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 in tail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17초

Cellulose Digestibility Increased with CelD Transgenic Pigs

  • Park, J.K.;Lee, Y.K.;Lee, P.Y.;Kim, S.W.;Kim, S.J.;Lee, H.G.;Han, J.H.;Chung, H.K.;Park, C.G.;Chung, Y.H.;Lee, C.H.;Lee, H.T.;Chang, W.K.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5-331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cellulose digestibility using the transgenic pigs harboring cellulose degradation gene D (CelD). After delivered offsprings between normal pig and transgenic swine, DNA was isolated from piglets tail for PCR analysis. In first generation, five out of 65 piglets showed CelD positive. Unfortunately, four CelD-positive pigs were died during growing, but one survived pig was used as a transgenic founder to produce F$_1$ descendents. Among 3 F$_1$ transgenic pigs produced, one died and the remaining two pigs were used to test the fiber digest efficiency. An assorted feed was composite of 5% fiber with other ingredients. The feed of 3 kg per day was provided to the pigs including transgenic founders and littermate controls. The manure quantity was measured daily for a month, and all manures were dried for three days to analysis nitrogen, phosphate and fiber concentrations. The fiber digestion efficiencies of the transgenic F$_1$ pigs showed approximately 10%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igs. Fiber digestion was not greatly improved in transgenic pigs as it had been expected approximately 30%. Nitrogen concentration of transgenic pig's manure was slowly decreased compare to the control pigs. Because there were only two transgenic pigs tested, a large number of transgenic pigs may be necessary to obtain more reliable data. Breeding of animals to obtain sufficient transgenic pigs subjected for a further study is on progress. Taken together, this study demonstrated successful production of transgenic pigs with increase of cellulose digestibility in the porcine feed.

백삼 물추출물의 갈변반응중 갈색도 및 성분의 변화 (Changes in Color Intensity and Components during Browning Reaction of White Ginseng Water Extract)

  • 도재호;김경희;장진규;양재원;이광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80-485
    • /
    • 1989
  • 인삼갈변기작을 연구하기에 앞서 인삼갈변에 따른 갈색도 및 성분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circ}C$에서 120시간까지 열처리하여도 갈색화반응은 계속 지속되었으며 갈변에 대한 활성화에너지는 약 16kcal/mole, $Q_{10}$값은 평균치가 $70{\sim}80^{\circ}C$에서는 1.90, $80{\sim}90^{\circ}C$에서는 1.67, $90{\sim}100^{\circ}C$에서는 1.46이었다. 반응액의 pH는 $90^{\circ}C$$100^{\circ}C$의 경우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인삼사포닌 중에는 ginsenoside-Re가 열에 불안정하였으며 diol계 사포닌은 비교적 열에 안정하였다. 항산화능과 DNA 양성물질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folin 양성물질량은 반응초기에 단백질의 침전과 함께 감소했다가 서서히 증가하였다.

  • PDF

오디와 누에 섭취가 rats의 저항성 운동에 따른 androgen receptor mRNA와 myogenic regulatory factors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ulberry and silkworm intake on androgen receptor mRNA and myogenic regulatory factors expression of rats muscle for resistance exercise)

  • 양성준;김창용;이조병;강성선;이종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99-106
    • /
    • 2013
  • 본 연구는 8주간의 사다리를 이용한 점진적 저항성 운동과 더불어 오디분말, 오디추출물, 누에분말의 섭취가 흰쥐의 골격근에서 androgen receptor(AR) mRNA와 myogenic regulatory factors(MRFs)의 발현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6주령의 Rat 50두를 분양받아 일주일간 순화기간을 거친 후 군간 체중을 고르게 분리하고 시료 투여 및 저항성 운동 여부에 따라 대조군, 운동군, 오디분말 운동군, 오디추출물 운동군, 누에분말 운동군으로 설정하였다. 시료 투여집단은 고형사료에 각각의 시료가 배합된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저항성 운동 방법은 1주일간 주당 3일, 1일 5회씩 부하 없이 맨몸 사다리 운동을 거친 후 7주간 주당 2일, 1일 10회씩 점진적인 과부하 하에서 실시하였다. 8주간 저항성 운동이 끝난 후 오른쪽 뒷다리에서 장무지굴근을 적출한 후 RNA 추출 및 cDNA를 합성하여 $-20^{\circ}C$에 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AR mRNA와 MRFs를 특이적으로 검출하도록 디자인된 시발체와 탐색자를 구입하여 housekeeping 유전자인 18s rRNA와 함께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18s rRNA를 이용하여 흰쥐의 장무지굴근에서 AR mRNA와 MRFs를 $2^{-{\Delta}{\Delta}Ct}$법을 통해 상대정량하여 골격근 내 발현 정도를 배수변화로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사다리 운동과 시료 섭취는 흰쥐 골격근에서 AR mRNA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저항성 운동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운동군에서 $4.04{\pm}1.12$, 오디분말 운동군에서 $5.23{\pm}0.56$, 오디추출물 운동군에서 $6.24{\pm}1.85$, 누에분말 운동군에서 $9.68{\pm}0.82$배를 나타내었다. 운동군과 비교하여 오디추출물 운동군과 누에분말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오디분말 운동군의 경우 운동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MyoD mRNA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운동군에서 $2.19{\pm}0.27$, 오디분말 운동군에서 $6.04{\pm}0.48$, 오디추출물 운동군에서 $4.32{\pm}1.59$, 누에분말 운동군에서 $8.11{\pm}0.57$배를 나타내었다. 운동군과 비교하여 모든 시료 섭취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Myogenin mRNA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운동군에서 $2.70{\pm}0.57$, 오디분말 운동군에서 $4.11{\pm}0.42$, 오디추출물 운동군에서 $4.13{\pm}0.45$, 누에분말 운동군에서 $6.50{\pm}0.61$배를 나타내었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저항성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운동군과 비교하여 모든 시료 섭취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을 통해 오디와 누에의 섭취는 저항성 운동에 따른 수컷 흰쥐의 골격근에서 근육 관련 유전자인 AR mRNA와 MRFs의 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추후 근육 증가를 목적으로 한 운동보조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