등과 같은 신호처리 기술을 소개한다.

DTV 분산중계망의 구축 및 실험방송 결과분석 (Implementation & Test Results analysis Of a DTV Distributed Translator(DTxR) Network)

  • 목하균;왕수현;성영모;이용태;이용훈;김흥묵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18-536
    • /
    • 2009
  • 기존의 방송망 중계소 5곳을 선정하여 분산중계망 송신 시스템으로 설계, 구축한 후 서비스 예상지역의 수신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필드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중계소 5곳은 수신지역이 겹칠 것으로 예상되는 조밀하게 인접한 4곳과 다소 원거리에 있는 긴 지연시간의 다중신호(Multipath)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1곳을 선정하였다. 측정절차는 각 중계소의 분산중계망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모국(Main Station)의 수신 상태를 측정한 후, 각각의 중계 송신기의 송출과 휴지상태에서의 수신 상황을 측정, 비교하였다. 측정항목은 DTV의 표준측정 절차인 9 미터 높이의 수신안테나로 고정 측정 항목 중 수신 전계강도, 노이즈마진과 수신가능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 수신기의 수신능력을 수신기 세대별로 확인하기 위해 3세대, 5세대 및 6세대 수신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동시에 수신화질의 주관적 평가도 수행하였다. 측정은 총 60개 지점에서 이루어졌다. 측정결과 예상 서비스지역에서 모국 신호나 기존의 1곳의 중계기에 의한 수신 성공률보다 분산중계망 시스템에 의한 수신 성공률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5, 6세대 수신기에서는 수신조건도 모두 개선되어 분산중계망을 도입, 사용할 경우 방송채널 주파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DTV 분산중계망 필드 테스트 결과 (Field Test Results Of A DTV Distributed Translator Network)

  • 왕수현;서영우;목하균;이재영;이용훈;김흥묵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63-478
    • /
    • 2008
  • 분산중계 방식은 기존 중계기를 이용하는 MFN(Multiple Frequency Network)과 OCR(On Channel Repeater)을 이용한 SFN(Single Frequency Network)에 비해 기존의 송출시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구축이 가능하여 비용이 효율적이며,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이다. 본 필드 테스트는 이러한 분산중계 방식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서울 서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3세대, 5세대 그리고 6세대 수신기를 이용하여 총 30개 지점에 대하여 수신 전계강도와 노이즈마진 및 수신가능각을 측정하였고, 수신화질의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필드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모든 조건의 수신기에서 수신 성능의 향상을 보였다. 각 수신기별 특성을 볼 때 3세대 수신기에 비해 5세대 수신기 및 6세대 수상기는 수신율의 향상뿐만 아니라 수신가능각도 증가되어 분산중계망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웅성불임 유전자의 발현억제를 이용한 임성회복 (Restoration of Fertility by Suppression of Male Sterility- Induced Gene Using an Antisense Construct)

  • 박영두;박범석;김현욱;진용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4호
    • /
    • pp.473-475
    • /
    • 1999
  • 본 연구는 antisense 유전자를 이용하여 웅성불임 식물체를 유기하는 웅성불임 유기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임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약특이 promoter(GBAN215-6 promoter)와 antisense 방향의 diphtheria toxin(DTx-A) 유전자로 제작된 pKDA215b로 담배(cv. petit Havana SR1)를 형질전환시키고 형질전환이 확인된 76개의 $R_0$ 세대를 자가수분하여 $R_1$ 세대를 획득하였다. $R_1$ 세대의 유전 분석후 antisene 유전자가 복수로 존재하는 5개의 $R_1$ 계통 (21505, 21507, 21511, 21522, 21525)을 선발하고 동형접합체를 획득하기 위해 자가수분을 하였다. 임성회복을 유도하고 회복친을 선발하기 위하여 antisense 유전자를 가진 $R_2$ 계통과 웅성불임 식물체를 교배하였다. 그 결과 꽃가루가 완전이 회복된 개체, 부분적으로 회복된 개체, 회복되지 않은 개체 등 3종류의 식물체를 획득하였으며 이들 식물체의 화분 이외의 표현형은 정상식물체와 같았고 그 기작 구명을 위해 선발하고 계속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PDF

수술특이프로모터와 디프테리아 독성 유전자에 의한 웅성불임 형질전환체의 후대 유전분석 (Inheritance Study of Male Sterile Transformants Containing Pollen-specific Promoter and Diphtheria Toxin A Gene)

  • 박영두;김현욱;박범석;진용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42-347
    • /
    • 2000
  • 본 실험은 diphtheria 독성유전자의 수술조직 특이적인 발현을 이용하여 유기된 웅성불임 형질전환체들의 유전적 특성 및 표현형의 특징을 조사하고 후대로의 유전양상을 조사하여 전이유전자의 안정성을 검정하며 유전자의 조직특이적 발현 현상을 실제적으로 작물육종에 이용할 수 있는 가를 검토코자 수행하였다. 각 계통의 $BC_1$ 종자의kanamycin 저항성 검정을 수행한 바 조사된 13계통 중 $BC_{1}5-13,\;BC_{1}5-23,\;BC_{1}5-28$$BC_{1}5-32$의 4계통을 제외한 나머지 9계통의 kanamycin 저항성 개체($Kan^R$) 대 kanamycin 감수성 개체($Kan^S$)의 비율은 1 : 30-0 : 52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결과는 화분 특이 BAN215 프로모터에 의한 형질전환체의 도입유전자 copy 수에서 예상되는 Mendel 법칙의 우성유전자의 유전비율에 모든 개체가 다 부합되지는 않았다. 형질전환된 웅성불임 개체에 존재하는 DTx-A 유전자가 후대로 안정적으로 전이되는지 또한 웅성불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완전웅성불임개체중 전이유전자의 copy 수가 다른 5개체(5-13, 5-14, 5-23, 5-32, 5-33)를 선발하고 여교잡을 실시하여 $BC_2T_0$세대부터 $BC_4T_0$세대를 확보하였으며 각 계통의 후대로부터 428bp 크기의 DTx-A 유전자의 PCR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각 계통의 후대 개체들은 전이유전자를 후대 4대($BC_4T_0$)까지도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전달받은 후대들은 웅성불임성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그 비율은 각 세대에 전이된 DTx-A 유전자의 copy수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웅성불임개체들과 임성개체들을 여교잡하여 수확한 꼬투리의 크기와 종자결실은 정상적인 개체들의 교배때와는 달리 감소하였으며 이는 전이된 DTx-A 유전자의 copy수가 많은 개체들에서 더욱 많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유전자 전환체를 육종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론분리비에 부합되는 개체를 선발한 후 누대(累代)에 걸쳐 검정함으로써 안정성이 있는 개체를 이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SM방식 단말기용 모뎀칩을 위한 GSM Full Rate 보코더 구현 (Implementation of GSM Full Rate vocoder for the GSM mobile modem chip)

  • 이동원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2호
    • /
    • pp.9-1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유럽 통신 표준화기구인 ETSI 의 SMGll에서 채택된 GSM Full Rate(FR) 보코더 알고리wma[1]을 Teak DSP Core를 이용하여 실시간 구현하였다. GSM FR 보코더는 유럽에서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인 GSM 의 full-rate Traffic Channel(TCH)의 표준 코덱[2]으로서 GSM HR, GSM EFR GSM AMR과 더불어 모뎀칩 내에 장착되는 필수적인 음성 서비스이다. 구현된 GSM FR는 13.05kbps의 비트율을 가지고 있으며, 인코더와 디코더 기능 외에 voice activity detection(VAD)[3]블록과 DTX[4]블록 등의 부가 기능도 구현되어 있다. 구현에 사용된 Teak[5]는 DSP Group 의 16bit고정 소수점 DSP core로서 최대 140MIPS 의 성능을 낼 수 있고 400bits ALU 와 두개의 MAC 이 장착되어 있어 음성 및 채널 부호화기의 실시간 처리에 최적화 되어있다. 구현된 GSM FR 은 인코더와 디코더 부분이 각각 약 235 MIPS 및 1.19MIPS 의 복잡도를 나타내며, 사용된 메모리는 프로그램 ROM 3.9K words, 데이터 ROM(table) 396 words 및 RAM 932words이다.

  • PDF

IMT 2000 시스템 지원을 위한 cdmaOne의 3 세대 CDMA MAC 설계 및 성능 평가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cdmaOne's Third Generation CDMA MAC for IMT 2000)

  • 이성원;송영재;조동호;이현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3호
    • /
    • pp.371-37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IS-95B에서 IMT 2000으로의 자연스러운 진화를 지원하면서, IMT2000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CDMA 기반한 패켓데이타 서비스용 MAC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제안한 방안은 기본적으로 비연결형 패켓 전송 방식을 지원하여 채널의 재사용률을 높히고, 트래픽의 전송시에만 채널을 사용하는 DTX(Dis-continous Transmission Mode)에 기반하므로 채널 자원의 효율을 극대화 한다. 아울러 트래픽의 전송시 5ms에 기반한 전용제어 채널관리 기능을 제공하므로서 빠른 채널 제어를 지원한다. 또한 Sleep-mode에 기반한 전용 제어 채널 제어 기능을 제공하여 단말의 전력 감소를 최소화한다. 아울러, 상태 천이에 따라서 패켓의 송수신이 없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내의 데이터베이스 정보 관리 부하를 극소화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안은 현재 cdmaOne 의 표준으로서 TR 45.5의 승인을 받아 ITU-R의 IMT2000 RTT(Radio Transmission Technology)로서 제출되어 있는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