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CFH-DA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3초

흰쥐 태아 중뇌 배양세포에서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의 독성: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를 이용한 연구

  • 김율아;조용준;김용식;김영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217-224
    • /
    • 1993
  •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 is a well-known dopamine neuron-specific toxin. But the involvement of oxidative damage in the pathogenesis of MPTP-induced parkinsonism is still uncertain. In this study, by using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DCFH-DA) that detects intracellular oxidative processes, the effect of MPTP on dichlorofluorescein fluorescence in dissociated cells from fetal rat mesencephalon in culture was investigated. At 7th day in culture, cells were loaded with DCFH-DA, and exposed to 1 mM MPTP or MPP+. MPTP induced dichlorofluorescein-fluorescence which was peaked at 3 min and mostly faded away 30 min after MPTP treatment.

  • PDF

Inhibition of Oxidative Damage by Phlorotannins from Ecklonia cava in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 Kim, Moon-Moo;Rajapakseb, Niranjan;Kim, Se-Kwon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6-135
    • /
    • 2006
  • Phloroglucinol 단위체로 구성된 Oligomeric polyphenol인 Phlorotannins을 갈조류의 일종인 감태(Ecklonia cava)의 메탄올 추출물의 용매 분획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감태추출물의 용매분획으로부터 Phlorotannins의 억제효능을 주름형성과 연관성이 있는 사람피부섬유아세포(HDFs)에서 조사되었다. ESR spectroscopy 분석에서, 감태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 부터의 Phlorotannins에서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및 Alkyl radical에 대하여 가장 높은 소거효능이 나타났다.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DCFH-DA)와 Diphenyl-1-pyrenylphosphine (DPPP)을 이용하여 세포내에서 활성산소종 및 지질과산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감태의 다른 용매 분획과 비교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분획으로 부터의 Pphlorotannins의 존재에서 이들수준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P < 0.01). 더욱이, Phlorotannins은 세포내의 Glutathione (GSH) 함량도 시간에 따라 증가시켰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들은 감태의 Phlorotannins이 산화적 스트레스와 연관성이 있는 주름형성 같은 여러가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잠재적인 효능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 PDF

DCFH-DA를 이용한 항산화제의 세포내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The anti-oxidative stress effect of antioxidants in the cell using DCFH-DA)

  • 유영근;신미희;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2-57
    • /
    • 2002
  • 본 연구는 널리 알려져 있는 항산화제들의 세포 수준에서의 anti-oxidative stress 효과 및 그 기작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에 사용한 항산화제로는 지용성인 retinol, $\alpha$-tocopherol, propyl gallate(PG) 및 butylated hydroxy toluene(BHT)과 수용성인 ascorbic acid, $\alpha$-glucosyl rutin 및 green tea extract를 사용하였으며 이들 항산화제들의 시간별 세포 생존율을 NR assay 로 측정한 후 적정 농도에서 DCFH-DA(2', 7'-dichlorofluorescin-diacetate) 를 이용하여 항산화제들의 anti-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항산화제의 항산화 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NBT(Nitro-blue-tetrazolium) 및 DPPH(Diphenyl-picry-hydrazl)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Anti-oxidative stress 실험에서 지용성 항산화제들은 전반적으로 수용성 항산화제에 비하여 세포에 대한 독성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retinol 의 경우에는 0.01%에서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관할할 수 있었으며 1 시간경과 후 측정시 53.1%의 억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PG 의 경우에는 0.1%에서 2 시간 경과 후 측정시 50%의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수용성 항산화제인 green tea extract 및 $\alpha$-glucosyl rutin의 경우에는 1%에서 1시간 경과 후 측정시 각 각 51.6% 및 69.7%의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처리 후 자외선 조사시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의 경우 수용성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alpha$-glucosyl rutin 및 green tea extract 와 지용성 항산화제 중에서는 $\delta$-tocopherol 에서만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으나 자외선을 조사 하지 않았을 때 보다 약 20%-40%까지 억제 효과가 감소되었다. 그리고 PG 및 retinol 의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시 독성이 증가하여 oxidative stress 억제 효과를 측정할 수 없었다. NBT실험에서 $\alpha$-glucosyl rutin, $\alpha$-tocopherol 및 PG 1%에서 70%이상의 superoxide anion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DPPH 실험에서는 ascorbic acid 와 PG 1%에서 98%의 hydroxyl radical 생성 억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BHT 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세포 수준에서의 oxidative stress 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수용성 항산화제들에서 두드러진 효과를 보여 주었다.

A study on the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LPS of the Arthrospira platensis ethanol extract

  • Zhang, Shi Jie;Yang, Jae-Chan;Kim, Bo-Ae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66-974
    • /
    • 2019
  • Arthrospira platensis has been reported to contain a variety of substances such as phycocyanin, ${\beta}$-carotene, vitamin E and other carotenoids. In this study, zebrafish were treated with indoor cultivation spirulina ethanol extracts(ICAE) to determine toxicity(coagulation rate, hatching rate, heart rate). We used the DCFH-DA staining method to detect the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ROS) generation on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zebrafish embryos ROS various concentrations(0.01, 0.05, 0.1, 0.5mg/ml) of ICAE. Cell toxicity was measured by WST-1 assay on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 Also, measured the inhibitory effect of nitric oxide(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induced by LPS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ICAE. The results of embryo coagulation rate, hatching rate, heart rate of zebrafish at various(0.01, 0.05, 0.1mg/ml) of ICAE was no toxicity. The ICAE treated group had an inhibitory effect on NO and $PGE_2$ production compared and decreased with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thanol extract of Arthrospira platensis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and suggest that is worthy of use cosmetics for skin protection.

홍삼추출물이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 Hydrogen Peroxid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 Ginseng Extracts on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of Murine Prtitoneal Macrophages)

  • 박란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7-113
    • /
    • 1998
  • 홍삼의 추출물인 50% ethanol extract, crude saponin, 그리고 lipid soluble fraction이 마우스 대식세포의 oxidative burst를 유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in vitro와 in vivo에 각각의 추출물을 처치하고 hydrogen peroxide 생산을 DCFH-DA를 이용한 형광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형광분광법에 의한 hydrogen peroxide의 측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DCFH-DA의 농도는 3.2$mu extrm{m}$이었고, oxidative burst를 유도하기 위한 zymosan A, PNA의 최적 농도는 각각 100$\mu\textrm{g}$, 250'기호'를 사용하였다. In vitro의 경우, 홍삼의 3가지 추출물은 모두 oxidative burst를 유발하지 못하였지만, zymosan A로 유발한 경우에는 50% ethanol extract에서 가장 높은 hydrogen peroxide를 생산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는, lipid soluble extract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한(P<0.01) oxidative burst를 유발하였고, ginsenoside(saponin)가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 50% ethanol extract와 crude saponin은 대조군에 배하여 유의하게 낮은(P<0.05) hydrogen peroxide를 생산하였다. 이는 ginsenoside가 마우스의 nitric oxide 생산을 억제한다는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Oxidative burst를 유발한 lipid soluble extract에는 phenol계 화합물, polyactylence계 화합물, 미량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차후 연구를 통하여 과연 어느 성분이 hydrogen peroxide를 증가시키는지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ntioxidant Activities of Steamed Extract from Squid (Todarodes pacificus) Muscle

  • Lee, Woo-Shin;Kim, Yong-Tae;Byun, Hee-G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27-13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urify antioxidant substances from steamed squid extract (SSE). The yield of SSE was 8% by dry weight. The approximate compositions of SSE proteins, lipids, moisture, carbohydrate and ash were 64.95%, 1.69%, 7.23%, 4.44% and 21.69%, respectively. The major amino acids in SSE were taurine (29.17%), glycine (20.33%), alanine (12.51%), and glutamic acid (9.83%).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ich was measured as 24.7% at 1.0 mg/mL. Four SSE fractions were isolated by Sephadex G-25 gel chromatography; the F2 fraction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F2 fraction was separated by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using an octadecylsilane (ODS) column, yielding a purified antioxidant substance with a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64.41% at 1.0 mg/mL, representing a 2.64-fold increase in the scavenging activity of SSE purified by the 3-step procedure. The amino acid compositions showed that purified SSE was rich in taurine, glycine, glutamic acid and alanine. The purified SSE significantly elevated 2',7'-dichlorodihydrofluororescein diacetate (DCFH-DA) fluorescence probe, which confirms its effectiv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in cellular ROS. In addition, the SSE significantly inhibited oxidative damage of purified genomic DN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urified antioxidant substance from SSE can be used as a potential natural compound-based antioxidant in the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UVB 로부터 ROS를 유도한 제브라피쉬에 스피룰리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보호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protective effects of Arthrospira platensis ethanol extracts on zebrafish ROS Induced by UVB Induction)

  • 장덕영;한영석;양재찬;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23-432
    • /
    • 2018
  • 스피룰리나는 지구상의 가장 오래된 조류중 하나이며 피코시아닌, 토코페롤, 베타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어 노화를 방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배방법이 다른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의 UVB로 유도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저해와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실내배양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ICAE)과 야외배양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OCAE) 0.1, 0.5, $1mg/m{\ell}$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UVB로 유도된 ROS의 저해 효과는 제브라피쉬 배아와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ICAE와 OCAE 0, 0.01, 0.05, 0.1, 0.5, $1mg/m{\ell}$을 제브라피쉬 배아와 HaCaT 세포에 처리하고 UVB로 ROS를 유도하였고 DCFH-DA로 염색하여 세포내 ROS의 양을 검출하였다.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73%, SOD 유사 활성은 86%로 나타났다. ICAE와 OCAE $1mg/m{\ell}$의 농도에서 각각 43, 57%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20, 19%의 SOD 유사 활성을 나타내어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보다 낮았지만 유의적인 항산화효과가 있었다. UVB로 유도된 제브라피쉬 배아와 HaCaT 세포의 ROS가 음성대조군보다 증가하였고, ICAE와 OCAE 처리된 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UVB만 조사된 양성대조군 보다 ROS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피룰리나 에탄올추출물이 피부보호용 화장품 소재로 사용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건조 마 추출물의 항산화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Effects of Extracts from Dried Yam on Antioxidant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 장주리;황성연;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365-13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마를 건조 후 분말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건조 마 분말에 대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로 건조된 마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마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H_2O_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인체 암세포(HT1080 인체 섬유육종세포, HT-29 인체 결장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마는 항비만, 항변비, 항돌연변이, 혈당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활성이 있어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H_2O_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저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CFH-DA assay를 행하였다. 건조 마 A+M 추출물을 농도별로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억제시켰다. 각 분획물들 중 85% aq. MeOH 분획물은 다른 분획물과 비교하여 높은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인체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실험에서 A+M 및 MeOH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인체 섬유육종 및 결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마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n-hexane, 85% aq. MeOH 및 n-butanol (n-BuOH) 분획물들은 첨가농도 0.5 mg/ml 이상 처리했을 때 이들 두 암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로 부터 건조 마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마의 A+M 추출물이 MeOH 추출물에 비해 높았고, 분획물들의 경우에는 water 분획물을 제외한 분획물들의 암세포 억제 효과가 높았다. 특히 85% aq. MeOH 분획물은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뿐만 아니라 세포 내 활성산소종 감소시키는 효과가 높아 이들 분획물에 활성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H_2O_2$에 의한 결막 세포주의 세포고사에서 녹차추출물 EGCG의 보호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EGCG Extracted from Green Tea on Apoptosis Induced by$H_2O_2$ in Conjunctival Cell Lines)

  • 박수경;채수철;고은경;유근창;김재민;나명석;이종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95-101
    • /
    • 2008
  • 목적: 활성산소종의 하나인 $H_2O_2$는 DNA, RNA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어 유전자를 변형시키고 세포고사를 일으켜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발병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결막 세포주에서 일어나는 $H_2O_2$에 의한 세포고사에서 EGCG의 보호효과를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방법: 세포의 생존율은 MTT assay로 확인하였고, 세포고사의 형태적인 특징은 DNA 단절화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EGCG의 자유라디칼 제거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실시하고, 세포내 활성산소량의 평가를 위한 DCFH-DA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내의 mRNA 발현은 RTPCR을 시행하여 밴드 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세포생존율과 프리라디칼 소거능은 EGCG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DNA 분절화와 세포내 활성산소량은 감소하였다. mRNA 합성에서 bcl-2, bcl-xL의 발현은 증가하였고, bax 발현은 감소되었다. 결론: EGCG는 $H_2O_2$로 세포고사를 유도한 결막 세포주에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EGCG가 anti-apoptosis 관련한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켜 결막 세포주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함으로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짝잎모자반(Sargassum hemiphyllum)의 암세포주 증식 억제 및 항산화 효과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hemiphyllum on Inhibition of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and Antioxidant Activity)

  • 최형주;서영완;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33-153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에 속하는 짝잎모자반을 용매별로 추출하여 인체 위암 및 결장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및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A+M) 및 methanol 추출물(MeOH)을 인체 위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였고(P<0.05), MeOH 추출물의 경우 인체 결장암 세포에 비해 위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가 높았다. 분획물들인 hexane, BuOH, 85% MeOH, water 분획물을 5 mg/ml의 농도로 인체 위암 및 결장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암세포의 성장을 크게 억제시켰으며(P<0.05) 위암세포와 비교해 볼 때 결장암 세포에서 보다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 A+M 추출물 및 MeOH 추출물과 각 분획물들을 10mg/ml의 농도로 HT-1080 섬유육종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A+M 추출물과 MeOH 추출물 처리군은 blank군과 control군과 비교하였을 때, 측정 시간 120분 동안 계속적으로 높은 세포내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능력을 나타내었으며(p<0.05), BuOH 및 hexane 분획물들을 처리한 경우에서는 A+M 추출물과 MeOH 추출물 처리군들보다는 다소 낮은 활성을 나타내지만, control군에 비해 지질 과산화물의 증가율이 현저히 낮았음을 관찰할 수 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짝잎모자반의 추출물 및 각 분회물들은 인체 암세포의 증식을 크게 억제하였으며 지질 과산화물 생성을 억제시켜 우수한 산화 방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