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TPA extractable micronutrien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Some DTPA Extractable Micronutrients in Different Hill Forest Soils of Chittagong Region, Bangladesh

  • Akhtaruzzaman, Md.;Osman, K.T.;Sirajul Haque, S.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20-26
    • /
    • 2016
  • DTPA (Diethelene-triamine pentaacetic acid) extractable micronutrients of surface soil samples from six different locations of Cox's Bazar and Chittagong districts were studied. All the soils under study were sufficient in DTPA extractable Fe, Mn and Cu contents. The available Zn contents in soils of Dulhazara, Chengchhari and Faissakhali under study were also above the critical limit while soils at Fulchhari, Hasnabad and CU were deficient in available Zn. The study also showed that DTPA extractable Fe content had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lay and soil organic carbon. On the hand, nega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extractable Mn and soil pH while DTPA extractable Zn and Cu we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il organic carbon of the studied area.

Extractable Micronutrients in Soils of Some Forested and Deforested Sites of South Eastern Hilly Areas of Bangladesh

  • Akhtaruzzaman, Md.;Osman, K.T.;Haque, S.M. Siraj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6호
    • /
    • pp.429-434
    • /
    • 2018
  • Extractable iron (Fe), manganese (Mn), zinc (Zn) and copper (Cu) contents and their distribution with depths in soils of forested and adjacent deforested areas at Jahazpura, Teknaf, Cox's Bazar of Bangladesh were studied. The soils under forest showed higher levels of DTPA-extractable micronutrients in all three layers of soil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deforested areas. The differences between forested and deforested sites were, in most cases, significant.. The top soils of forested sites had the higher contents of micronutrient and generally decreased with depth in forested soils, while there was no regular trend of distribution in deforested soils.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contents of extractable Fe, Mn and Cu were sufficient in all depths and sites but Zn was deficient in bottom layer of forested and all three layers of deforested sit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organic matter, clay and soil pH could play important roles in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s of micronutrients in soils of the study areas.

퇴비의 미량원소 함량과 작물에 대한 유효도 (Content and Availability of Micronutrients in Manure-based Composts)

  • 정종배;최희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0-236
    • /
    • 2006
  • 가축분과 톱밥을 주원료로 하고 기타 농산부산물과 무기 자재로 제조된 퇴비의 미량원소 함량을 조사하고 이러한 퇴비의 처리가 토양의 미량원소 함량과 작물의 미량원소 흡수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상추 재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5종의 퇴비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미량원소는 총 함량과 가용성 함량으로 분석하였다. 미량원소 함량이 낮은 토양에 퇴비 1종을 1,000 및 $2,000kg\;10a^{-1}$ 수준으로 처리하고 포트 시험으로 온실에서 상추를 재배하였으며, 생육과 식물체중의 미량원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퇴비중의 미량원소 함량은 원료물질이 다른 만큼 퇴비의 종류별로 총 함량과 가용성 함량 모두 다양하였다. 미량원소 총 함량은 B, Cu, Fe, Mn, Mo, Zn이 각각 26-42, 27-160, 4,300-9,500, 290-790, 0-0.5, $140-420mg\;kg^{-1}$ 범위로 나타났다. 퇴비중의 0.1 N HCl 가용성 B, Cu, Fe, Mn, Zn 은 각각 총 함량의 23-32, 1.3-2.6, <1, 7-32, 0.5-5% 수준이었으며 DTPA 가용성 함량은 0.1 N HCl 가용성 함량보다 높았다. 퇴비를 $2,000kg\;10a^{-1}$ 수준으로 처리한 경우 퇴비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생육이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퇴비 처리구 모두에서 상추 잎 중의 B, Cu, Mo, Zn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퇴비 처리가 Fe와 Mn의 흡수는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퇴비 $2,000kg\;10a^{-1}$ 수준의 처리를 통하여 토양에 공급되는 0.1 N HCl 가용성 미량원소의 양은 상추 생육에 필요한 양보다 많았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적절한 수준의 퇴비 시용을 통하여 작물이 필요로 하는 미량원소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퇴비 시용량이 비교적 많은 비닐하우스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량원소 비료의 시용 효과는 미량원소 흡수에 미치는 토양 환경이나 작물 요인을 고려하여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