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FQ 15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우리나라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 추정을 위한 음식섭취빈도조사지의 개발과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hort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for Korean Adults)

  • 손숙미;박영숙;임화재;김숙배;정연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838-853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arious types of a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for estimating the habitual sodium intake an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 125 item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125) with the DFQ 70, DFQ 36 and DFQ 15. For the DFQ 125, one hundred and twenty five dish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sodium content of a one serving size, consumption frequency and dish items that contributed most to the variation of sodium intake. Frequency of consumption was determined through nine categories ranging from more than 3 times a day to almost never to indicate how often the specified amount of each food item was consumed during the past 6 months. The sodium intake estimated with DFQ 125 was $5775.0{\pm}3636.3mg$, 12.6% higher than that estimated with a 24 hr urine analysis ($5009.7{\pm}1541.9mg$)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m (r=0.3315, p<0.001). When sodium content in broth leftover was subtracted from the total intake, the actual sodium intakes was decreased to $5309.6{\pm}3076.6mg$, which was 3.2% higher than that with a 24-hr urine analysis. Overall, 56% of subjects in the lowest quintile of sodium intake computed with DFQ 125 were also in the lowest of adjacent quintile while categorization into the opposite quintile were 4.9%. DFQ 70 was developed from DFQ 125 by omitting the food items not frequently consumed, selecting the dish items that showed higher sodium content per one portion size and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The sodium intake estimated with DFQ 70 ($5026.6{\pm}3107.1mg$) showed only 0.2% difference from that estimated with a 24-hr urine analysi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t (r=0.3199, p<0.001) and higher proportion of subjects to be classified into the same or adjacent quintile. The sodium intake estimated with DFQ 36 or DFQ 15 was also significancy correlated with that estimated with a 24-hr urine analysis (r=0.3441, p<0.001; r=0.321, p<0.001 respectively) and more. The proportion of subjects was classified into the same or adjacent quintile. However, the actual sodium intake estimated with DFQ 36 or DFQ 15 were $3534.0{\pm}1804.6mg\;and\;2508.0{\pm}1261.5mg$, respectively, 31.3% or 51.3% less than that estimated with a 24-hr urine analysis. It seems the DFQ 125 with subtraction of sodium content in broth leftover or DFQ 70 can be used quantitatively to estimate sodium intake of adults. DFQ 36 or DFQ 15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or to assess the changes of sodium intake after nutrition education.

부산지역 대학생의 나트륨 섭취량에 따른 식생활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Salt-Related Dietary Patterns According to the Sodium Intake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 이상희;류호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7-176
    • /
    • 2015
  • This study compares salt-related dietary patterns according to sodium intak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7 college students(130 male and 127 female students) in the Busan area.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70(DFQ 70) was used to quantitatively estimate sodium intake. A short dish frequency questionnaire(DFQ 15) was used to screen subjects with high or low- salt intake. The sodium intake of male students based on DFQ 7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p<0.05). Sodium intake h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p<0.05). In the high-salt intake(HS) group, classified by DFQ 15, the number of 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p<0.01). The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H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ow-salt intake(LS) group(p<0.05). Salt-related dietary behavior score and eating habit score for the H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the LS group(p<0.01). The sodium intake of the HS group based on DFQ 7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S group(p<0.01). In these results, college students in Busan area showed high blood pressure and high sodium intake compared to Korean DRIs. The results indicate a need for various education programs to help college students practice a low-sodium diet.

경기지역 대학생의 소금 관련 식행동 및 나트륨 섭취량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 정은정;심유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78-588
    • /
    • 2008
  • 본 연구는 경기지역 대학생 218명(남 95명; 여 123명)을 대상으로 DFQ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하고 관련된 식행동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축기와 이완기혈압, DFQ-15 점수와 DFQ-125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남 6094.2 mg; 여자 4760.7 mg)은 모두 남자에서 더 높았다(p<0.01). 전체대상자를 DFQ-15에 의해 고염과 저염 섭취군으로 분류한 결과, 두 집단의 혈압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에서는 저염군의 수축기와 이완기혈압이 높았는데(p<0.05), 이는 여자 저염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BMI 때문으로 생각된다. 고염 식태도 점수와 나트륨 섭취량은 고염군에서 매우 높았다(p<0.001). 식습관 비교 결과, 매일 단백질 음식을 먹거나 골고루 먹는 식습관 빈도는 저염군에서 높았으며(p<0.05), 튀김, 볶음요리 및 지방이 많은 육류를 자주 먹거나 식사시 소금과 간장을 더 넣는 부정적 식습관 빈도는 고염군에서 더 높았다(p<0.05). 고염군은 조린 음식 및 중식, 일식을 좋아하고 된장국을 자주 먹으며 튀김, 생선회는 간장에 듬뿍 적셔 먹는 고염 식태도 빈도가 높았으며, 식탁에서 소금을 잘 넣지 않는 저염 식행동 빈도는 낮았다(p<0.05). 나트륨 섭취량을 기준으로 분류한 고염군은 볶음밥 등 별미밥과 조린 음식을 좋아하고 식사 전 습관적으로 소금을 더 넣는 고염 식태도 문항 점수가 높았고, 라면 국물을 남기거나 식탁에서 소금을 추가로 잘 넣지 않는 저염 식행동 문항 점수는 낮았다(p<0.05). 한편, 전체대상자에서 식품구매 시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군의 고염 식태도 점수, DFQ-15 점수, 나트륨 섭취량은 비확인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낮았으며 저염 식행동 점수는 높았다(p<0.01). 특히, 영양표시 비확인군의 나트륨 섭취량(5669.1 mg)은 확인군(4241.9 mg)의 133.6%에 달해 영양표시 확인여부가 고염섭취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남, 여 각 집단과 전체대상자에서 자신이 짜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스스로 평가한 군이 그렇지않다고 한 군에 비하여 고염 식태도 점수는 높고 저염 식행동 점수는 낮았다(p<0.001). 하지만 여학생에서는 짜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한 군의 나트륨 섭취가 매우 높은 반면, 남학생에서는 싱겁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한 군의 나트륨 섭취가 매우 높아(p<0.05), 주관적으로 판단한 음식 간의 선호도가 실제 나트륨 섭취 수준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학생은 나트륨 섭취량이 여학생보다 높고 충분섭취량의 406.3%에 달해 고염 섭취의 위험군이라 할 수 있었다. 고염군의 식행동 특성에는 지방 함량이 높고 조린 음식을 좋아하고 식탁에서 소금 간을 자주하는 반면, 균형식을 실천하는 비율은 낮았다. 따라서 대학생 특히, 남학생을 위한 고혈압 영양교육에는 소금 감량에 관한 내용 외에도 기본적인 식품영양 지식과 올바른 식습관의 중요성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4시간 소변분석과 음식섭취빈도지를 사용한 우리나라 성인들의 나트륨 섭취량과 지역별, 음식군별 나트륨 섭취량의 비교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 손숙미;박영숙;임화재;김숙배;정연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45-558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using a 24-h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according to each dish group and the regional a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522 adults (male : 267, female : 285), aged 20-59yr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N=200), Chungcheng-Do (N=117), Jeolla-Do(N=117), and Gueongsang-Do provinces (N=118).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residents who once participated or are participating in the various health programs offered by the public health center. The number of subjects who completed the 24-hr urine collection was 205 (male : 110, female : 95). The mean age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39.0{\pm}$11.7y and $23.1{\pm}2.9 kg/m^2$, respectively.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119.5{\pm}15.4 mmHg$, and $77.1{\pm}11.1 mmHg$, respectively. Eighteen percent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are currently smoking, 36% drinking and 50.4% exercising. Twenty point six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assessed as having hypertension according to their systolic or diastolic blood pressure($SBP{\ge}140mmHg$ or $DBP{\ge}90mmHg$) measurements in the present study. Salt intake of the subjects estimated with 24-hr sodium excretion was 12.7g/d (male : 13.4g/d, female : 12.1g/d) based on the sodium excretion rate as 82%. Salt intake estimated with DFQ was 14.7g/d (male : 16.2g/d, female : 13.4g/d), 2 g more than the salt intake estimated with 24-hr urine analysis. The four dish groups that contributed most to the sodium intake in order were kimchi (11571.4mg), soup and stew (1260.5mg), fish and shellfish(706.3mg) and noodle and ramyeon(644.3mg). Salt intake estimated with DFQ was the highest in the subjects of Gueongsang-Do(17.0g/d), second highest Chungcheong-Do (16.4g/d) and the lowest in the metropolitan area (13.0g/d). Subjects of Gueongsang-Do showed the highest sodium intakes in most of the dish group, whereas subjects of the metropolitan area showed the lowest. Residents of Chungcheong-Do revealed the highest sodium intake with kimchi and of Jeolla-Do the higher sodium intake with main dish (meat, fish and beans). The highest salt percentage of kimchi ($3.0{\pm}0.8%$) and soybean paste ($14.5{\pm}5.1%$) were observed in Gueongsang-Do, whereas individuals of the metropolitan area were observed as having kimchi ($1.6{\pm}0.5%$) and soybean paste ($7.4{\pm}1.6%$) with the lowest salt percenage. Men were observed as having more salty kimchi ($2.4{\pm}0.1%$) than women ($2.1{\pm}0.1%$).

중부 지역 여대생에서 음식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한 나트륨 섭취량 평가 및 나트륨 섭취와 골밀도와의 관련성 조사 (Evaluation of Sodium Intake and Relationship between Sodium Intake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배윤정;연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5-636
    • /
    • 2011
  • 본 연구는 여대생 248명을 대상으로 음식섭취빈도조사지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과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정상군 20.15세, 골감소군 20.04세였으며,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평균 신장과 체중은 정상군 161.14 cm, 54.99 kg, 골감소군은 161.02 cm, 52.20 kg으로 나타나, 골감소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량은 정상군 20.90 kg/$m^2$, 26.09%, 골감소군은 20.08 kg/$m^2$, 24.27%으로 체질량지수와 체지방이 골감소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종골의 골격 상태 측정 결과에서 BUA, SOS, QUI는 정상군 118.44 dB/MHz, SOS 1,578.12 m/s, QUI 124.59%, 골감소군은 99.24 dB/MHz, SOS 1534.50 m/s, QUI 98.83%로 골감소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섭취빈도지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3,176.51 mg)은 식사 기록법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1,898.62 mg)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상군 3,598.60 mg, 골감소군 3,748.25 mg으로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나트륨 섭취의 주요 급원식품으로 정상군은 배추김치(10.13%), 라면(5.05%), 된장찌개(3.27%), 김치찌개(3.23%), 멸치볶음(2.48%) 순으로나타났으며, 골감소군은 배추김치(12.78%), 라면(6.04%), 김치찌개(2.94%), 된장찌개(2.62%), 자반고등어(2.34%) 순으로 나트륨 섭취량이 많게 나타났다. 음식군별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음식군별 결과를 살펴보면, 정상군은 김치류(16.91%), 면류 및 만두류(16.34%), 찌개 및 탕류(13.88%), 주반찬(육류, 난류, 콩류, 11.73%), 어패류(11.02%) 순으로 나타났으며, 골감소군은 김치류(20.51%), 면류 및 만두류(17.03%), 찌개 및 탕류(12.98%), 어패류(10.76%), 주반찬(육류, 난류, 콩류, 10.63%) 순으로 나타났다. 두 군 모두에서 김치류, 면류 및 만두류, 찌개 및 탕류, 주반찬(육류, 난류, 콩류), 어패류로부터 전체 나트륨 섭취의 70% 정도를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각 식품군의 나트륨 섭취량과 골밀도와의 상관 관계 분석결과, 면류 및 만두류(r=-0.0276, p=0.0426)와 나물 및 생채류(r=-0.0587, p=0.0015)와 골밀도간의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각 식품군의 섭취빈도와 골밀도와의 상관관계 결과, 면류 및 만두류(r=-0.0344, p=0.0116), 찌개 및 탕류(r=-0.0376, p=0.0008), 김치류(r=-0.0421, p=0.0482), 어패류(r=-0.0160, p=0.0362), 나물 및 생채류(r=-0.0503, p= 0.0064), 양념류(r=-0.0407, p=0.0347) 등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나트륨 섭취 상태와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나트륨 섭취량에 따라 4분 위수로 대상자를 나누어 비교한 결과, 정상군의 T-score는 Q1 군 0.90 g/$cm^2$, Q2군 1.03 g/$cm^2$, Q3군 0.91 g/$cm^2$, Q4군 0.98 g/$cm^2$으로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골감소군은 Q1군 -1.48 g/$cm^2$, Q2군 -1.61 g/$cm^2$, Q3군 -1.59 g/$cm^2$, Q4군 -1.71 g/$cm^2$으로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여대생의 주요 나트륨 급원 식품인 배추김치, 김치찌개, 된장찌개 이외의 라면, 멸치볶음, 스낵 과자의 식품으로부터 나트륨 섭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트륨 총 섭취량과 골밀도는 상관성이 없었고 나트륨 섭취 기여도가 높은 식품의 섭취빈도가 높은 경우 나트륨 섭취도 높았는데, 이는 골밀도에 따른 군간 나트륨 섭취가 유사하여 나트륨 섭취가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골밀도에 관련성이 있는 골대사 지표 및 다양한 측정 방법을 통한 골밀도와 나트륨 섭취수준과의 관련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저염화사업 성과평가 지표 분석 (Analysis by Delphi Survey of a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or a Salt Reduction Project)

  • 김현희;신은경;이혜진;이난희;천병렬;안문영;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86-49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저염화 사업의 성과 평가 지표의 현황을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저염화 사업 성과 평가지표의 적절성 및 측정방법의 타당도와 수행용이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건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염화 사업 성과 평가지표로는'소금 섭취량',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 '싱겁게 먹는 인구 비율', '나트륨 감소법 인지율', '가공식품 구입시 영양표시 정보 확인율', '국의 염도 감소율', '저염 실천하는 모범음식점 증가율', '참가자 만족도', '소금 판매량', '뇌졸중 사망률'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2) 델파이 조사 결과, 저염화사업 성과 평가지표로서 영양학적 평가지표로는 1일 소금 섭취량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과 싱겁게 먹는 인구 비율 등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학적 지표로는 뇌졸중 사망률과 위암사망률이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영양학적 성과 지표 측정방법 중 24시간 소변 수집법이 타당성은 가장 높았으나, 수행용이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짜게 먹는 식태도 조사 방법이 수행용이성이 가장 높았으며, 짜게 먹는 식행동 조사와 미각판정 방법이 수행용이성이 그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영양학적 성과지표 측정방법의 타당성과 수행용이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이들의 평균 점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순위를 비교하였을 경우 식행동 조사와 식태도 조사가 1, 2순위로 가장 높았고 음식섭취빈도 조사, 미각판정법이 그 다음 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미각판정법의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5개의 시료 농도별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 결과 남자의 경우 검사자간 판정 결과의 상관계수가 0.774 (p < 0.01)였으며, 여자의 경우도 0.781 (p < 0.01)로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검사자내 신뢰도 조사에서는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 결과 남자의 경우 첫 번째, 두 번째 판정결과에 대한 상관계수가 0.591 (p < 0.01), 여자의 경우 0.399 (p < 0.01)로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여주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델파이 조사를 1회 실시한 것이 한계점이라할 수 있으나, 이제 막 저염화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저염화 사업의 성과 평가지표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켰다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싱겁게 먹는 인구비율은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과 함께 보건소 단위에서 저염화 사업을 할 때 특히 교육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저염화 사업에서 이 지표의 적합성 여부를 살펴보기 위한 실질적인 적용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지 못하였으나, 미각판정 도구의 농도에 대한 선호도와 강도를 점수화하여 판정과정과 결과 판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개발함으로써 미각판정법의 표준화를 확보하는 추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