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OM Model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Modeling Nutrient Uptake of Cucumber Plant Based on EC and Nutrient Solution Uptake in Closed Perlite Culture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EC와 양액흡수량을 이용한 오이 양분흡수 모델링)

  • 김형준;우영회;김완순;조삼증;남윤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04b
    • /
    • pp.75-76
    • /
    • 2001
  •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배액 재사용을 위한 양분흡수 모델링을 작성하고자 EC 처리(1.5, 1.8, 2.1, 2.4, 2.7 dSㆍm-1)를 수행하였다. 생육 중기까지 EC 수준에 따른 양액흡수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중기 이후 EC가 높을수록 흡수량이 감소되는 경항을 보였다(Fig. 1). NO$_3$-N, P 및 K의 흡수량은 생육기간 동안 처리간 차이를 유지하였는데 N과 K는 생육 중기 이후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P는 생육기간 동안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S의 흡수량은 생육 중기 이후 모든 처리에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생육 후기에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Fig. 2). 오이의 무기이온 흡수율에서와 같이 흡수량에서도 EC간 차이를 보여 EC를 무기이온 흡수량을 추정하는 요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무기이온 흡수량은 모든 EC 처리간에 생육 초기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육중기 이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 후 생육 후기의 높은 농도에서 그 차이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단위일사량에 따른 양액흡수량과 EC를 주된 변수로 한 오이의 이온 흡수량 예측 회귀식을 작성하였는데 모든 무기이온 흡수량 추정식의 상관계수는 S를 제외한 모든 이온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N, P, K 및 Ca에서 높았다. S이온에서의 상관계수는 0.47로 낮게 나타났으나 각 이온들의 회귀식에 대한 상관계수는 모두 1%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여 위의 모델식을 순환식 양액재배에서 무기이온 추정식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Table 1). 이를 이용한 실측치와의 비교는 신뢰구간 1%내에서 높은 정의상관을 보여 실제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Fig 3)..ble 3D)를 바탕으로 MPEG-4 시스템의 특징들을 수용하여 구성되고 BIFS와 일대일로 대응된다. 반면에 XMT-0는 멀티미디어 문서를 웹문서로 표현하는 SMIL 2.0 을 그 기반으로 하였기에 MPEG-4 시스템의 특징보다는 컨텐츠를 저작하는 제작자의 초점에 맞추어 개발된 형태이다. XMT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저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저작 정보들을 손쉽게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XMT 파일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API 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XMT 형태의 중간 자료형으로의 저장 및 조작을 위하여 XML 에서 표준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고 있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XMT 문법에 적합하게 API를 정의하였으며, 또한, XMT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API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공된 API는 객체기반 제작/편집 도구에 응용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에 사용되었다.x factorization (NMF), generative topographic mapping (GTM)의 구조와 학습 및 추론알고리즘을소개하고 이를 DNA칩 데이터 분석 평가 대회인 CAMDA-2000과 CAMDA-2001에서 사용된cancer diagnosis 문제와 gene-drug dependency analysis 문제에 적용한 결과를 살펴본다.0$\mu$M이 적당하며, 초기배발달을 유기할 때의 효과적인 cysteamine의 농도는 25~50$\mu$M인 것으로 판단된다.N)A(N)/N을 제시하였다(A(N)=N에 대한 A값). 위의 실험식을 사용하여 헝가리산 Zempleni 시료(15%

  • PDF

Twitter Issue Tracking System by Topic Modeling Techniques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트위터 이슈 트래킹 시스템)

  • Bae, Jung-Hwan;Han, Nam-Gi;Song, Mi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0 no.2
    • /
    • pp.109-122
    • /
    • 2014
  • People are nowadays creating a tremendous amount of data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In particular, the incorporation of SNS into mobile devices has resulted in massive amounts of data generation, thereby greatly influencing society. This is an unmatched phenomenon in history, and now we live in the Age of Big Data. SNS Data is defined as a condition of Big Data where the amount of data (volume), data input and output speeds (velocity), and the variety of data types (variety) are satisfied. If someone intends to discover the trend of an issue in SNS Big Data,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a new important source for the creation of new values because this information covers the whole of society. In this study, a Twitter Issue Tracking System (TITS) is designed and established to meet the needs of analyzing SNS Big Data. TITS extracts issues from Twitter texts and visualizes them on the web.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the following four functions: (1) Provide the topic keyword set that corresponds to daily ranking; (2) Visualize the daily time series graph of a topic for the duration of a month; (3) Provide the importance of a topic through a treemap based on the score system and frequency; (4) Visualize the daily time-series graph of keywords by searching the keyword;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Big Data generated by SNS in real time. SNS Big Data analysis requires variou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including the removal of stop words, and noun extraction for processing various unrefined forms of unstructured data. In addition, such analysis requires the latest big data technology to process rapidly a large amount of real-time data, such as the Hadoop distributed system or NoSQL, which is an alternative to relational database. We built TITS based on Hadoop to optimize the processing of big data because Hadoop is designed to scale up from single node computing to thousands of machines. Furthermore, we use MongoDB, which is classified as a NoSQL database. In addition, MongoDB is an open source platform, document-oriented database that provides high performance, high availability, and automatic scaling. Unlike existing relational database, there are no schema or tables with MongoDB, and its most important goal is that of data accessibility and data processing performance. In the Age of Big Data, the visualization of Big Data is more attractive to the Big Data community because it helps analysts to examine such data easily and clearly. Therefore, TITS uses the d3.js library as a visualization tool. This library i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Data Driven Documents that bind document object model (DOM) and any data; the interaction between data is easy and useful for managing real-time data stream with smooth animation. In addition, TITS uses a bootstrap made of pre-configured plug-in style sheets and JavaScript libraries to build a web system. The TITS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s designed using these libraries, and it is capable of detecting issues on Twitter in an easy and intuitive manner. The proposed work demonstrates the superiority of our issue detection techniques by matching detected issues with corresponding online news articles. The contribu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threefold. First, we suggest an alternative approach to real-time big data analysis, which has become an extremely important issue. Second, we apply a topic modeling technique that is used in various research areas, includ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Based on this, we can confirm the utility of storytelling and time series analysis. Third, we develop a web-based system, and make the system available for the real-time discovery of topic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experiments with nearly 150 million tweets in Korea during March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