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A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1초

전통 발효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에 대한 유산균의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biogenic amine-producing Bacillus spp.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98-40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된장으로부터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과 박테리오신 생산유산균은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고, 이들 균주들의 혼합 배양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10종의 시료로부터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는 바실러스균은 Bacillus licheniformis DB102, B. subtilis DB203, B. stearothermophilus DB206, B. pumilus DB209, B. subtilis DB310, B. coagulans DB311, B. cereus DB313, B. amyloliquefaciens DB714, B. amyloliquefaciens DB915, B. licheniformis DB917, B. cereus DB1019, B. subtilis DB1020, B. megaterium DB1022로 동정되었다.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낸 박테리오신 생산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 DLA 205, L. brevis DLA501, L. fermentum DLA509, L. acidophilus DLA703 및 Enterococcus faecalis DLA804로 확인되었다. 유산균의 박테리오신은 농도의존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의 생균수 및 아민 생성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유해 아민 생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유산균의 증식에 따라 유산균과 바실러스균을 혼합 배양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pH,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 및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Immunosuppression-enhancing effect of the administration of allogeneic canine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cA-MSCs) compared with autologous cA-MSCs in vitro

  • Wi, Hayeon;Lee, Seunghoon;Kim, Youngim;No, Jin-Gu;Lee, Poongyeon;Lee, Bo Ram;Oh, Keon Bong;Hur, Tai-young;Ock, Sun A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5호
    • /
    • pp.63.1-63.14
    • /
    • 2021
  • Background: Recently, mesenchymal stem cells therapy has been performed in dogs, although the outcome is not always favorable.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using dog leukocyte antigen (DLA) matching between the donor and recipient in vitro. Methods: Canine adipose-derived MSCs (cA-MSCs) isolated from the subcutaneous tissue of Dog 1 underwent characterization. For major DLA genotyping (DQA1, DQB1, and DRB1),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from two dogs (Dogs 1 and 2) were analyzed by direct sequencing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oducts. The cA-MSCs were co-cultured at a 1:10 ratio with activated PBMCs (DLA matching or mismatching) for 3 days and analyzed for immunosuppressive (IDO, PTGS2, and PTGES), inflammatory (IL6 and IL10), and apoptotic genes (CASP8, BAX, TP53, and BCL2) by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PCR. Results: cA-MSCs were expressed cell surface markers such as CD90+/44+/29+/45- and differentiated into osteocytes, chondrocytes, and adipocytes in vitro. According to the Immuno Polymorphism Database, DLA genotyping comparisons of Dogs 1 and 2 revealed complete differences in genes DQA1, DQB1, and DRB1. In the co-culturing of cA-MSCs and PBMCs, DLA mismatch between the two cell types in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immunosuppressive (IDO/PTGS2) and apoptotic (CASP8/BAX) genes. Conclusions: The administration of cA-MSCs matching the recipient DLA type can alleviate the need to regulate excessive immunosuppressive responses associated with genes, such as IDO and PTGES. Furthermore, easy and reliable DLA genotyping technology is required because of the high degree of genetic polymorphisms of DQA1, DQB1, and DRB1 and the low readability of DLA 88.

LRFD 보정을 위한 동적해석에 의한 도로교의 동적하중허용계수 (Dynamic Load Allowance of Highway Bridges by Numerical Dynamic Analysis for LRFD Calibration)

  • 정태주;신동구;박영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3A호
    • /
    • pp.305-31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노면조도 및 교량과 차량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수치해석방법을 사용하여 구한 도로교의 동적하중허용계수(DLA)를 LRFD 형식으로 신뢰도이론의 2차 모멘트법을 적용하여 보정하였다. 대상교량은 건설교통부에서 제정한 "도로교 상부구조 표준도"에 수록되어 있는 단순 PSC빔교와 단순 강판형교, 그리고 LRFD로 설계된 개구제형 단면을 갖는 강박스형교를 사용하고, "보통의 도로"에 대하여 생성시킨 10개의 노면조도를 사용하였다. 차량은 5축 트랙터-트레일러인 표준트럭(DB-24)을 3차원 차량모델로 모델링하고, 교량은 주형을 보요소로, 콘크리트 바닥판은 쉘요소로 이상화시켰으며 주형과 콘크리트 바닥판 사이는 Rigid Link를 사용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하였다. 3가지 형식에 대한 10개의 교량에 각각 10개의 노면조도를 사용하여 해석적 방법으로 구한 100개의 해석결과와 OHBDC에서 사용한 보정 식을 사용하여 PSC빔교, 강판형교, 강박스형교 및 전체 대상교량에 대한 LRFD 형식의 DLA를 통계적으로 추정하였다.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 자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Symptom Self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 한금선;양보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7-135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ymptom self management (SSM) in the patient with a chronic mental disorder. Method: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04 chronic mental disorders in an outpatient clinic in a General Hospital and Public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core of SSM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the level of self efficacy (SE) (r=.33, p=.00), social support (SS) (r=.27, p=.00), self care agency (SCA) (r=.36, p=.00) and daily living ability (DLA) (r=.34, p=.00). The score of DLA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level of SE (r=.46, p=.00), SS (r=.51, p=.00), and SCA (r=.52, p=.00),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SSM was SCA ($14\%$). A combination of SCA, DLA, and SS account for $20 \%$ of the variance in SSM.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CA, DLA, and SS a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SSM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Improved definition of dynamic load allowance factor for highway bridges

  • Zhou, Yongjun;Ma, Zhongguo John;Zhao, Yu;Shi, Xiongwei;He, Shuanha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4권3호
    • /
    • pp.561-577
    • /
    • 2015
  •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dynamic load allowance (DLA) calculation method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dynamic response curve. A simply-supported concrete bridge with a smooth road surface was taken as an example. A half-vehicle model was employed to calculate the dynamic response of deflection and bending moment in the mid-span section under different vehicle speeds using the vehicle-bridge coupling method. Firstly, DLAs from the conventional methods and code provisions were analyzed and critically evaluated. Then, two improved computing approaches for DLA were proposed. In the first approach, the maximum dynamic response and its corresponding static response or its corresponding minimum response were selected to calculate DLA. The second approach utilized weighted average method to take account of multi-local DLAs. Finally, the DLAs from two approache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other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DLAs obtained from the proposed approaches are greater than those from the conventional methods, which indicate that the current conventional methods underestimate the dynamic response of the structure. The authors recommend that the weighted average method based on experiments be used to compute DLAs because it can reflect the vehicle's whole impact on the bridge.

Acacia ferruginea Inhibits Tumor Progression by Regulating Inflammatory Mediators-(TNF-α, iNOS, COX-2, IL-1β, IL-6, IFN-γ, IL-2, GM-CSF) and Pro-Angiogenic Growth Factor-VEGF

  • Sakthivel, Kunnathur Murugesan;Guruvayoorappan, Chandrasekar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909-3919
    • /
    • 2013
  • The aim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ferruginea extract on Dalton's lymphoma ascites (DLA) induced tumours in BALB/c mice. Experimental animals received A ferruginea extract (10 mg/kg.b.wt) intraperitoneally for 14 consecutive days after DLA tumor challenge. Treatment with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fe span, total white blood cell (WBC) count and haemoglobin (Hb) content and decreased the level of serum aspartate transaminase (AST), alanine transamin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gamma glutamyl transferase (${\gamma}$-GT) and nitric oxide (NO) in DLA bearing ascites tumor models. In addition, administration of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umour volume and body weight in a DLA bearing solid tumor model.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 beta (IL-$1{\beta}$), interleukin-6 (IL-6) and granulocyte mon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as well as pro-angiogenic growth factors such a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were elevated in solid tumour controls, but significantly reduced by A ferruginea administration.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2 (IL-2) and interferon-gamma (IFN-${\gamma}$) in animals with DLA induced solid tumours. Increase in $CD4^+$ T-cell population suggested strong immunostimulant activity for this extract. GC/MS and LC/MS analysis showed quinone, quinoline, imidazolidine, pyrrolidine, cyclopentenone, thiazole, pyrazole, catechin and coumarin derivatives as major compounds present in the A ferruginea methanolic extract. Thus, the outcome of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 ferruginea extract has immunomodulatory and tumor inhibitory activities and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 natural anticancer agent.

개의 신장 동종 이식에서 초급성 거부반응의 예방을 위한 보체의존성 세포독성 DLA 플래스 I 교차 반응 (Complement-dependent Cytotoxic Crossmatch for Prevention of Hyperacute Rejection in Canine Renal Allografts)

  • 길혜명;우흥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2-327
    • /
    • 2005
  • 보체의존성 세포독성반응(CDC)을 이용한 DLA class I교차 반응의 실험방법을 정립함으로써 개의 동종 신장이식 후 초기에 발생되는 초급성 거부반응을 억제하는데 응용하고자 븐 실험을 실시하였다. 체중(약 5kg)과 연령(약 1년령)이 유사한 잡종견을 대상으로 적혈구 교차 반응을 실시하여 상호 음성인 7마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혈액형이 동일한 개체를 대상으로 CDC검사를 실시하였으며, Anti-dog serum,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HBSS), 그리고 자가 혈청을 각각 양성 음성 그리고 자가 대조 혈청으로 이용하였다. Class I보체와 반응시킨 후 에오신으로 염색하여 고정한 다음 위상차 현미경 100배율에서 조사하였다. 국제 Cytotoxicity scoring system에 의하려 죽은 세포가 $20\%$ 이상이면 양성으로 평가하였다. CDC 결과 동일 혈액형 군에서 상호 음성이 나온 경우를 대상으로 상호 동종이식을 실시하여 초급성 거부반응의 발생 정도를 평가하였다. 혈액형이 1.2 B인 4두 중 1두는 자가항체를 가지고 있었다. CDC 결과 동일 혈액형 군에서 각각 1쌍이 상호 음성을 나타내었고, 혈액형이 다른 1쌍에서도 상호 음성이 관찰되었다. 혈액형이 동일하고 CDC음성인 2쌍 4두를 대상으로 상호 신장 이식을 한 결과 4마리 모두 초급성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확립한 DLA교차 방법은 동종 이식에서 초급성 거부반응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며, 향후 개의 동종 장기 이식에서 조직적합성 평가를 위해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Scalable Deep Linguistic Processing: Mind the Lexical Gap

  • Baldwin, Timothy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3-12
    • /
    • 2007
  • Coverage has been a constant thorn in the side of deployed deep linguistic processing applications, largely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constructing, maintaining and domaintuning the complex lexicons that they rely on. This paper reviews various strands of research on deep lexical acquisition (DLA), i.e. the (semi-)automatic creation of linguistically-rich language resources, particularly from the viewpoint of DLA for precision grammars.

  • PDF

수산화인회석과 폴리락타이드 복합체에서 상호작용력의 도입 (Introduction of Specific Interaction of Hydroxyapatite/Polylactide Composites)

  • 강진규;임준혁;문명준;이원기;김미라;이진국
    • 폴리머
    • /
    • 제33권1호
    • /
    • pp.13-18
    • /
    • 2009
  • 인공뼈의 잠재적인 재료로서 주목을 받는 hydroxyapatite(HA)와 Poly(L-lactide)(PLLA) 복합체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HA에 D-lactide(DLA)를 표면 그래프트(g-HA)하여 PLLA 사이의 스테레오 콤프렉스 형성을 도입하였다. 복합체 필름은 건조단계에서 HA의 침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용매-비용매법으로 제조하였다. 복합체의 구조와 물성은 thermal gravimetric analysis(TG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및 mechanical property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TGA분석으로부터 HA에 대한 DLA의 표면 그래프트율은 6 wt%였고 HA에 비하여 유기용매에 대한 분산성이 증가하였다. 복합체의 스테레오 콤프렉스 형성은 용융온도의 변화로써 확인하고 HA/PLLA 복합체에 비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림프부종 환자에서 림프신티그라피를 이용한 피부림프선염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of Dermatolymphangioadenitis by Lymphoscintigraphy in Patients with Lower Extremity Lymphedema)

  • 최준영;황지혜;박정미;이경한;김상은;김동익;이병붕;김병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3-151
    • /
    • 1999
  • 목적 : 림프부종에서 피부림프선염은 림프계 기능을 악화시키는 흔한 중증 합병증이다. 이 연구에서는 치료 전 림프신티그라피로 하지 림프부종 환자에서 향후 피부림프선염의 발생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피부림프선염의 병력이 없는 하지 림프부종 환자 50령(일차림프부종 13 명, 이차림프부종 37명)의 부종이 있는 59 하지와 정상인 6명의 12하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37 MBq의 Tc-99m-antimony sulfide colloid를 발가락사이에 피하주사하고 1분과 2시간 뒤에 하지의 영상을 얻었다. 임상적 추적관찰 중 피부림프선염 발생한 하지와 발생하지 않은 사이에서의 림프신티그라피 소견(장골서혜 림프절 섭취, 주 림프관과 부행 림프관이 관찰되는 정도, 피부역류 정도, 제거율)과 임상 소견(성별, 나이, 림프부종의 원인, 임상병기, 부종 발생부터 삼성서울병원에서의 치료시작 전까지의 기간, 치료 시작 후 임상적 추적관찰기간, 치료법, 치료에 대한 반응, 치료에 대한 순응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 부종이 있는 하지 중 20.3%인 12 하지에서 평균 19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중 총 20회의 피부림프선염이 발생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피부림프선염 발생 유무는 장골서혜 림프절 섭취, 주 림프관 관찰 정도, 임상병기, 치료에 대한 순응도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 결과 주 림프관 관찰 정도와 치료에 대한순응도 만이 유의한 독립변수였다. 즉, 피부림프선염 발생은 주 림프관이 잘 보이지 않고 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나쁜하지에서 잘 발생하였다. 결론: 피부림프선염의 병력이 없는 하지 림프부종환자의 초기평가시 림프신티그라피 소견으로 향후 피부림프선염의 발생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하지림프부종 환자에서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 림프신티그라피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