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HA(docosahexaenoic acid)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성인 여성의 혈장 및 적혈구막의 $\omega$-3 지방산함량과 2개월간의 식이섭취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lasma, Erythrocyte Membrane, and Dietary Intake Levels of $\omega$-3 Fatty Acids in Young Korean Females : Effect of Diet Survey for Two Months)

  • 한은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10호
    • /
    • pp.995-1003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 the $\omega$-3 fatty acid intake levels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omega$-3 fatty acids in plasma and erythrocyte membrane and the dietary intake of these fatty acids over the period of two months in 56 young Korean females. Dietary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7-day weiged records and six 24-hour recalls. Fasting blood sample was collected from each subject after the dietary survey period. Mean daily intakes of energy, fat, and cholesterol were 1,569㎉, 41.8g, and 217mg, respectively. Fat suppled 24% of total energy intake. Mean daily intake levels of eicosapentaenoic acid(EPA), docosahexaenoic acid(DHA), and total $\omega$-3 fatty acids were 0.04g, 0.06g, and 0.48g, respectively. Plasma cholesterol levels of most of the subjects were within normal ran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lasma cholesterol levels and intake levels of any specific fatty acid. Levels of EPA, DHA, EPA+DHA in plasma and erythrocyte membrane, but not the levels of $\alpha$-linolenic acid(LNA),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etary in take of respective fatty acids. Such a correlation, however, was not observed in a previous study where dietary intake was assessed for 3 d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etary intakes of $\omega$-3 fatty acids are low in the subject and that about two-month period is required to assess dietary intake levels of $\omega$-3 fatty acids with a reasonable accuracy.

  • PDF

쥐에서 n3계 불포화지방산 식이의 혈장지질 저하효과와 과산화물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id-Lowering Effect and Peroxidation Level In Rats)

  • Choi, Joo S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6호
    • /
    • pp.408-417
    • /
    • 1990
  • Sprague Dawley 종 수컷쥐(체중 약 450kg) 48마리를 3군으로 나누어 종류가 다른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된 실험식이를 6주간 투여하였다. 이때 지방을 15%(W/W)로, 불포화지방산인 n6 linoleic acid의 급원으로는 옥수수기름, n3 $\alpha$-linolenic acid의 급원으로는 들기름, n3 EPA와 DHA의 급원으로는 생선유를 투여하되, 포화지방산과 monoenoic acid의 총량을 거의 같게 공급하여 불포화지방산의 영향만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어유를 투여한 군의 cholesterol과 HDL-chol양은 옥수수기름과 들기름을 투여한 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낮았으며, 불포화지방산의 혈장 cholesterol을 저하시키는 능력은 n3 EPA+n3계 불포화지방산군인 어유와 들기름군이 n6계 불포화지방산군인 옥수수기름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더 컸다. Lipoprotein의 상대적인 함량은 식이 불포화지방산의 종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혈장과 적혈구 및 간의 토로페롤 수준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과산화산물 활성은 지방산의 불포화도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었으며 SOD활성의 증가로 인해 간조직의 과산화물의 수준이 감소되었다.

  • PDF

DHA and EPA Down-regulate COX-2 Expression through Suppression of $NF-{\kappa}B$ Activity in LPS-treat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Lee, Soon-Ae;Kim, Hye-Jung;Chang, Ki-Churl;Baek, Jong-Chul;Park, Ji-Kwon;Shin, Jeong-Kyu;Choi, Won-Jun;Lee, Jong-Hak;Paik, Won-Yo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3권4호
    • /
    • pp.301-307
    • /
    • 2009
  • Inflammatory processes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play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ofatherosclerosis. We determin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mechanisms of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on LPS-treat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to evaluate their cardioproteerive potential. Cells were pretreated with DHA, EPA, or troglitazone prior to activation with LPS. Expression of COX-2, prostaglandin $E_2$ ($PGE_2$) and IL-6 production, and $NF-{\kappa}B$ activity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ELISA, and luciferase activity,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EPA, DHA, or troglitazone significantly reduced COX-2 expression, $NF-{\kappa}B$ luciferase activity, and $PGE_2$ and IL-6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fashion. Interestingly, low doses (10 ${\mu}$M) of DHA and EPA, but not troglitozon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tivity of $NF-{\kappa}B$ in resting HUVECs. Our study suggests that while DHA, EPA, and troglitazone may be protective on HUVECs under inflammatory condit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here may be some negative effects when the concentrations are abnormally low, even in normal endothelium.

N-3 지방산 결핍이 혈청 및 신경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nervous system in rats reared by artificial method.)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34-640
    • /
    • 2007
  • 인공사육시스템으로 사육된 n-3 지방산이 결핍된 군 및 n-3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군과 대조군으로 엄마쥐가 직접 수유하여 사육시킨 군의 혈장, 뇌 및 망막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혈장의 총 단일불포화지방산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총 n-3 지방산의 경우에는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94%로 감소하였다. N-6 지방산 계얼 중에서 22:4n-6와 DPAn-6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2:5n-3과 DHA의 함량은 94%로 감소하였다(P<0.05). 뇌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함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n-3 지방산 결핍군과 비교했을 때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보다 총 n-3 지방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뇌의 DHA 함량의 경우, n-3 지방산 결핍군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그 함량이 58-61% 감소하였고 반면 n-6 계열인 DPAn-6의 함량은 상당히 증가하였음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P<0.05). 망막의 총 포화지방산의 경우 n-3지방산 적절군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총 단일불포화 지방산에서는 대조군에서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총 n-6 지방산과 그 중에서 22:4n-6와 DPAn-6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뇌의 지방산 조성, 특히 감소된 DHA 함량과 증가된 DPAn-6 함량은 해마 신경조직의 신경돌기 성장과 뇌 기능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적절한 양의 DHA 함량의 유지가 뇌 기능 항상성에 필수적이라고 사료된다.례하여 증가하지 않았고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유역에 대한 BASINS/HSPF의 적용성을 검증하였으며, 현재 오염총량계산에 있어서 원단위방법에 의한 오염부하량산정의 개선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BASINS/HSPF를 이용한 오염부하량 산정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반된다면,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본다.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유입수량의 부족과 현재 수질개선을 위해 적용하고 있는 수중폭기시설등의 물리적인 영향도 직 ${\cdot}$ 간접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였고 유역과 저수지의 통합적인 수질관리계획 이 요구되었다.group으로, 용존산소량, 전기전도도, pH, 인산염이 정점 3, 4, 5에서 같은 group으로 묶였다.유의적인 CAT 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시토졸 1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5${\sim}$27%의 CAT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의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방어시스템으로서 활성산소 제거효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sim502^{\circ}C)$의 온도범위(溫度範圍)에서 분해(分解)되며 공기중(空氣中)에서는 $750\sim935^{\circ}F$ 범위(範圍)에서 분해(分解)한다.첫째, 무엇보다 아동이 성장기임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아동들의 식이, 운동습관 및 비만과 관련된 행동의 변화가 생활 가운데 근본적으로 일어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체중 조절 프로그램은 식이 및 운동 지도와 아울러 긍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에탄올에 대한 지방산염의 용해도 차를 이용한 EPA와 DHA의 농축방법 (Separation of EPA and DHA from Fish Oil by Solubility Differences of Fatty Acid Salts in Ethanol)

  • 한대석;안병학;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30-434
    • /
    • 1987
  • 알칼리 수산화물이 용해되어 있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어유를 비누화시키고 이를 냉각 여과함으로써 ${\omega}-3$고도불포화지방산 특히, EPA와 DHA가 농축된 지방산 농축물을 얻을 수 있었다. 정어리유와 농축물의 지방산 비교 분석한 결과 지방산 분자의 이중결합 수 또는 탄소사슬 길이보다는 탄소사슬 길이에 대한 이중결합 수의 비율이 에탄올에 대한 지방산 나트륨염의 용해도를 결정짖는 보다 중요한 인자라는 점을 알수 있었다. 비누화 반응의 용매인 에탄올 내의 물함량은 분리효율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는데 물함량이 낮아질수록 농축물 내의 EPA 및 DHA 함량과 이들의 수율이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한편, 비누화된 용액을 결정화시킬 때의 냉각온도 및 냉각과정은 공정의 효율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무수 에탄올을 사용하고 비누화된 용액을 $10^{\circ}C$로 급속 냉각하였을때 EPA와 DHA함량이 원료 정어리유의 14.2%와 10.7%에서 각각 34.1%와 27.8%로 증가된 PUFA농축물을 84.5%의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 PDF

Various Fatty Acids Induce Cell Damages Differently in CYP2E1-transduced HepG2 Cells, E47 Cells, Compared to C34 Cells

  • Lee, Myoung-Sook;Bae, Myung-A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9-13
    • /
    • 2006
  • The differential effects of various fatty acids such as n-3 and n-6 types or degrees of unsaturation on the CYP2E1 induction and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ation (LPO) were investigated. The CYP2E1-transduced human hepatoma HepG2 cells (E47) were cultured in RPMI 1640 media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various fatty acids up to 48 h incubation compared to 04 cells and CYP2E1-null cells. Treated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 (LA:n-6, C18:2), arachidonic acid (AA:n-6, C20:4) and docosahexaenoic acid (DHA:n-3, C22:6). The cell survival rate was decreased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unsaturation (LA>AA $\cong$DHA) and to LPO production in E47 and 04 cells. The four or five unsaturation degree of fatty acids, AA and DHA, caused time- and dose-dependent cell death in E47 cells but not as much as in C34 (without CYP2E1), suggesting an important role of CYP2E1 in the DHA mediated damage. In the levels of lipid peroxides (LPO), AA also elevated LPO by 3- and 5- fold compared to DHA or LA treated E47 cells. However, AA did not increase LPO until 48 h incubation in C34 cells. In conclusion,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duced CYP2E1 induction might be changed by the elevated levels of lipid peroxide (LPO) and oxidative stress through the connection of CYP2E1 and degrees of unsaturated fatty acids.

Effect of Fish Oil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Ruminal Metabolism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Muscle in Korean Cattle

  • Kook, K.;Choi, B.H.;Sun, S.S.;Garcia, Fernando;Myung, K.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66-71
    • /
    • 2002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ish oil (FOS) on growth performance, ruminal metabolism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ongissimus muscle in 10 steers and 10 bulls of Korean cattle. Concentrates diet was supplemented with FOS at 5% of the diet. FOS contained 3.34%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24.87% docosahexaenoic acid (DHA) of total fatty acids by weight. Average dail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affected (p>0.871) by FOS, but feed intake was decreased. FOS had lower (p<0.003) pH and higher (p<0.001) $NH_3$-N than that of control. There was a treatment effect (p<0.001) for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s. FOS increased (p<0.009) concentrations of n-3 fatty acids, including linolenic, EPA and DHA in longissimus muscle. Physical traits were significantly (p<0.015) changed by feeding FOS except for pH and lightness (L). We concluded that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muscle in fattening Korean cattle can be altered by feeding 5% FOS.

엄마 쥐의 식이 섭취기간이 뇌의 오메가 3 지방산 결핍 동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 임신전 단계 실험식이 섭취 방법 vs 임신동물을 이용하는 방법 (Effect of Length of Maternal Diet Intake on Production of Newborn Rats with Brain n-3 Fatty Acid Deficiency: Pre-pregnancy Method vs. Use of Time-pregnant Animal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42-94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DHA가 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시간과 동물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지난 인공 사육 동물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전 단계 실험으로 엄마 쥐의 식이 섭취기간이 신생 쥐의 뇌 및 위 내용물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출생 직후 신생 쥐들의 위 내용물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임신동물을 사용한 군(Pregnancy group)의 경우, 임신전 단계 사육 방법으로 사육한 군(Pre-pregnancy group)에 비하여 20:2n-6 함량은 낮았고 20:3n-6, 20:4n-6 및 총 n-6 지방산의 경우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DHA 함량의 경우, 임신동물의 신생 쥐의 위 내용물에서 25% 높게 나타났다(P<0.05). 신생 쥐들이 생후 10일 경과되었을 때, 22:4n-6 및 22:6n-3의 경우 임신동물을 사용한 군에서 각각 8% 및 8%로 낮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출생 직후 뇌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해 본 결과, 총 포화 지방산과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의 경우, 임신동물을 사용한 군(Pregnancy group)에서 그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20:5n-3의 함량은 26%로 감소하였다(P<0.05). 나머지 지방산 함량에는 두 간에 유의적 차이를 관찰 할 수가 없었다. 신생 쥐들이 생후 10일이 되었을 때, 총 포화지방산의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총 monounsaturated의 경우, 임신동물을 사용한 군에서 감소하고 20:4n-6와 22:6n-3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20:5n-3의 함량은 47%로 감소하였다(P<0.05). 이들 신생 쥐들이 수유기간이 끝나는 생후 21일이 되었을 때,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적 차이를 살펴 볼 수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임신 전 단계 군에 비하여 뇌 및 위 내용물의 DHA 및 기타 n-3 지방산의 함량이 높았으나 이유기의 뇌의 지방산 조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임신 동물을 사용한 군의 경우 임신 전 사료에 DHA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특정 상황을 고려해 볼 때 향후 인공 사육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지방산의 조성의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사료되며 뇌의 DHA 결핍 동물 생성을 위한 실험계에 임신동물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되어진다.

발생중인 닭의 배자에서 뇌 조직내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s in Brain Phospholipids of Developing Chicken Embryos)

  • 김희성;최인숙;지규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42
    • /
    • 1995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linoleic acid(18:2\omega6, LA) and aipha-linolenic acid(18:3\omega3. \alpha-LNA) levels on brain developm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various lipid classes in the chicken embryo brain tissues. Thirty two ISA Brown layers, 52 weeks-ol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irds of each group were given corn-soybean meal based diets added with 1) safflower oil 8%, 2) safflower oil 6% + perilla oil 2%, 3) safflower oil 2% + perilla oil 6%, or 4) perilla oil 8%. Mter 15 days fed the diets. the layer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to obtain fertile eggs. During the incubation. embryonic brains were sampled at 15th and 21st days. Fatty acid contents were quantitated by using heptadecanoic acid (17:0) as an internal standar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ain weight and in contents of various lipids such as phospholipid. triglyceride, cholesterol. cholesterol ester and free fatty acid in the tissues were found among the dietary groups (P<0.05). The ratios of AA/LA in the brain lipid classes were lowered as the dietary levels of perilla oil were increased. Higher LA was found in phosphatidylcholine(PC) than arachidonic acid (20:4\omega6. AA), meanwhile the level of LA was less than AA in phosphatidylethanolamine(PE). Docosahexaenoic acid(22:6\omega3, DHA) was the* major fatty acid in the tissue and its content in PE was 2.5~3 times higher than in PC. DHA level in the phospholipid reached at a peak (1.7~1.8 mg/brain) in dietary groups added with 6% or 8% perilla oil. suggesting that no more increase in that fatty acid level in the brain tissue could be obtained by consuming more \alpha-LNA, the major precursor of DHA.

  • PDF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어유 투여량이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Different Doses of Fish Oil on Serum Lipids in Patient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 백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6호
    • /
    • pp.672-679
    • /
    • 199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changes of serum glucose and lipid levels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during different doses of docosahexaenoic acid (DHA)-rich fish oil supplementation. All patients had a fasting blood glucose of less than 180mg/dl, a LDL-cholesterol of less than 160mg/dl, and a triglyceride of more than 160mg/dl. None had clinical evidence of renal, hepatic or coronary vascular disease. Sixteen patients served as control. Seven patients ingested 2.00g of fish oil(low dose group), consisting of 0.30g eicosapentaenoic acid(EPA) and 0.55g DHA. The group of modest dose(n=9) was provided 3.91g of fish oil, consisting 0.59g EPA and 1.08g DHA. After 4 weeks,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showed a mild but nonsignificant elevation in control group, a 9% decrease(194 to 177mg/dl) in the group of low dose of fish oil and a 28% decrease(206 to 161mg/dl) in the group of modest dose. The level of high density lipoprotein(HDL), HDL2, HDL3 and total cholesterol in all groups were not changed. There was a mild increase in malondialdehy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LDL)-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decrease in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 However, thes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