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 marker

검색결과 1,008건 처리시간 0.039초

Improvement of the Discrimination Capacity through the Expansion of Y Chromosomal STR Markers

  • Dong Gyu Lee;So Eun Lee;Ji Hwan Park;Si-Keun Lim;Ju Yeon J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02-313
    • /
    • 2023
  • Y chromosomal short tandem repeat (Y-STR) markers have been developed continuously to complement forensic DNA analyses and population genetic studies. Initially, we collected data from previously reported Korean population Y-STR haplotype studies on 1133 individuals. We then conducted a marker expansion analysis using a dataset from the Y-STR Haplotype Reference Database (YHRD), covering up to 29 Y-STRs, referred to as Ymax.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impact of rapidly mutating (RM) Y-STRs included in this expanded marker set on the discrimination capacity. We observed that marker expansions both with (0.9896), and without (0.9510), RM Y-STR improved the discrimination capacity. Subsequently, we focused on 16 individuals belonging to seven distinct groups sharing identical haplotypes. These particular haplotypes had been previously identified among 476 unrelated males using 23 Y-STR markers from the PowerPlex® Y23 System. We expanded the marker panel up to Ymax to explore how discrimination improved with an expansion of Y-STR markers for these 16 individuals. Among the expanded markers, DYS627, which had high discriminatory power, had a high mutation rate (1.10 × 10-2) and high gene diversity (0.83). In contrast, DYF387S1 displayed high gene diversity (0.95) but a relatively low mutation rate (2.80 × 10-3). We propose that these findings will be valuable in the selection of suitable Y-STR markers, depending on the objectives of forensic analyses.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frequently observed Y-haplotypes in Korean population will facilitate statistical interpretation in Y-STR DNA profiling.

HPV DNA 칩의 영상처리 알고리즘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HPV DNA chip)

  • 김종대;연석희;이용업;김종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8C호
    • /
    • pp.803-810
    • /
    • 2003
  • 본 논문은 여성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되는 인두유종 바이러스(papillomavirus)를 진단하기 위한 HPY-DNA 칩의 영상으로부터 탐촉자(probe)의 위치를 찾아내고 각 탐촉자에서의 교잡반응(hybridization)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영상리 방법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HPV-DNA 칩은 22종의 HPV를 알아내기 위한 탐촉자들과 환자 샘플과 항상 반응하는 마커들로 구성되어 있다. 침 영상에서 탐촉자 들의 위치는 마커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도터(dotter)와 스캐너(scanner)의 정밀도에 따른 오차만을 갖는다. 한편 각 탐촉자는 진단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4번 씩 인쇄된다. 본 논문은 마커들간의 상대거리와 탐촉자의 중복 인쇄라는 사전정보를 템플릿 정합방법과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마커를 찾고, 교잡반응 여부를 정확히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정규화된 상관도를 정합도(matching measure)로 채택하여, 마커들의 상대적 위치에 대하여 평균을 취하면 안정적으로 마커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보인다. 또한 이미 계산된 정합도를 특징(feature) 값으로 사용하여 4개의 중복 탐촉자에 대한 평균 특징 값을 분류(classification)하면 탐촉자의 교잡반응 여부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다는 실험 결과를 보인다.

경남지역 수달(Lutra lutra)의 mitochondrial DNA D-loop지역과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 분석 (A Phylogenetic Analysis of Otters (Lutra lutra) Inhabiting in the Gyeongnam Area Using D-Loop Sequence of mtDNA and Microsatellite Markers)

  • 박문성;임현태;오기철;문영록;김종갑;전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85-392
    • /
    • 2011
  • 국내에 서식하는 수달의 경우 멸종 위기 I 급 종으로 지정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보호종이다. 수달의 유전자원 보호 및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경남지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를 mtDNA D-loop 지역의 염기서열분석과 MS marker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mtDNA D-loop 지역의 676 bp 부분만 보았을 때 5개의 SNP가 확인되었으며, 6개의 haplotype이 추정되었다. 진주 인근 지역과 거제도 인근 지역에서 수집한 시료는 지역 내 유전적 거리가 지역 간의 유전적 거리보다는 가까운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진주와 거제도 지역 간의 유전적 거리는 확연히 구분이 되었다. MrBays의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phylogeny 분석결과 뚜렷한 2개 그룹(진주와 거제/창녕 그룹)으로 분류 되었다. Parsimonious median-joining network [5] 분석의 결과 또한 2개의 뚜렷한 그룹으로 분류되어 phylogeny 분석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MS marker를 이용하여 추정한 유전적 거리지수를 활용하여 추정한 consensus tree의 결과 또한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분류 되며, 첫 번째 그룹에는 거제도지역 시료, 진주인근지역 시료 일부 그리고 창녕 우포늪에서 채취한 시료가 하나의 그룹으로 나뉘어 졌으며, 두 번째 그룹에는 진주인근 지역에서 채취한 시료만이 포함되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mtDN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과 일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모계를 추정하는 mtDNA와 상염색체 상의 MS marker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나, 경상남도에 서식하는 수달을 크게 진주와 거제지역의 수달로 구분하는 것에는 유사한 결과를 보여 서식지 별 유전적 고정현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좀 더 정확한 검증을 위해서는 수달의 full mtDNA 분석 및 국내에서 서식하는 수달에 적합한 MS marker발굴을 통한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전국 단위의 수달 시료를 확보하여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을 실시한다면 한국 내 수달의 보전 및 보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RFLP Analysis of the mtDNA COI Region in Four Abalone Species

  • Park, Choul-Ji;Kijima, Akihir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3호
    • /
    • pp.101-106
    • /
    • 2006
  •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gene region of mitochondrial DNA (mtDNA) was examined in four abalone species to estimate its utility as a genetic marker using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alysis. The utility was evaluated in terms of genetic divergence and relationships among Haliotis discus hannai, H. rufescens, H. rubra, and H. midae in both hemispheres of the world. There was clear genetic divergence in the mtDNA COI region between all pairs of the four species. Moreover, relationships among the abalone species were reflected in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RFLP analysis of the mtDNA COI region is a suitable genetic marker for the estimation of genetic divergence and relationships among abalone species. However, it is not effective for the evaluation of genetic differences within abalone species.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를 이용한 딸기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의 분류 (Differentiation of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Isolate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현재욱;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6
    • /
    • 1996
  • 본 실험은 이병 딸기의 조직에서 분리 동정된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균주들의 유?거 변이를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marker들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총 24개의 딸기 시들음병 균주들의 DNA를 주형으로 하여 16개의 random 10-mer primer들을 사용하여 증폭시킨 결과 총 231개의 marker들을 이용하여 유전적 변이를 조사해 본 결과 크게 RAPD I과 RAPD II의 2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RAPD I그룹에 속하는 균주는 VCG A에 속하는 Y1, K1, K2, K3, K4, N2, N3, N4-1, N6-1, N6-2, N8, N9, N10, M1-2-1 균주, VCG B에 속하는 M4-1 균주 그리고 VCG C에 속하는 N1, Y2 균주들이었고, RAPD II그룹에는 VCG B에 속하는 M1-1, M2-2-1, M2-4-2, M3-2, M3-3-2 균주와 VCG D에 속하는 N1 1 균주가 속하였다. 이들 2그룹 간에는 31%의 유사성이 있었다.

  • PDF

칡한우 혈액에서 DNA 다양성 분석을 통한 표지 유전자 탐색 (Specific Marker Gene Analyses for DNA Polymorphism of the Blood Cell in Korea Native Brindled Cattle)

  • 김상환;홍연식;이호준;윤종택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4호
    • /
    • pp.315-324
    • /
    • 2011
  • 본 연구는 칡소와 한우 그리고 젖소의 각 군을 통하여 RAPD-PCR방법과 RFLP방법을 응용하여 칡소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검출과 발현빈도에 따른 표지유전자를 분석하여 칡소 특이적인 표지인자를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RAPD분석을 통하여 칡소에서 특이적으로 표현되는 유전자들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검출 유전자의 다양성이 모색과 종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이적으로 표현된 유전자들 중 칡소에서 특이적으로 표현되는 R9B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 유전자는 한우와 젖소의 일부 DNA 염기서열상의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칡소의 표지유전자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었다.

Development of Gene Based STS Markers in Wheat

  • Lee, Sang-Kyu;Heo, Hwa-Young;Kwon, Young-Up;Lee, Byung-M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71-77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gene based sequence tagged site (STS) markers in wheat. The euchromatin enriched genomic library was constructed and the STS primer sets were designed using gene based DNA sequence. The euchromatin enriched genomic (EEG) DNA library in wheat was constructed using the $Mcr$A and $Mcr$BC system in $DH5{\alpha}$ cell. The 2,166 EEG colonies have been constructed by methylated DNA exclusion. Among the colonies, 606 colonies with the size between 400 and 1200 bp of PCR products were selected for sequencing. In order to develop the gene based STS primers, blast analysis comparing between wheat genetic information and rice genome sequence was employed. The 227 STS primers mainly matched on $Triticum$ $aestivum$ (hexaploid), $Triticum$ $turgidum$ (tetraploid), $Aegilops$ (diploid), and other plants. The polymorphisms were detected in PCR products after digestion with restriction enzymes. The eight STS markers that showed 32 polymorphisms in twelve wheat genotypes were developed using 227 STS primers. The STS primers analysis will be useful for generation of informative molecular markers in wheat. Development of gene based STS marker is to identify the genetic function through cloning of target gene and find the new allele of target trait.

Purity Test of Radish Hybrid Seeds Using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

  • Oh, Sei-myoung;Soontae Kwon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5-67
    • /
    • 2001
  • In order to develop a rapid and simple method for testing the purity of radish hybrid seeds using a procedure based on the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eighty random primers were screened with the genomic DNA extracted from five day old seedlings of inbred parent lines and their F1 hybrids. Two primers, HRM-02 (5'-GAGACCAGAC-3') and HRM-19(5'-TGAGGCGTGT-3'), generate reproducible unique PCR patterns which can identify each parent lines as well as their hybrids. In actual test of randomly selected hybrid seeds using the two marker primers, the purity tested by one primer was exactly same as that of other primer. It suggests that one marker primer selected in this experiment is enough for the purity test of radish hybrid seeds. We demonstrates the use of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s) markers to identify each of inbred parent lines and hybrids by rapid and simple method.

  • PDF

Detection of Individuals Restoring Fertility by DNA Fragment Converted into STS (sequence tagged site) in Red pepper

  • Lee, Jang-Soo;Lee, Keun-Hyang;Kim, Yeo-Song;Kang, Kwon-Kyoo;Nou, Ill-Sup;Hirata, Yutaka
    • Plant Resources
    • /
    • 제7권2호
    • /
    • pp.136-140
    • /
    • 2004
  • Co-segregation of male fertility with DNA markers selected by RAPD analysis as being potentially linked to the restorer gene (Rf) for Cytoplasmic male sterility (CMS) was analyzed using segregating F2 population. One RAPD marker directly linked to the Rf locus was identified. Amplification of OPT-02/570 using the STS primers generated a monomorphic band of each fertile plants randomly selected F2 progenies. From these results, this specific marker would be strongly linked to be restoring gene. The use of STS marker is effective in overcoming the reliability of the RAPD phenotype and improving their utility for MAS, co-dominant STS markers are especially very usefu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