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QB1*0601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Susceptible and Protective Associations of HLA Alleles and Haplotypes with Cervical Cancer in South India

  • Rathika, Chinniah;Murali, Vijayan;Dhivakar, Mani;Kamaraj, Raju;Malini, Ravi Padma;Ramgopal, Sivanadham;Balakrishnan, Karuppi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5호
    • /
    • pp.2491-2497
    • /
    • 2016
  • Background: Human leukocyte antigen (HLA) genes have been implicated in cervical cancer in several populations. Objectives: To study the predispositions of HLA alleles/haplotypes with cervic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ly diagnosed and PAP smear confirmed cervical cancer patients (n 48) and age matched controls (n 47) were genotyped for HLA-A,-B,-DRB1* and DQB1* alleles by PCR-SSP methods. Results: The frequencies of alleles DRB1*04 (OR=2.57), DRB1*15 (OR=2.04), DQB1*0301 (OR=4.91), DQB1*0601 (OR=2.21), B*15 (OR=13.03) and B*07 (OR=6.23) were higher in cervical cancer patients than in the controls. The frequencies of alleles DRB1*10 (OR=0.22) and B*35 (OR=0.19) were decreased. Strong disease associations were observed for haplotypes DRB1*15-DQB1*0601 (OR=6.56; p< $3.5{\times}10^{-4}$), DRB1*14-DQB1*0501 (OR=6.51; p<0.039) and A*11-B*07 (OR=3.95; p<0.005). The reduced frequencies of haplotypes DRB1*10-DQB1*0501 (OR=0.45), A*03-B*35 (OR=0.25) and A*11-B*35 (OR= 0.06) among patients suggested a protective association. HLA-C* typing of 8 patients who possessed a unique three locus haplotype 'A*11-B*07-DRB1*04' (8/48; 16.66%; OR=6.51; p<0.039) revealed the presence of a four locus haplotype 'A*11-B*07-C*01-DRB1*04' in patients (4/8; 50%). Amino acid variation analysis of susceptible allele DQB1*0601 suggested 'tyrosine' at positions ${\beta}9$ and ${\beta}37$ and tyrosine-non-tyrosine genotype combination increased the risk of cervical cancer. Conclusions: Strong susceptible associations were documented for HLA alleles B*15, B*07, DRB1*04, DRB1*15, DQB1*0301, DQB1*0601 and haplotypes DRB1*15-DQB1*0601 and DRB1*14-DQB1*0501. Further, protective associations were evidenced for alleles B*35 and DRB1*10 and haplotypes A*11-B*35 and DRB1*10-DQB1*0501 with cervical cancer in South India.

한국인 폐결핵 환자에서 HLA-DRB1 및 -DQB1 유전자의 다형성에 관한 연구 (Polymorphisms of HLA-DRB1 and -DQB1 Genes in Korea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박명희;송은영;권성연;박혜진;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4호
    • /
    • pp.367-377
    • /
    • 2003
  • 연구배경 : 결핵균에 감염된 사람 중 약 10%만이 임상적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보아 결핵의 발병 감수성에 숙주의 유전적 인자가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저자들은 한국인 폐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HLA 형별검사를 이용한 대립유전자 수준의 HLA-DR 및 DQ 유전자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방 법 : 이전 결핵 치료력이 없는 결핵 환자 67명(약제감수성군 38명, 다제내성군 29명)과 200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HLA-DRB1 형별검사는 reverse SSO (sequence specific oligonucleotide)와 PCR-SSCP (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방법으로, DQB1 형별검사는 PCR-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SSCP 및 PCR-SSP (sequence specific primer)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결 과 : 결핵환자군 중 다제내성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DRB1*0701과 *08032의 빈도가 약 2배 정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이들 대립유전자와 연관된 DQB1*0202와 *0601(15.5% vs 34.5%, p=0.01)이 증가되었다. DQB1*0609는 결핵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4.0% vs 14.9%, p=0.004), 약제감수성군과 다제내성군에서 유사한 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폐병변의 중증도와 HLA의 연관성을 보면 덜 진행된 군(약제감수성군의 경증, 다제내성군의 중등증)에 비해 더 진행된 군(약제감수성군의 중등증+중증, 다제내성군의 중증)에서 DRB1*08032(4.2% vs 32.6%, p=0.007)와 DQB1*0601(12.5% vs 34.9%, p=0.047)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DQB1*0609는 다제내성군에서는 중증군에서, 약제감수성군에서는 경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DRB1*0701과 DQB1*0202는 다제내성군의 중등증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되어 이들 대립유전자는 폐병변의 중증도와 일정한 연관을 보이지는 않았다. 결 론 : HLA-DRB1*08032 및 DQB1*0601 대립유전자는 한국인에서 다제내성 결핵의 유전적 감수성인자로 생각되며 질환의 중증도와도 연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성장애로 발현한 기면증의 변종 (Narcolepsy Variant Presented with Difficult Waking)

  • 이향운;홍승봉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2호
    • /
    • pp.115-119
    • /
    • 2000
  • 목 적 : 십년 이상 각성장애를 보인 20세 남자환자를 분석하였다. 환자는 두통, 만성피로, 경한 주간졸리움증을 호소하였으나 조절할 수 없는 수면발작, 탈력발작, 입면시 환각이나 수면마비의 병력은 없었다. 방 법 : 야간 수면다원검사 (PSG), 반복적 수면잠복기 검사 (MSLT) 및 조직적합성 유전자검사 (HLA-typing)를 시행 하였다. 결 과 : PSG상 수면잠복기가 짧고 (4분), 렘수면잠복기도 감소하였고 (2.5분), 각성지표 (arousal index)가 시간당 15.7로 약간 증가되었으며, 수면 중 주기적 사지운동지표 (PLMS index)가 시간당 8.1로 관찰되었으나 운동과 연관된 각성지표 (movement arousal index)는 시간당 2.1로 높지 않았다. 잠효율은 (sleep efficiency)는 97.5%로 정상이었다. MSLT상 수면잠복기는 15분 21초로 정상이었으나 sleep-onset REM (SOREM)은 5회의 낮잠 시도 중 4회에서 관찰되었다. HLA-typing에서 DQ6-양성이었는데, 이는 기면증 환자에서 대개 관찰되는 유전자 위치인 DQB1*0602, DQA1*0102와는 다른 DQB1*0601 부위에 상응하였다. 결 론 : 일차성 각성장애의 원인이 되는 여러 질환 특히 일주기리듬장애나 기면증, 원발성 다면증과의 감별진단이 필요하며, 수면검사와 유전자검사 상 기면증의 새로운 변종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