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GPS service coverag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 DGPS 내륙 기준국 전파 측정 및 서비스 분석 (Service analysis and propagation measurement for DGPS land-based reference station in Korea)

  • 전중성;김영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437-44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국내 DGPS 내륙 기준국의 전파 환경을 측정하고 기준국별 서비스 영역과 DGPS 수신 신호의 품질을 분석하였다. DGPS 기준국별로 동절기와 하절기에 전파되는 DGPS 신호의 수신 전계레벨과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여 서비스 영역이 낮은 기준국의 영향과 영역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산악지형과 대지 도전율이 낮은 기준국을 제외한 기준국의 서비스 영역은 약 80 % 이상의 설계 기준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고 있으며, 평탄한 지형과 대지 도전율이 양호한 대지의 기준국 설치운영과 송신 안테나의 효율 향상을 통하여 서비스 영역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DGPS 전파 신호의 안정도 측정 및 분석 (Analysis and signal stability measurement for DGPS radio wave propagation)

  • 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31-23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국내 DGPS 기준국 서비스 영역에서의 수신 전력의 안정도를 측정하고 변화율을 분석한다. 동절기와 하절기의 전력 측정과 주야간의 시간적 변화에 대한 DGPS 전파전파 영향을 측정 분석하여 안정된 DGPS 서비스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본다. 내륙 DGPS 기준국과 해안 DGPS 기준국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갖는 동일 지점에서 동절기와 하절기 그리고 낮과 밤의 전파 전파 특성을 일정시간별로 측정한다. DGPS 전파는 대지 도전율에 영향을 받으므로 대지 도전율의 시간적 변화율에 따라 수신되는 전파의 세기는 다르게 나타나며, 서비스 영역의 변화를 가져온다. 안정된 서비스 영역의 운영을 위해서는 적응형 전력 조절과 전리층의 영향을 고려한 안테나 설계가 필요할 수 있다.

국내 DGPS 내륙 기준국의 출력 증강에 따른 서비스 영역 분석 (Service Coverage Enhancement due to Output Power of Korean Land-based DGPS)

  • 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059-2064
    • /
    • 2011
  • 우리나라는 GPS 보정시스템인 DGPS 위성항법보정시스템이 해안용 11곳과 내륙용 6곳의 기준국이 설치 되어 운용되고 있다. 내륙 기준국은 위성항법 보정신호를 500W 출력으로 서비스하고 있으나, 산간 지역 등 국내 지역에 따라 음영지역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내륙 기준국의 출력을 1kW 이내에서 증강할 경우, 내륙 기준국별 서비스 영역을 해석하고, 6곳의 내륙 기준국과 11곳의 해안 기준국과의 이중 서비스 영역을 고려하여 국내 내륙지역의 DGPS 서비스 음영지역을 분석한다. DGPS 전파 모델로는 중파 대역 전파 모델을 사용하고, 내륙 지역의 도전율은 보정된 지표 도전율을 적용하여 출력에 따른 서비스 영역을 해석한다.

설계 유효범위 이상에서의 RBN/DGPS정밀도 및 신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uracy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of RBN/DGPS over the Designed Effective Service Area)

  • 고광섭;심재관;최창묵;정세모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7-165
    • /
    • 2000
  • When the GPS system was come to the operation, the U.S Coast Guard initiated development of differential GPS system based on a marine radiobeacon. It has rapidly been spread out to many countries. DGPS equals to P(Y) code in a positioning accuracy. USA has recently determined to expand the coverage of DGPS to inland in order to install a nationwide DGPS chain. Korea is under processing for improving the DGPS as a nationwide positioning system. Before expanding the service area inside Korea, we need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field strength and DGPS accuracy for the service area. The Japanese DGPS data is receiv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DGPS was not a complete system, so we selected the Japanese DGPS data as a model for the study. This paper investigate accuracy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of RBN/DGPS over the effective service area. Through the experimental and simulation study, we obtained the reliable and stable positioning accurac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RBN/DGPS were examined in the land over the effective coverage from Japan. The results would be a basic reference to research the RBN/NDGPS in Korea.

  • PDF

국내 해상 DGPS 기준국의 서비스 영역 측정 및 분석 (Analysis and measurement of service area of ocean-based DGPS reference station in Korea)

  • 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55-126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계절별 국내 해상 DGPS 기준국 신호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고 기후 및 계절에 따른 서비스 영역을 분석한다. 해상 DGPS 기준국을 중심으로 내륙 서비스 영역에서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와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 분석한다. 산악지형과 대지 도전율이 낮은 안테나 사이트를 갖는 기준국을 제외한 해상 DGPS 기준국의 내륙 서비스 영역은 서비스 영역 대비 68 %이상의 양호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고 있다. 계절에 따른 안정된 서비스 영역을 갖기 위해서는 양호한 대지 도전율을 갖는 안테나 사이트와 보다 높은 안테나 효율을 갖는 해상 DGPS 기준국 설치 및 운영이 필요하다. 아울러 내륙 기준국과의 이중 서비스 영역 제공으로 전파 경로상의 장애물로 인한 불안정한 서비스 영역을 해소할 수 있다.

송신출력 증강에 따른 내륙 DGPS 기준국의 서비스 영역 분석 (Service Coverage Analysis on Land-based DGPS Station due to Output Power Enhancement)

  • 백화종;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350-1357
    • /
    • 2012
  • 국내 NDGPS는 해안 기준국 11곳과 내륙 기준국 6곳으로 전국 17개소로 구성되어 운용되어지고 있다. 내륙 기준국은 기준국의 송신출력을 500W로 서비스하고 있으나, 산악지대나 국내 지형에 따라 서비스 음영지역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내륙 기준국의 송신출력을 1KW 이내에서 증강할 경우, 내륙 기준국별 서비스 영역을 분석하고, 국내 내륙지역의 DGPS 서비스 음영지역을 분석한다. 또한, 나타나는 서비스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서비스 음영지역이 해소되는 가상 내륙 DGPS 기준국 2곳을 최적화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NDGPS 기준국 안테나 서비스 영역 분석 (Service coverage Analsys of Korea NDGPS reference station Antena)

  • 백화종;김영완;김군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85-588
    • /
    • 2011
  • 현 시점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해안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준국을 기반으로 하여 2009년까지 해안기준국(11곳), 내륙기준국(6곳)으로 전국 17개소의 DGPS 기준국을 설치 및 운용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DGPS 서비스를 해상 및 육상에서도 다양한 분야에 걸쳐 실시간으로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형상 산악지형이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서비스 음영지역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측데이터를 이용하여 내륙기준국에서의 지점경로 전파분석을 통하여 기준국 안테나 파라미터를 알아보고 서비스 음영지역 도출 및 나타나는 음영지역 해소 방안으로 안테나 효율 및 기준국의 송신 출력을 검토하여 그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300kHz대의 NDGPS시스템 설계를 위한 해.육상경로 DGPS 전파의 전파특성 분석 (The Analysis on radio wave propagation of DGPS on Sea IT Land path for the design of 300kHz bands NDGPS)

  • 김경태;김민정;정재용;고광섭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1
    • /
    • 2002
  • 현 시점에서 한국은 8개의 UPS국을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고, 앞으로 3개의 국을 추가하여 우리나라의 전 해역을 2중으로 커버할 계획으로 있다. 한국의 관련 정부기관에서는 NDGPS를 설치하여 우리나라 전 지역의 해상은 물론 육상의 전 지역에서의 자동차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해상 UPS기지국을 근간으로 사용하여 NDGPS로 육상의 전역을 커버하기 위하여 추가로 필요로 하는 NUP즐 기지국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300kHz대 주파수의 해상 및 육상에서의 전파특성을 실측하여, 이의 결과에 따른 한국에서의 NDGPS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전반적인 사항을 제시하였다.

비행검사용 항공기를 이용한 김포국제공항 GBAS 비행시험 및 성능평가 (GBAS Flight Testing and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Flight Inspection Aircraft at Gimpo International Airport)

  • 정명숙;배중원;전향식;이영재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9-61
    • /
    • 2015
  • GBAS는 Differential GPS(DGPS) 개념을 활용하여 공항근처 23NM 반경 이내에 위치한 항공기에 정밀위치서비스와 정밀접근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GBAS 지상장비는 공항에 설치된 이후에 지상 및 비행시험평가를 통해 그 기능 및 성능을 검증하도록 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김포국제공항에 설치된 GBAS 지상장비에 대해 비행검사용 항공기를 이용한 비행시험 방법 및 결과를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시험 결과 김포공항의 GBAS 신호통달범위 내에서 VDB 데이터가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으며, VDB 전계강도, 보호수준, 코스정렬 정확도 등도 평가 요구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Feasibility Study on Integration of SSR Correction into Network RTK to Provide More Robust Service

  • Lim, Cheol-Soon;Park, Byungwoon;Kim, Dong-Uk;Kee, Chang-Don;Park, Kwan-Dong;Seo, Seungwoo;So, Hyoungmin;Park, Junpyo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7권4호
    • /
    • pp.295-305
    • /
    • 2018
  • Network RTK is a highly practical technology that can provide high positioning accuracy at levels between cm~dm regardless of user location in the network by extending the available range of RTK using reference station network. In particular, unlike other carrier-based positioning techniques such as PPP, users are able to acquire high-accuracy positions within a short initialization time of a few or tens of seconds, which increases its value as a future navigation system. However, corrections must be continuously received to maintain a high level of positioning accuracy, and when a time delay of more than 30 seconds occurs, the accuracy may be reduced to the code-based positioning level of meters. In case of SSR, which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for PPP service, the corrections by each error source are transmitted in different transmission intervals, and the rate of change of each correction is transmitted together to compensate the time delay. Using these features of SSR correction is expected to reduc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even if users do not receive the network RTK corrections for more than 30 seconds. In this paper, the simulation data were generated from 5 domestic reference stations in Gunwi, Yeongdoek, Daegu, Gimcheon, and Yecheon, and the network RTK and SSR corrections were generated for the corresponding data and applied to the simulation data from Cheongsong reference station, assumed as the user.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ssuming 30 seconds of missing data, the positioning performance compensating for time delay by SSR was analyzed to be horizontal RMS (about 5 cm) and vertical RMS (about 8 cm), and the 95% error was 8.7 cm horizontal and 1cm vertical. This is a significant amount when compar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MS of 0.3 cm and 0.6 cm, respectively, for Network RTK without time delay for the same data, but is considerably smaller compared to the 0.5 ~ 1 m accuracy level of DGPS or SBAS. Therefore, maintaining Network RTK mode using SSR rather than switching to code-based DGPS or SBAS mode due to failure to receive the network RTK corrections for 30 seconds is considered to be favorable in terms of maintaining position accuracy and recovering performance by quickly resolving the integer ambiguity 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recov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