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회복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9초

유전독성 물질의 평가방법과 그 기작에 관한 연구

  • 이형호;주재훈;이정섭;박상대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16-316
    • /
    • 1994
  • 자외선 등에 의한 DNA 합성억제의 회복과정에서의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외선에 의하여 억제되었던 DNA 합성이 새로운 replication origin을 사용하는 지를 DNA 복제가 일어나는 장소로 알려진 nuclear matrix와 연관지어서 살펴 보았다. 자외선 조사후 새로 합성된 DNA 분자들의 크기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대조군의 DNA 분자들의 크기보다 작았으나 그 성장 양상은 차이가 얼었고, 자외선이 조사된 세포에서 parental DNA의 부가적인 결합이 DNA 합성률의 회복에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외선 상해의 회복과정에서 생기는 알카리 민감성 부위는 RNA linker에 의해 생겨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자외선에 의해 pyrimidine dimer가 생기면 첫째로 절제회복에 의해 제거되어지지만, 남아 있는 pyrimidine dimel에 의해서 DNA 복제억제는 여전히 억제되어 있다. DNA 복제억제의 회복은 새로운 복제원점이 활성화되어 nuclear matrix에 결합하여 새로운 DNA 합성이 시작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RNA linker는 복제진행시 DNA 상의 gap으로 생긴 tyopological strain을 제거하는데 이용되어진다.

  • PDF

Chinese Hamster Ovary 세포에 있어 N-methyl-Nt-nitro-N-nitrosoguanidine 에 의한 DNA 복제억제와 이의 회복경로

  • 김종숙;이천복;박상대;이형호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3-72
    • /
    • 1989
  • 본 연구는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를 처리한 CHO-K1세포에서 DNA 복제억제와 그 회복과정의 분자론적 기작을 규명할 목적으로 방사선 이중표지에 의한 DNA합성율의 측정, 알카리 자당농도구배 초원심분리법에 의한 DNA 분자량과 후복제 회복율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NA 합성율은 2nM 이하의 낮은 농도의 MNNG 처리군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5nM 이상의 농도에서는 그 감소양상이 둔화되었다. 억제되었던 DNA 합성율은 시간경과에 따라 회복되어 처리 후 4시간 째에는 대조군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MNNG 처리 후 DNA 분자 크기의 분포와 새로 합성된 DNA 분자의 생장양상을 알카리 자당농도구배 초원심분리법으로 조사한 결과 MNNG 처리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새로합성된 DNA 분자들의 크기분포는 1*107 달톤 이하의 DNA 분자들의 합성양이 특이하게 증가하였다가 감소함을 보였다.

  • PDF

鹽基相似體를 前處理한 HeLa $S_3$ 細胞에 있어 Bleomycin에 의한 DNA 回復合成 (DNA Repair Synthesis Induced by Bleomycin in HeLa $S_3$ Cells Pretreated with Base Analogs)

  • Um, Kyung-Il;Park, Sang-Dai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48
    • /
    • 1977
  • Bleomycin에 의해 유발된 DNA 회복합성은 저농도 처리군에서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며 $5\\mu$g/ml 군에서 조사한 전세포의 15%가 회복합성을 하여 최고율을 보인다. 고농도 처리군에서 DNA 회복합성율이 감소하며 처리 시간을 연장해도 그율은 변화가 없다. BUdR이나 IUdR을 전처리한군에서는 DNA회복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명됐으며 또한 고동도 처리군에서는 정상적인 DNA 합성을 억제한다. 시간 변화에 따른 실험에서는 처리한 bleomycin을 제거한후 24시간까지 DNA 회복합성이 계속됐다. 이들 결과는 bleomycin이 excision repair를 유발하는 효과적인 화학물질이 아니며, bleomycin에 의해 유발되는 DNA의 손상은 DNA 나선 절단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DNA 손상도 유발함을 추측할수 있다.

  • PDF

Chinese Hamster Ovary세포에 있어 methyl methanesulfonate에 의한 DNA 복제억제와 이의 회복경로 (Replication Inhibition and Its Recovery/Process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Treated with Methyl Methanesulfonate)

  • 이천복;이형호;박상대;이치건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46
    • /
    • 1989
  • 본 연구는 알킬화제를 처리한 CHO-K1 세포에서 DNA 복제억제와 그 회복과정의 분자론적 기작을 규명할 목적으로 방사선 이중 표지에 의한 DNA 합성율의 측정, 알칼리 자당 농도구배 초원심분리법에 의한 DNA 분자량과 후복제 회복율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mM methyl methanesulfonate (MMS)와 1nM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이하의 낮은 농도의 처리군에서는 DNA 합성율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2 mM MMS, 2mM MNNG이상의 농도에서는 그 감소양상이 둔화되었다, (2) DNA 합성율은 알킬화제의 처리 직후 감소하였다가 시간경과에 따라 회복되어 처리후 4시간 째에는 대조군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 PDF

UV에 의해 손상된 DNA 회복에 미치는 cobaltous chloride의 효과 (Effect of Cobaltous Chloride on the Repair of UV-induced DNA Damage)

  • 김국찬;김영진;이강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71-7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손상회복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이용하여 돌연변이 생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알려진 cobaltous chloride가 유전자 손상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므로서 방사선으로 인한 손상방지 및 방사선 방어효과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Cobaltous chloride가 RecA 단백질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ecA 단백질에 의한 DNA strand exchange 반웅에 있어 cobaltous chloride 처리로 RecA 단백질이 $_{ss}DNA$로 부터 SSB 단백질과 더 효과적으로 경쟁함으로써 안정된 $RecA-_{ss}DNA$ complex의 형성을 유도하고, 증가된 ATPase활성에 의한 ATP 가수분해로 손상된 DNA의 회복이 촉진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 해주고 있다. 또한 RecA단백질은 UV에 의해 손상된 supercoiled DNA에 더 효과적으로 결합됨이 관찰되었으며 UV 선량과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방사선으로 인한 유전적인 손상방지 및 방사선 방어효과에 관한 연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itomycin C에 의한 DNA 回復合成에 미치는 Thymidine 相似體의 影響 (Effects on Thymidine Analogs on Mitomycin C Induced DNA Repair Synthesis)

  • Park, Kyung-Hee;Park, Sang-Dai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3-99
    • /
    • 1977
  • HeLa $S_3$세포에서 MMC에 의해 유발된 DNA회복합성은 농도$(0.05\\sim 0.5\\mu g/ml)$에 따른 증가를 보이지 않고 그 율도 비\ulcorner적 낮아 $0.1\\sim 0.5\\mu g/ml$ 농도에서 조사한 전 세포의 $7\\sim 9%$를 나타내고 있다. 시간 변화에 따른 실험에서는 MMC를 제거한 후 24시간까지 거의 비슷한 율로 DNA회복합성이 계속되고 있다. thymidine 상사체중 BUdR을 전처리한 군에서만이 MMC에 의한 DNA회복합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BUdR 또는 IUdR과 MMC를 복합처리 할 경우 시간경과에 따라 정상 DNA합성은 감소된다. 이들 결과는 MMC에 의해 유발된 DNA손상은 빠르고 느린 두단계로 회복됨을 암시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 PDF

환경성 유해요인이 유전물질과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 III. 포유동물세포에서 돌연변이원에 의한 DNA 상해의 회복에 미치는 DNA 중합효소저해제의 영향 (Enviromental Toxic Agents on Genetic Material and Cellular Activity III. DNA Polymerase Inhibitors on Repair of Mutagen-Induced DNA Damage in Mammalian Cells)

  • 엄경일;선우양일;이천복;신은주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2
    • /
    • 1988
  • 본 연구는 Ethyl methanesulfonato(EMS) 혹은 Bleomycin(BLM)에 의해 유발된 DNA상해의 회복에 미치는 DNA 종합효소 $\alpha$ 저해제인 Aphidicolin(APC)과 DNA 종합효소 $\beta$의 저해제인 2`, 3`-dideoxythymididine 5`-triphosphate(ddTTP)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Chinese hamster ovary(CHO)-Kl 세포를 재료로 비주기성 DNA 합성법과 알칼리유출법 및 스칼리 자당구배침강법으로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APC와 ddTTP는 EMS에 의해 유발된 DNA 상해의 회복을 저해하여 APC 혹은 ddTTP를 처리하지 않고 배양한 실험군 보다 비주기성 DNA 합성율과 DNA 단사 절단율이 증가되었다. 한편 BLM에 의해 유발된 DNA 상해의 회복에서는 ddTTP를 처리했을 경우에만 저해되었다. 즉 BLM 처리 후 ddTTP를 후처리한 실험군의 비주기성 DNA 합성율과 DNA단사 절단율은 ddTTP를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증가되었고, BLM 처리 후 APC를 후처리할 경우에 비주기성 DNA 합성율과 DNA 단사 절단율은 APC를 처리하지 않은 군과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에서 EMS에 의해 유발된 DNA 상해의 회복에는 DNA 중합효소 $\alpha$, $\beta$양자가 관여하나 BLM에 의해 유발된 DNA 상해의 회복에는 중합효소 $\beta$가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DNA복제 및 회복에 미치는 수종항암 항생제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Anti-Neoplastic Antibiotics on DNA Replication and Repair)

  • Park, Sang-Dai;Rie, Myung-Chull;Lee, Chun-Bo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8
    • /
    • 1983
  • 본 연구는 알킬화제이며 항암항생제인 Mitomycin C(MMC)와 Bleomycin(BLM)이 DNA 복제 및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아울러 MMC에 의한 "유발상해회복"이 포유동물세포에 유발되는지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방사법에 의한 비주기 DNA 합성율과 알카리 유출법에 의한 DNA단사절단율을 측정하였다. CHO세포에 MMC를 제 1차 $(MMC_1)$ 처리한 후 5시간 뒤에 제 2차 $(MMC_2)$로 처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BLM은 비주기 DNA합성을 매우 적게 유발시켰으며, BLM $5\\mug/ml$의 농도에서 부터 비주기 DNA합성율은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BLM은 처리후 1.5시간까지 DNA합성억제를 보였으며, 1.5시간후 DNA합성율이 증가되었으나, 대조군의 60% 수준까지 회복되었을 뿐이다. 2. MMC에 의해 유발된 비주기 DNA합성은 농도에 따라 비례하였으며, 배양후 시간의 간격에 따라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제 1,2차 MMC를 처리한 세포의 비주기 DNA합성은 제 1차만 처리한 세포의 비주기 DNA합성보다 많았다. 3. 알카리 유출법 결과는 MMC에 의하여 유발된 DNA 단백질 연결로 인한 DNA 단사절단율이 농도에 비례함을 나타내었다. DNA 단백질 연결로 인한 DNA 단사절단율은 배양후의 시간에 비례해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MMC와 BLM 모두가 DNA 상해제임과 MMC에 의한 DNA 상해 부위의 복제율이 어떠한 유발기작에 의하여 촉진됨을 시사한다.촉진됨을 시사한다.

  • PDF

MMS와 자외선을 처리한 CHO세포에 있어서 DNA사 절단과 절제회복에 미치는 3-aminobenzamide의 영향 (Effects of 3-Aminobenzamide on DNA Strand Breaks and Excision Repair in CHO cells Exposed to Methyl Methanesulfonate and Ultraviolet-light)

  • Park, Sang-Dai;Jang, Young-Ju;Roh, Jung-K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1-179
    • /
    • 1983
  • MMS와 자외선에 의한 DNA의 절제회복과 단사절단에 미치는 poly(ADP-ribose) polymerase의 저해제인 3-aminobenzamide의 영향을 CHO 세포를 재로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MS에 의한 비주기성 DNA 합성률과 DNA 단사 절단률은 이 저해제에 의해 모두 증가하였다. 이는 poly (ADP-ribose) polymeraserk MMS에 의해 유발된 염기 절제회복의 incision step를 억제하는 결과라 생각된다. 2. 자외선에 의한 비주기성 DNA 합성률과 DNA단사 절단률은 이 저해제에 의해 모두 감소하였다. 이는 poly(ADP-ribose) polymerase가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nucleotide 절제회복의 incision step을 돕는 작용을 하는 결과로 생각된다. 3. MMS와 자외선을 복합처리한 실험군에서는, DNA 단사 절단률은 이 저해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비주기성 DNA 합성률은 자외선 단독 처리군의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이는, 이 저해제가 MMS와 자외선으로 유발된 절제회복의 incision step에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며, 그 이후의 단계에서, MMS에 의해 부분적으로 불활성화 되었던 pyrimidine dimers의 절제를 완전하게 해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효모에서 절제회복에 관여하는 HRD3 유전자 과 발현이 숙주세포에 미치는 영향 (Overexpressed HRD3 Protein Required for Excision Repair of Schizosaccharomyces pombe is Toxic to the Host Cell)

  • 최인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8권4호
    • /
    • pp.287-294
    • /
    • 2003
  • 출아형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RAD3 유전자는 절제회복 및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이며, DNA dependent ATPase와 DNA-RNA helicase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분열형 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절제회복과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인 출아형 효모 RADS유전자와 유사한 유전자를 S. pombe genomic DNA library에서 분리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분리한 RADS 유사유전자를 HRD3 유전자라 명명하였다. 발현 vector pET3a를 이용하여 분리한 HRD3 유전자를 과 발현하였을 때 HRD3단백질은 숙주단백질의 합성 억제 또는 분해 촉진을 유발하여 숙주세포인 대장균에 독성 효과를 나타냄이 관찰되었다. HRD3유전자와 lacZ유전자를 융합시킨 여러 가지 재조합 vector를 만들어 이들 융합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 결과 HRD3단백질의 카르복실 말단 부위가 DNA회복기능과 대장균에서의 독성효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부위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