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T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7초

비선형 DRT 위성 중계시스템의 재밍 간섭 특성 분석 (Analysis of Jamming Interference Characteristics in Nonlinear DRT Satellite Transponder System)

  • 이동형;유흥균;김기근;최영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8B호
    • /
    • pp.1341-134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DRT 위성 중계시스템에서 HPA의 비선형성과 상·하향링크의 전대역 재밍 및 부분 대역 재밍을 고려하여 지구국 수신기에서 요구되는 SNR값을 만족시키기 위한 각각의 상·하향링크 SNR값과 에러확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위성 중계기 대역폭과 지구국 수신기 대역폭이 같은 경우 상향링크 JSR 10[dB] 하양링크 JSR 10[dB] 및 처리 이득 30[dB]를 기준으로 요구되는 전체 SNR 즉 (S/M)total를 10[dB] 확보하기 위하여 선형 위성 중계 시스템은 하향링크 SNR 14[dB]를 기준으로 상향링크 SNR이 14.2[dB]를 필요하여 약 6[dB] 만큼읨 손실이 있게 된다 한편 상향링크 SNR 10[dB] 상향링크 JSR 10[dB] 하향링크 JSR 10[dB] 및 처리이득 30[dB]을 고려한 전대역 재밍에서 OBO 2[dB]인 경우의 비선형 시스템이 OBO 0[dB] 인 선형 시스템보다 성능이 나빠지므로 전력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재밍환경하에서 위성통신 능동처리기법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On Board Processing in Communication Satellite Against Jamming Environment)

  • 권오주;이광억;하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7B호
    • /
    • pp.1185-1193
    • /
    • 2000
  • 본 논문은 군 위성통신에서 능동신호처리(OBP) 방식을 고려서 위협요소인 전대역잡음(FBN) 재밍 및 부분대역잡음(PBN) 재밍 환경하에서 BPT, DOT, DRT, SRT방식 중계기구조에 따른 통신 성능의 열화 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FBN환경에서는 OBP의 모든 방식이 통신 가능하였고, PBN환경에서는 모든 OBP 방식의 통신이 불가능하였으나, 다이버시티의 증가에 따라 성능이 향상되어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BPT와 DOT방식은 PBN환경에서 다이버시티를 증가하여도 성능이 개선되지 않았다. 성능분석 결과 SRT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비용대 효과 측면을 고려할 경우 SRT의 위협에 대한 항재밍성능과 유사한 성능을 하고 비용이 효율적인 DRT 방식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산 양식송어에서 분리된 전염성 췌장괴저 바이러스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IPNV) isolated from Pan-Cultured Rainbow Trout in Korea)

  • 박정우;이정진;정가진;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5-230
    • /
    • 1989
  • 1983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전염성췌장괴저 바이러스가 분리되기 시작한 이래 여러가지 종류의 내수며 양식 물고고기로부터 이 바이러스가 검출되어 왔다. 세계적으로 안정되고 있는 세가지 표준혈청형 즉 VR-299, Sp 그리고 Ab형 에 대한 중화항체 실험으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전염성췌장괴저 바이러스는 주로 VR-299형임이 확인되어 왔으나 대청댐에서 양식된 송어로부터 발견된 한 주의 바이러스는 독특한 혈청형을 보이고 있어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바이러스로부터 단백질과 핵산을 분리하여 세가지 표준 혈청형 바이러스의 그것과 비교하여 본 결과, 크기에 있어 분명한 차이가 보였고 중화항체를 이용한 감염저지 실험으로 Sp 형과 비교적 가까운 연관관계를 가지는 거승로 밝혀졌으나, 세가지 표준 혈청과는 뚜렷이 구분되는 새로운 혈청형으로 판정되었다.

  • PDF

4차원 방사선 치료시 Body Fix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n Usefulness of Applying Body-fix to Four Dimensional Radiation Therapy)

  • 김영재;장영일;지연상;한재복;최남길;장성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19-4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간암 치료시 Body fix를 이용하여 4DRT를 실시할 경우 종양의 체적, 위치의 변화정도, 종양 및 정상조직의 선량흡수정도를 파악하여 Body fix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사전 연구에 동의한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ody fix의 착용 유무에 따라 각기 다른 4차원 모의치료영상을 획득하여 영상을 바탕으로 종양조직 및 정상조직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종양의 용적을 분석해본 결과 Body fix의 사용이 GTV는 0.17%, CTV와 PTV는 3.2% 정도 체적을 줄일 수 있었으며, 종양의 운동성은 AP방향에서 29.8%, UL방향에서 5.31%의 움직임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종양의 흡수선량 값은 Body fix를 사용한 경우가 다소(1.3%) 높았으며 정상조직(정상간, 위, 우측신장, 척수)의 흡수선량은 5% 정도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간암의 4DRT시 Body fix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사포닌 성분의 함량 및 조성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Saponin Contents of Panax ginseng Leaf-Tea)

  • 장현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6-53
    • /
    • 2003
  • 건강 기능성과 기호성, 간편성을 갖는 건강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4년생 인삼엽을 7월과 8월에 각각 채엽하고 이를 재료로 하여 건조법(DRT), 숙성법(AGT), 열처리법(HPT) 등의 3가지 방법으로 인삼엽차를 제조하고 인삼제품의 품질 지표인 조사포닌 함량과 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삼엽차의 조사포닌 함량은 제조 방법 중 HPT 가 18.72~18.82%로 가장 높았으며 AGT는 18.24~18.29%, DRT는 17.02~17.17%순이었고 채엽시기별 함량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2. 인삼엽차의 ginsenoside 조성은 채엽시기, 제조방법별로 유사하였으며, ginsenoside-Re가 1.97~2.15로 가장 높았고, -Rd이 1.48~l 79, -Rg$_1$이 1.33~l.58, 그리고 -Rb, -Rb$_2$, -Rc 순이었다. 3. 인삼엽차의 protopanaxadiol(PD), protopanaxatriol(PT)계 사포닌의 함량비(PD/PT)는 제조 방법 중 DRT가 1.11~l.13, HPT 1.09~l.12이었고 AGT는 0.92~1.02로 다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채엽시기별 함량비는 유사하였다. 4. 인삼엽차의 5분간 열탕침출액의 조사포닌 함량은 7월엽 제품, HPT가 각각 15.88%, 16.88%로 가장 높았고 ginsenoside함량은 -Re, -Rd, -Rg$_1$, -Rb$_2$, -Rc 순이었다. 알콜로 8시간 환류 추출한 총 사포닌과 5분간 열탕 침출액 중 조사포닌 함량을 비교한 조사포닌 침출율은 81.74~84.38%로서 7월엽 제품, HPT가 84.38%로 가장 높았고 ginsenoside침출율은 다소 낮은 78.00~88.13%를 나타내었다. 또한 30분간 침출액의 침출율은 88.01~92.31%로 5분간 침출율보다 7월엽 제품은 10~13%, 8월엽 제품은 약 20% 증가하였고 ginsenoside 침출율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Treatment outcome of localized prostate cancer by 70 Gy hypofractionate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with a customized rectal balloon

  • Kim, Hyunjung;Kim, Jun Won;Hong, Sung Joon;Rha, Koon Ho;Lee, Chang-Geol;Yang, Seung Choul;Choi, Young Deuk;Suh, Chang-Ok;Cho, Jaeh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187-197
    • /
    • 2014
  • Purpose: We aimed to analyze the treatment outcome and long-term toxicity of 70 Gy hypofractionate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for localized prostate cancer using a customized rectal ballo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86 prostate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curative radiotherapy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11 at our institution. Patients were designated as low (12.8%), intermediate (20.9%), or high risk (66.3%). Thirty patients received a total dose of 70 Gy in 28 fractions over 5 weeks via IMRT (the Hypo-IMRT group); 56 received 70.2 Gy in 39 fractions over 7 weeks via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the CF-3DRT group, which served as a reference for comparison). A customized rectal balloon was placed in Hypo-IMRT group throughout the entire radiotherapy course.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was administered to 47 patients (Hypo-IMRT group, 17; CF-3DRT group, 30). Late genitourinary (GU) and gastrointestinal (GI) toxicity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criteria.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74.4 months (range, 18.8 to 125.9 months). The 5-year actuarial biochemical relapse-free survival rates for low-, intermediate-, and high-risk patients were 100%, 100%, and 88.5%, respectively, for the Hypo-IMRT group and 80%, 77.8%, and 63.6%, respectively, for the CF-3DRT group (p < 0.046). No patient presented with acute or late GU toxicity ${\geq}$grade 3. Late grade 3 GI toxicity occurred in 2 patients (3.6%) in the CF-3DRT group and 1 patient (3.3%) in the Hypo-IMRT group. Conclusion: Hypo-IMRT with a customized rectal balloon resulted in excellent biochemical control rates with minimal toxicity in localized prostate cancer patients.

Evalulation of Specific Gravity in Post Member by Drilling Resistance Test

  • Park, Chun-Young;Kim, Se-Jong;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1-9
    • /
    • 2006
  • The structural wooden members of the ancient building are deteriorated by fungi and termite over time. The deteriorate of the members causes the decrease of the specific gravity and the strength of it, so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is threaten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of the specific gravity, which is correlated with the strength of the wood, was conducted in the post member using Nondestructive Evaluation (NDE) - Drilling Resistance Test (DRT). For the purpose of it, the specific gravity and drilling resistance of small specimens was measured to obta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ecific gravity and the drilling resistance. And then, the drilling resistance test of the post members, which were expected to have the deteriorated parts, was performed. Consequent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ecific gravity and the drilling resistance was very high ($R^2=0.89$) and the distributions of the specific gravity were evaluated for the each member. Also,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it. Especially, the various variations of the wood member such as the deteriorated parts with termite or fungi and the crack could be detected exactly but the knot couldn't because the drill could pass by or could not penetrate the k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