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INANT NATIVE SPECIE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3초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Lake Paro)

  • 최재석;장영수;이광열;김진국;권오길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11-119
    • /
    • 2004
  • 2002년 12월부터 2003년 9월까지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총 12과 45종이었다. 한국고유종은 H. mylodon, A. yanatsutae, C. herzi 등 15종 (33.33%)이었다. 우점종은 Z. platypus (72.41%), 아우점종은 H. labeo (9.75%)였고 우세종은 O. uncirostris amurensis (5.98%), Z. temmincki (2.42%), R. brunneus (2.01%), H. olidus (0.88%) 등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은 Z. platypus 82,863.15g, H. labeo 32,942.63 g, O. uncirostris amurensis 27,482.39 g, C. carpio 6,502.87 g, A. japonica 3,022.15 g,S. scherzeri 2,711.05g의 순으로 나타났다. 파로호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A.japonica, H. eigenmanni, H. olidus, O. masou masou, C. urotaenius, R. giurinus, C. carpio (Israeli type), C. cuvieri, M. salmoides, L. macrochirus의 10종이었다. 이 중 C. carpio (Israeli type), C. cuvieri, M. salmoides, L. macrochirus는 국외종이며 A. japonica, H. eigenmanni, H. olidus, O. masou masou, C. urotaenius, R. giurinus는 국내 다른 하천으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An Overview of Kenyan Aquaculture: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Future Development

  • Munguti, Jonathan Mbonge;Kim, Jeong-Dae;Ogello, Erick Ochie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14
  • The Kenyan aquaculture sector is broadly categorized into freshwater aquaculture and mariculture. Whereas freshwater aquaculture has recorded significant progress over the last decade, the mariculture sector has yet to be fully exploited. The Kenyan aquaculture industry has seen slow growth for decades until recently, when the government-funded Economic Stimulus Program increased fish farming nationwide. Thus far, the program has facilitated the alleviation of poverty, spurred regional development, and led to increased commercial thinking among Kenyan fish farmers. Indeed, national aquaculture production grew from 1,000 MT/y in 2000 (equivalent to 1% of national fish production) to 12,000 MT/y, representing 7% of the national harvest, in 2010. The production is projected to hit 20,000 MT/y, representing 10% of total production and valued at USD 22.5 million over the next 5 years. The dominant aquaculture systems in Kenya include earthen and lined ponds, dams, and tanks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The most commonly farmed fish species ar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which accounts for about 75% of production, followed by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which contributes about 21% of aquaculture production. Other species include common carp Cyprinus carpio,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koi carp Cyprinus carpio carpio, and goldfish Carassius auratus. Recently, Kenyan researchers have begun culturing native fish species such as Labeo victorianus and Labeo cylindricus at the National Aquaculture Research Development and Training Centre in Sagana. Apart from limited knowledge of modern aquaculture technology, the Kenyan aquaculture sector still suffers from an inadequate supply of certified quality seed fish and feed, incomprehensive aquaculture policy, and low funding for research. Glaring opportunities in the Kenyan aquaculture industry include the production of live fish food, e.g., Artemia, daphnia and rotifers, marine fish and shellfish larviculture; seaweed farming; cage culture; integrated fish farming; culture of indigenous fish species; and investment in the fish feed industry.

Distribution of the Genetic Resource and the Biomass of Root Bark of Ulmaceae Species

  • Park, Dong Jin;Yong, Seong Hyeon;Yang, Woo Hyeong;Seol, Yuwon;Choi, Eunji;Kim, Hyeong Ho;Ahn, Mi-Jeong;Choi, Myung S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2호
    • /
    • pp.65-75
    • /
    • 2019
  • Stem and root of elm trees have used as traditional medical materials, bu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resources of habitats. Korean native growing Ulmus spp. (U. davidiana var. Japonica, U. parvifolia, U. davidiana, and U. macrocarpa) genetic resources studied through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Korea data and field survey. The distributions of U.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elevation distributed evenly. Both U. parvifolia and U. davidiana were inhabited mostly at less than 200 m of altitude. Each Ulmaceae species widely were distributed nationwide, but a dominant speci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locals. It observed that Ulmaceae inhabits mainly in steep slopes of 31-45 degrees. Most of the habitats regenerated by natural seeding an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a codominant tree. Distribution of trees in U davidiana var. japonica was 7 m-13 m, and in young U. parvifolia and U. macrocarpa, more than 25% of young trees less than 7 m observed. The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breast height of the U. davidiana var. japonica was 46.4% for 11-20 cm, 52.6% for 11-20 cm in U. parvifolia. The average T/R ratio was 0.83, and the mean weight ratio of root bark was 62%.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omestic Ulmaceae biomassare very small. It is difficult to harvest in that the habitat on the slope. Thus, it is too hard to develop functional materials using biomass at pres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for the selection and propagation of elite trees of Ulmaceae.

Genetic Polymorphism of Avian Leukosis Virus Host Receptors in Korean Native Chickens and Establishment of Resistant Line

  • Lee, Kyung Youn;Shin, Yun Ji;Han, Jae Young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99-108
    • /
    • 2022
  • 조류 백혈병 바이러스는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전염성이 높은 레트로바이러스의 하나이다. 이는 높은 전파력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다양한 바이러스 하위 그룹이 존재하여 특정 숙주 수용체를 통해 감염이 일어난다. 백혈병 바이러스 A형과 K형 바이러스에 대한 조류 종의 민감성 또는 저항성은 숙주 수용체인 tumor virus locus A(tva)의 유전자형에 의해 결정되고, 바이러스 B형은 숙주 수용체인 tumor virus locus B(tvb)의 유전자형에 의존한다. 대부분 중국에서 tva, tvb 저항성 대립유전자가 밝혀졌지만, 한국에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화이트 레그혼, 오골계 그리고 한국 재래 닭의 tva, tvb 유전자의 유전형 빈도를 분석하고, 백혈병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화이트 레그혼에서는 tva와 tvb 모두 민감성 및 저항성 대립유전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으며, 오골계에서는 tva와 tvb에 대한 저항성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였다. 한국 재래 닭에서는 tva의 경우 민감성과 저항성 대립유전자가 섞여 있으며, tvb의 경우 저항성 대립 유전자형이 존재하였다. 또한, 계통에 따라 tva 전사체의 스플라이싱 패턴과 tvb 전사체의 발현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닭 배아 섬유아세포에서 조류 백혈병 바이러스 시험관내 감염을 통해 오골계 및 한국 재래 닭에서 유전자형 의존적으로 저항성을 획득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부 오골계와 한국 재래 닭이 조류 백혈병 바이러스 아형인 A, B 그리고 K형에 자연적으로 내성이 있으며 선택적 육종을 통해 경제적으로 우수한 형질을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 선흘곶 초지지역의 천이경향을 고려한 상록활엽수림 복원 연구 (Restoration for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by Successional Trends of Pasture-grassland in the Seonheulgot, Jeju-do)

  • 한봉호;김정호;배정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9-381
    • /
    • 2004
  • 본 연구는 장기간의 이용과 간섭으로 훼손된 선흘곶 방목초지를 원식생인 상록활엽수림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식생유형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천이경향을 예측하고 적합한 복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총 26개 조사지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우점종의 평균상대우점치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교목층 우점종의 경급을 고려하여 6개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군집 I은 덩굴성관목림, 군집 II는 상록활엽수 관목림, 군집 III은 소경목의 상록활엽수림, 군집 IV, V는 중경목의 상록활엽수림, 군집 Ⅵ은 대경목의 상록활엽수림이었다. 관목림의 출현종은 각각 24, 28종이었고 소경목 상록활엽수림은 16종, 중경목 상록활엽수림은 29, 30종이었으며 대경목 상록활엽수림은 27종이었다. 전체 종다양도지수는 0.8763∼1.2630이었으며 중경목과 대경목 상록활엽수림간 유사도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군집 I, II, III은 방목초지에서 상록활엽수로 천이가 진행된 유형이었고 군집 IV, V, Ⅵ은 방목지내 잔존림으로서 난대 상록확엽수림과 식생구조가 유사하였다. 선흘곶 방목초지지역을 상록활엽수림으로 복원하기 위해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군집을 목표로 하여 선흘곶 내 상록활엽수림을 모델림으로 제시하였으며 복원모델군집의 생육밀도는 교목층에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가 100$m^2$당 10주, 아교목층에는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종가시나무가 100$m^2$당 14주이었다.

Seasonal variation in longitudinal connectivity for fish community in the Hotancheon from the Geum River, as assessed by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 Hyuk Je Lee;Yu Rim Kim;Hee-kyu Choi;Seo Yeon Byeon;Soon Young Hwang;Kwang-Guk An;Seo Jin Ki;Dae-Yeul B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1호
    • /
    • pp.32-48
    • /
    • 2024
  • Background: Longitudinal connectivity in river systems strongly affects biological components related to ecosystem functioning, thereb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local biodiversity and ecosystem health. Environmental DNA (eDNA)-based metabarcoding has an advantage of enabling to sensitively diagnose the presence/absence of species, becoming an efficient/effective approach for studying the community structure of ecosystem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eDNA-based biomonitoring for river systems, particularly for assessing the river longitudinal connectivity. In this study, by using eDNA we analyzed and compared species diversity and composition among artificial barriers to assess the longitudinal connectivity of the fish community along down-, mid- and upstream in the Hotancheon from the Geum River basin. Moreover, we investigated temporal variation in eDNA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according to season. Results: The results of species detected between eDNA and conventional surveys revealed higher sensitivity for eDNA and 61% of species (23/38) detected in both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eDNA-based fish community structure differs from down-, mid- and upstream, and species diversity decreased from down to upstream regardless of season. We found that there was generally higher species diversity at the study sites in spring (a total number of species across the sites [n] = 29) than in autumn (n = 27).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eatmap analyses further suggest that there was a tendency for community clusters to form in the down-, mid- and upstream, and seasonal variation in the community structure also existed for the sites. Dominant species in the Hotancheon was Rhynchocypris oxycephalus (26.07%) regardless of season, and subdominant species was Nipponocypris koreanus (16.50%) in spring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15.73%) in autumn. Artificial barriers appeared to negatively affect the connectivity of some fish species of high mobility. Conclusions: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a biological monitoring system by highlighting the versatility and power of eDNA metabarcoding in monitoring native fish community and further evaluating the longitudinal connectivity of river ecosys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DNA can be applied to identify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 river systems, although some shortcomings remain still need to be resolved.

한국 소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 권기철;한성안;이돈구;정인권;서용진;홍의표;최환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496-503
    • /
    • 2021
  • 소나무는 우리나라 자생수종 중 모든 지역에서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소나무림의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소나무가 50% 이상인 조사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15,139개 표본점 중 소나무림으로 분류된 원형조사구(400 m2) 수는 3,665개소이다. 소나무림은 해발 600 m 이하의 낮은 지역의 산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평균 출현율 25%). 해발 800 m 이상에서는 주로 남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했고(57%),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는 모든 사면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나무림의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33%), 양토(29%), 미사질양토(24%)였고, 양분 수준은 다소 척박했다. 소나무와 함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잔털벚나무, 밤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등은 소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은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노간주나무와 때죽나무는 소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소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진달래, 졸참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개옻나무, 철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주시 덕진공원의 개발이용에 따른 생물학적인 영향예측과 기초관리방안 (Biological Impact Prediction and Biological Basic Management by Development of Deokjin Park, Chonju City)

  • 김세천;윤창호;김익수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1호
    • /
    • pp.77-92
    • /
    • 1997
  • 덕진공원의 생물상을 조사하고 환경 및 생물의 서식 상태를 개선한 수 있는 기초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1996년 6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식물상, 플랑크톤 조사, 곤충상, 척추동물상(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식물상은 모두 49과 84속 83총 1품종 11변종으로 확인되었다. 호수에는 연꽃 Nelembo nucifera과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이 우점종을 차지하였고, 수질개선의 측면에서 동절기에 이들의 제거가 요구된다. 덕진공원 내에 플랑크톤은 6강 10목 18과 40속이 출현하였고 이중 부영양화 현상을 일으키는 Anacystis(=Microcystis)와 Anabaena가 출현하였다. 공원내에서 출현하는 곤충은 11목 30과 41종으로 확인되었고 보다 많은 곤충이 모이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화초류을 심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편 어류는 7종, 양서류는 2종, 파충류는 3종, 조류는 7종 및 포유류는 1종이 관찰되었다. 이중에서 황소개구리와 청거북과 같은 외래도입종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 PDF

국내 서식 담수새우 새뱅이(Neocaridina denticulata)를 이용한 3,4-Dichloroaniline의 급성독성 교차시험(Ring test) (Ring Test as Acute Toxicity Test with Korean Freshwater Shrimp, Neocaridina denticulata using 3,4-Dichloroaniline)

  • 신유진;이재우;김지은;조재구;김자현;강민호;김경태;김필제;박경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85-294
    • /
    • 2019
  • Objectives: For suitable risk management of the domestic aquatic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conduct toxicity tests using species native to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performed toxicity ring tests using endemic freshwater arthropoda Neocaridina denticulata and evaluated its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test species. Methods: To evaluate the sensitivity levels of N. denticulata to hazardous chemicals, toxicity values for several chemicals were compared with other standard test species. Intra- and inter-laboratory acute toxicity tests were performed both within a single laboratory and among four laboratories respectively using 3,4-Dichloroaniline,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reference test substance in fish toxicity tests. In addition, intra- and inter-laboratory coefficient of variations (CV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reproducibility based on the estimated toxicity values. Results: The sensitivity of N. denticulata to several chemicals was found to be similar with D. manga, indicating that the species is valid as a test species. The CVs of the intra- and inter-laboratory tests were 22.946% with four qualified runs and 8.828% among the four laboratories, respectively. Conclusions: N. denticulata serves in an important role in the food chain of Korean aquatic ecosystems and also inhabits several other Asian countries. Since the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species were confirmed as a toxicity test species in this study,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establish N. denticulata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test species for the appropriate risk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s at home and abroad.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Chamaecyparis Obtusa Stands)

  • 박석곤;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07-9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공조림된 편백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식생천이, 종다양성의 특성을 밝히고자 전남지역의 8곳에 편백림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식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군집분석 및 서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군락으로 단순화되었다. 군락I은 다른 군락에 비해 종다양성지수가 상당히 낮았는데 이는 교목층에 우점한 편백의 수관이 울폐되어 하층식생이 발달하지 않았거나 잡초목(경쟁 자생수종) 제거로 하층식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반면, 군락 II~IV는 하층에 다양한 자생수종이 유입되어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서로 경쟁하여 어느 정도 안정되거나 식생발달 초기라서 종다양성지수가 높은 편이었다. 마지막, 군락 V는 휴양림으로서 이용강도가 높아 식생구조가 단순하였다. 또한, 임상에 유입되는 광합성유효광과 출현종수 종다양성지수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은 과거 개벌 이후 묘목심기, 솎아베기, 풀베기 등의 산림시업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편백림의 산림시업에 의한 교란빈도와 함께 식생천이프로세스 회전시간에 따라 군락별 식생구조와 종다양성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천연림에 비해 편백림은 단순한 식생구조를 보였다. 인공림은 생물다양성이 낮고 생태계 서비스가 취약하기 때문에 공익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인공림으로 전환하는 한 가지 수단으로써 생태적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