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FMO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담배나방의 난소발생시 폴리아민 합성효소에 미치는 저해제의 효과 (Effects of Inhibitors (DFMO, DFMA) on Polyamine Synthetic Enzymes (ADC, ODC) during Ovarian Development of the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 우장환;김문익;김선희;이형철;정성은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6-35
    • /
    • 1999
  • Effects of $\alpha$-difluoromethylornithine (DFMO) and $\alpha$-difluoromethylarginine (DFMA), inhibitors of polyamine syntheic enzymes (ornithine decarboxylase, arginine decarboxylase), on ovary were investigated during pupal-adult development of Helicoverpa assulta. Two inhibitors (DFMO, DFMA) showed definite inhibition effects on ovarian development. The inhibition effect on ovaries weight was more marked in DFMA-injection than that observed in DFMO-injection. Two inhibitors (DFMO, DFMA) gave rise to a peculiar decrease in ornithine decarboxylase (ODC) or arginine decarboxylase (ADC) activity in ovaries, 72 hrs (5-day old pupa) post injection. However, DFMO clearly exhibited supression of ODC activity after 96 hrs (6-day old pupa). In addition, two inhibitors (DFMO, DFMA) diminished putrescine content in the ovary. The spermidine level was slightly decreased by each injection of the inhibitors. However, two inhibitors (DFMO, DFMA) raised the spermine content at certain developmental stages in the ovary. Although the effect of DFMA was less severe, two inhibitors (DFMO, DFMA) caused not only an overall delay in ovarian development, but also abnormalities in cellular differentiation. Noted effects in the pupal ovary were the appearance of irregular nurse cells and partial destruction of follicle epidermal cells. Adult ovary showed rapid degradation of nurse cells,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follicle epidermal cells and immature oocytes that had a low yolk content.

  • PDF

Gilt에 있어서 Difluoromethylornithine에 의한 LH분비 억제 (Suppression of LH Concentration by Difluoromethylornithine in Gilts)

  • 박석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5-171
    • /
    • 1993
  • Ornithine decarboxylase(ODC)가 polyamine 생합성에 주요 효소로 역할을 하지만 difluoromethylornithine(DFMO)은 polyamine 합성에 억제자로 작용하고 있다. Cycling crossbed gilt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분배하였다(6/group). Indwelling silicone catheter를 모든 동물의 경정맥에 수술을 통해 이식하였다. DFMO는 생리식염수(20mg/ml)에 용해하여 매일 80mg/kg을 i.m.으로 주사하였으며 대조구에게는 같은 양의 생지식염수만을 주사하였다. DFMO는 estrous cycle day 16일부터 21일 혹은 발정때까지 하루 3번(08:00, 16:00, 24:00h) 주사하였다. Day 14일 부터 마지막 DFMO주사 이틀 후까지 하루 한번씩 10ml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Day 16일부터 21일까지 매일 다른 gilt로부터 8시간 동안(08:00∼16:00h) 15분 간격의 주기로 window 혈액을 채취하였다. Serum으로부터 progesteron(P4), Estradiol(E2), LH 및 FSH를 측정하였다. P4와 E2는 DFMO처리에 관계없이 follicular phase동안에 전형적인 profile을 보였다. DFMO처리는 발정직전의 LH농도를 저하시켰지만 (p<0.01), FSH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gilt에 있어서 DFMO는 LH분비에 억제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P4, E2 및 FSH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나타났다.

  • PDF

Association of Dexamethasone-induced Apoptosis and $G_l-Arrest$ of Human Leukemic CEM Cells with Polyamine Deficit

  • Choi, Sang-Hyun;Lee, Jung-Ae;Chae, Yang-Seok;Min, Bon-Hong;Chun, Yeon-Sook;Chun, Boe-Gw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4호
    • /
    • pp.457-466
    • /
    • 1997
  • The effects of DFMO or/and putrescine on the dexamethasone-induced apoptosis of CEM cells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olyamines in anti-leukemic glucocorticoid action. Dexamethasone- induced apoptosis was preceded by significant decreases of cellular polyamine contents and putrescine uptake activity. But DFMO produced decreases of putrescine and spermidine contents and marked increase of putrescine uptake activity, but did not induce apoptosis. However, dexamethasone and DFMO, respectively, induced $G_1-arrest$ in cell cycle and hypophosphorylation of pRb,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G_1$ to S ratio and decrease of CEM cell count. DFMO enhanced the dexamethasone-induced apoptosis and $G_1-arrest$. On the other hand, putrescine little affected the apoptotic and $G_1-arresting$ activities of dexamethasone, but almost suppress the effects of DFMO and also the DFMO-dependent enhancement of dexamethasone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xamethasone-induced apoptosis to be associated with pRb hypophosphorylation and $G_1-arrest$ in CEM cells might be ascribed to the concomitant decreases of cellular polyamine contents and putrescine uptake activity.

  • PDF

The Stimulation of Arginine Decarboxylase Activity by alpha-Difluoromethyl$ Ornithine in Tobacco Suspension Cultured Cells

  • Lee, Sun-Hi;Kim, Yong-Bum;Lee, Myeong-Min;Park, Ki-You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2호
    • /
    • pp.107-112
    • /
    • 1996
  • To study the compensatory aspect of putrescine biosynthetic enzyme n tobacco suspension cultured cells, we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cellular polyamines and the activities of arginine decarboxylase (ADC, EC 4.1.1.19) and ornithine decarboxylase (ODC, EC 4.1.1.17) in the tobacco suspension cells treated with $\alpha$-difluoromethyl arginine (DFMA) or $\alpha$-difluoromethyl ornithine (DFMO). In the untreated cells, the content of the cellular putrescine was decreased during the first 3 hours and then subsequently increased. However, the content of the cellular spermidine and spermine remained constant during the incubation time. While ADC activity increased after 6 hours, ODC activity decreased following the rapid increase until 6 hours. DFMA induced the decrease in the contents of putrescine and spermidine, and the increase in that of spermine. It also caused the inhibition of ADC and ODC activities throughout the incubation time. DFMO produced the stimulation of ADC activity about 2 times of untreated cells and the decrease in the content of putrescine about 50% of them at 12 hour. The application of putrescine or cycloheximide prevented the increase of ADC activity by DFMO but that of actinomycin-D did not show any detectable effect. The stimulation of ADC activity by DFMO in tobacco suspension cultured cells was probably due to the enhancement of de novo synthesis for ADC protein, which might be regulated in the translation step by the content of the cellular putrescine.

  • PDF

생쥐 대식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과 종양 치사활성에 미치는 Polyamine 생합성 억제의 영향 (Effect of Polyamine Biosynthesis InhibItion on the Microbicidai and Jumoriddal Activities in Mouse Macrophage)

  • 이준백;정노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3-180
    • /
    • 1991
  • 생쥐 대식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과 종양 치사활성에 미치는 Polyamine 생합성 억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ornithine의 억제제인 $\alpha$ -Difluoromethylomithine (DFMO)과 S-adenosylmethionine decarboxylase의 억제제인 methylhlyoxal bis(guanylhydrazone)(MGBG)을 in vitro 또는 in vivo에서 처리하였다. 대시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의 지표로서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과 nitroblue tetrazolium(NBT)의 환원정도를 측정한 결과, 염증유발물질인 thioglycollate(TG)와 세균이 세포내 독소인 liopopolysac- charide(LPS)를 주사하였거나 BCG를 감염시킨 후 측정된 화학 발광의 수준은 TG, LPS, BCG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런 화학발생의 수준은 DFMO를 경구투여 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감소하였고, 이 세포에 의한 NBT 환원정도 또한 DFMO와 MGBG의 in vitro 처리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한편 BDG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의 종양 괴사인자분비에 의한 종양치사 및 종양세포와의 부착에 의한 직접적 치사정도를 측정한 결과, polyamine생합성억제제의 처리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그 정도는 감소하였지만, 외부에서 polyamine인 putrescene을 처리 하였을 때 회복되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대식세포내의 polyamine 생합성은 이 세포의 최적 활성화와 과정에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examethasone에 의한 생쥐 흉선의 Apoptosis에서 Polyamine의 역할 (Inhibitory Role of Polyamines in Dexamethasone-induced Apoptosis of Mouse Thymocytes)

  • 최상현;김용훈;홍기현;신경호;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3-123
    • /
    • 1996
  • 세포내 polyamine은 DNA 구조 뿐 아니라 전사과정, 세포의 성장, 분화, 및 증식 등에 간여하는 바, 배양 흉선세포의 apoptosis 을 억제한다고 한다. 따라서 dexamethasone에 의한 생쥐 흉선세포의 apoptosis 반응에 대한 polyamine의 억제작용을, polyamine 생성과 대사억제제들로 처치한 흉선세포의 일차배양실험에서 관찰하여, 그 결과를 A23187과 DHEA의 작용과 비교하였다. 1) 흉선세포 생존율이 dexamethasone, DHEA, A23187, DFMO, MGBG들에 의하여 직접 현저히 억제되며, aminoguanidine, putrescine, spermidine, 및 spermine들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흉선세포 DNA의 분절화가 dexamethasone과 A2318T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강되어 있으며 DHEA에 의하여도 다소 증가되었으나, DFMO, MGBG, aminoguanidine, putrescine, spermidine, 및 spermine들에 의하여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Dexamethasone에 의한 흉선세포의 apoptosis는 DHEA에 의하여 억제된 반면, DFMO, MGBG, 및 aminoguanidine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Spermine은 dexamethasone과 A23187에 의한 세포생존율 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A23187에 의한 세포생존율 감소는 putrescine과 spermidine에 의하여도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4) DFMO 및 MGBG에 의한 흉선세포 생존율 감소는 spermine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putrescine과 spermidine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5) Dexamethasone을 DFMO 또는 MGBG와 병합처치하여 나타나는 흉선세포 생존율 감소는 각각 spermine과 putrescine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나, aminoguanidine 또는 DHEA와 dexamethasone의 병합처치에 의한 생존율 감소는 polyamine 전처치에 의해 감소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polyamine이 흉선세포의 apoptosis 반응을 억제할 수 있고, 이같은 억제효과의일부가 $[Ca^{2+}]_i$ 증가에 관련되는 신호전달과정과 연관될 뿐 아니라, 세포막의 polyamine transporter를 통한 polyamine 섭취가 이들의 생합성 또는 유리기능과 함께 세포내 polyamine 함량을 조정하므로, 흉선세포의 apoptosis에 억제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뇌허혈 손상에 있어서 해마-세포외액내 Glutamate와 Polyamine 농도의 변동에 관한 연구 (Changes of Glutamate and Polyamine Levels of Hippocampal Microdialysates in Response to Occlusion of Both Carotid Arteries in Mongolian Gerbils)

  • 신경호;김형건;최상현;조소현;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3-289
    • /
    • 1994
  • 뇌-허혈후 나타나는 신경세포의 손상에 glutamate의 과다한 유리와 그의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 calcium 통로 활성작용 및 polyamine중 putrescine의 증가로 인한 신경세포내 $[Ca^{2+}]$의 상승과 관련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ngolian gerbil에서 5분간 경동맥을 차단하여 뇌-허혈을 가한후 재관류시 해마의 세포외액내 polyamine, glutamate, acetylcholine농도, 해마의 $[^3H]MK-801$ 결합능의 변동 및 해마조직소견의 변동에 미치는 비가역성 ornithine decarboxylase (ODC) 억제제인 difluoromethylornithine (DFMO), diamine oxidase (DAO) 억제제인 aminoguanidine (AG), NMDA 수용체 길항제인 MK-801 및 calcium 통로 차단제인 nimodipine (NM)의 효과를 비교-검색하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polyamine, glutamate 및 acetylcholine은 microdialysis probe를 해마의 CA1부위에 위치시킨 후 나온 분취액을 HPLC와 lumin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해마조직에서 신경세포의 손상은 cresyl-violet 염색법으로 관찰하였다. 허혈후 해마 세포외액내 putrescine농도는 5분이내에 급속히 증가하여 뇌-허혈후 96시간까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AG과 MK-801 처치시 saline 처치군에 비하여 증가정도가 상승되었으나 NM과 DFMO 처치로 putrescine의 증가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glutamate의 농도는 허혈후 5분 이내에 9배이상 유의하게 증가한 후 급격히 감소되어 25분후에는 정상치로 회복되었으나, 이같은 변동은 AG, DFMO 및 MK-801 처치로 영향을 받지 않았고 NM 처치로는 glutamate의 증가가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acetylcholine 농도는 허혈에 의하여 큰변동이 없었으나 허혈전 acetylcholine농도는 DFMO나 MK-801처치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synaptosome막의 $[^3H]MK-801$ 결합능은 saline 처치군에 비하여 AG과 MK-801 처치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해마의 조직소견상 AG과 NM은 허혈후의 신경세포손상을 억제하고, MK-801은 손상의 예방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DFMO는 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NM과 다른기전으로 AG은 해마신경세포의 손상을 NMDA-수용체: calcium 통로의 활성화를 조절하여 허혈성 뇌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포플라 잎절편의 부정아 분화에 미치는 Polyamine의 영향 (Effects of Polyamines on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from Populus Leaf Segments)

  • 김성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1호
    • /
    • pp.17-23
    • /
    • 1992
  • Polyamine과 polyamine의 생합성 억제제가 포플라(Populus nigra var. $betulifolia{\times}Populus$ trichocarpa) 잎절편의 부정아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olyamine의 생합성 억제 물질인 DFMA, DFMO 및 DCHA를 배지에 각각 1m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포플라 잎절편의 생중량 감소와 함께 부정아의 분화율이 감소하였고 부정아의 분화되는 시기도 지연되었다. 특히, 부정아 분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DCHA가 가장 강하였으며 그 다음 DFMO, DFMA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polyamine 생합성 억제제에 의한 부정아의 분화 억제 현상이 polyamine의 처리에 의하여 경감 내지는 상쇄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spermidine이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polyamine, 특히 spermidine은 포플라 잎절편의 부정아 분화시 하나의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of the Growth Inhibition by Alpha-Difluoromethylornithin and Hydroxytamoxifen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 Kim, Byeong-Gee;Seok, Sorah;Lee, Kyeong-Hee;Lee, Ji-Young;Park, Won-Hyuc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22-26
    • /
    • 2001
  • In estrogen-dependent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E_2$ at 10 nM stimulated cell proliferation to over 200%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EGF and TGF${\alpha}$, which are known as the autocrine/paracrine growth factors induced by $E_2$, also directly stimulated the cell growth in almost as the same extent as $E_2$. DFMO which is the specific inhibitor of ODC could inhibit cell growth even at as low as 0.5 mM. In the treatment with 1 mM DFMO for 4 days, the cell growth was inhibited to 38% of the control. HO-TAM at 1 ${\mu}$M could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MCF-7 cells to 19% of the control. Those inhibitory effects were also found in the cells stimulated with $E_2$, EGF, and TGF${\alpha}$. The inhibitory effects were found even in 2 days of treatment. However, $E_2$, EGF, and TGF${\alpha}$ did not give any effect in the protein synthesis. Neither DFMO or HO-TAM gave any effect on the total protein synthesis. But the pattern of protein secretion was noticeably influenced by the growth stimulants or inhibitors. Proteins of 160, 52, 42, 36, and 32 kDa belonged to the major secretory proteins. Especially, 42 and 36 kDa proteins were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reatment of $E_2$, EGF, or TGF$\alpha$. DFMO and HO-TAM inhibited the secretion of these major proteins.

  • PDF

뇌허혈 손상에 있어서 Polyamine 대사의 변동이 해마신경세포의 지연성괴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Changes of Polyamine Metabolism and Delayed Neuronal Degeneration of Hippocampus after Transient Cerebral Ischemia in Mongolian Gerbils)

  • 신경호;신화정;이영재;김형건;최상현;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3-334
    • /
    • 1996
  • 웅성 모래쥐의 양경동맥을 7분간 폐쇄하여(OBC7) 뇌의 허혈을 유발하여, 해마의 microdialysate내 polyamine 함량과 조직내 polyamine 생합성효소(ornithine decarboxylase: ODC와 S-adenosylmethionine decarboxylase: SAM-DC)의 활성도를 분석하고, 해마의 cresyl violet(CV) 염색과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GFAP) 면역염색소견들을 관찰하여, 허혈성 해마의 신경손상과 polyamine대사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1) OBC부하 후, 해마의 dialysate내 polyamine 변동에서, putrescine(PT)은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spermidine과 spermine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이에 해마조직내 ODC활성의 현저한 상승과 SAM-DC활성도의 유의한 저학 동반되었다. 2) Difluoromethylornithine(DFMO)는 OBC에 의한 PT증가와 ODC활성도 상승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나,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MGBG)는 각각 다소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3) OBC부하 7일후에 관찰한 조직소견에서, 해마의 CA1 부위의 유의한 신경손상이 유도되었으나 CA3와 dentate gyrus 부위에는 미약한 손상만 보였으며, GFAP 양성반응도 CA1 부위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같은 소견들은 DFMO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MGBG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성적들은 해마 polyamine의 과도한 허혈성 증가가 허혈성 신경손상에 관여할 수 있으나, 한편으로 polyamine대사의 과도한 억제도 허혈성 신경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허혈성뇌손상에 대한 MGBG의 보호작용은 polyamine 대사보다는 다른 작용에 매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가장 많았고 습진과 소양증이 각각 19.5%였다. 30대 환자군에서는 습진이 30.3%였고 소양증이 19.1%였다. 40대에서는 소양증이 28.8%였고 지루성 피부염이 16.0%였다. 50대에서는 습진이 26.7%였고 60세 이상의 그룹에서는 습진이 50.0%, 바이러스 질환과 소양증이 각각 15.0%였다. 이들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74.995^{**}$, p = .001, df : 40). 결론 : 상대적으로 50세 이상 연령충의 대상 환자 수가 많지 않은 원인은 여리 가지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령에 따라 피부질환이 다른 양상을 보임을 고려할 때 노인층의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효과적이고 사회-경제학적 부담을 최소할 수 있는 한방 치료 영역의 확대 및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려된다.주식 및 후식의 선호도에 남녀 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단체급식을 위한 식단 작성 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 교육을 실시할 때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신생활 교정프로그램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은 대조군에 비해 발아에 의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증가되었지만, MCF-7와 Caco-2에 대한 항암효과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것으로 사료된다.높게 인식할수록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 급식소 운영주체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결과 향후 대학교 급식소를 운영하는 위탁급식 전문업체의 경우 그들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홍보전략이 절실히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최근고객감소로 인하여 다양한 급식운영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단체급식 운영자들은 재방문 및 추천의도의 선행요건이 급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임을 명심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급식서비스 품질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