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SMS Management Tea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5초

AHP 분석을 통한 부품단종 주요관리항목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order of priority of the Major control item for DMSMS by using AHP analysis)

  • 문자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48-54
    • /
    • 2020
  •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도와 군용부품시장의 축소 등이 원인이 되어 부품단종이 증가하고 있다. 부품단종은 무기체계 총수명주기비용이 증가시키며 군 전투력 등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부품단종으로 발생하는 대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사전 관리가 중요하며 사전관리 근간을 마련하기 위해 단종관련 정보를 관련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되어야 한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요 관리 항목을 선정하여 지속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품단종 관리 시스템에서 주요한 관리 항목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위사업청 매뉴얼과 SD-22 등을 바탕으로 관리 항목을 선정하여 주요 관리항목을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부품단종에 따른 영향성, 부품단종 확률, 부품단종 대응비용의 3가지 기준에 의해 관련된 세부 항목 15개로 계층화하였으며 9점 척도로 설문한 항목에 대해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AHP 설문조사는 부품 관리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AHP 설문결과 일관성비율이 0.1 초과인 것을 제외하였다. 그 결과 부품단종관리를 위한 유용한 항목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 해석 및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부품단종관리 방안 및 유도무기 시범적용을 통한 비용분석 (A study on the 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 and Material Shortages Management and Cost Analysis based on Pilot Application of the Guided Weapons)

  • 박광효;심보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90-398
    • /
    • 2020
  • 부품단종(DMSMS) 문제는 품목, 원자재 또는 소프트웨어 제조업체 또는 공급 업체의 손실 또는 임박한 손실을 말한다. 해당 제조업체 또는 공급업체가 필요한 부품, 원자재 또는 소프트웨어의 생산 및 지원을 중단하거나, 원자재의 공급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때, 부품단종 문제를 겪게 된다. 전통적으로 부품단종 문제는 전자부품에 국한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및 비 전자 부품(MaSME, 원자재, 구조물, 기계 및 전기부품)을 포함하여 시스템 내의 모든 부품에서 부품단종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품단종 문제는 적은 시장 수요, 새롭거나 빠르게 진화하는 과학과 기술의 발전, 독성/화학 물질의 검출 한계 및 관련 규제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공급망 및 산업 기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첨단 전자부품의 집약체인 유도무기에서 이는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본연구에서는 부품단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선진국의 부품단종 프로세스를 조사/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시범 적용하여 위험도 평가, 운용영향성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등 부품단종관리의 적합성을 입증하였다. 더불어 유도·수중무기의 부품단종에 대해 사전관리와 사후관리. 미 관리를 수행할 경우 발생하게 되는 비용을 추정하였고, 부품단종관리를 수행할 할 경우 경제적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부품단종에 대한 조사·분석 및 관리방안 (DMSMS Management Survey and Analysis Method)

  • 정현우;심보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57-265
    • /
    • 2020
  •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원자재 또는 부품이 수요에 따라 개발이 되어 생산되다가 기술의 발전 또는 시장 상황의 변화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어 생산이 중단되는 경우를 부품단종이라 한다. 현재 우리 군이 사용 중인 무기체계의 장비들은 부품단종으로 인해 조달, 정비, 운용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무기체계의 수명주기 기간 중 발생하는 부품단종 문제는 소요군 뿐만 아니라 장비, 부품, 원자재의 제조자 및 공급자에게 경제적인 손실과 무기체계 전투태세 준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전자부품의 수명은 점점 단축되고 있다. 또한 무기체계의 특성상 개발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 수십 년이 소요됨에 따라 부품단종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무기체계 장비의 전투 준비태세와 수명주기 비용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무기체계 장비의 개발에서부터 폐기까지의 총 수명주기에 부품단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부품단종 관리 제도를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부품단종 관리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부품단종 관리의 조기 정착을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