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BH class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수간곡선식 개발과 국가탄소배출계수를 이용한 졸참나무의 탄소저장량 추정 (Estimation of Carbon Stock by Development of Stem Taper Equation and Carbon Emission Factors for Quercus serrata)

  • 강진택;손영모;전주현;유병오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57-36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carbon stocks of Quercus serrata with drawing volume of trees in each tree height and DBH applying the suitable stem taper equation and tree specific carbon emission factors, using collected growth data from all over the country. Information on distribution area, tree number per hectare, tree volume and volume stocks were obtained from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2006~2010), and method provided in IPCC GPG was applied to estimate carbon storage and removals. Performance in predicting stem diameter at a specific point along a stem in Quercus serrata by applying Kozak's model,$d=a_1DBH^{a_2}a_3^{DBH}X^{b_1Z^2+b_2ln(Z+0.001)+b_3{\sqrt{Z}}+b_4e^Z+b_5({\frac{DBH}{H}})}$, which is well known equation in stem taper estimation, was evaluated with validations statistics, Fitness Index, Bias and Standard Error of Bias. Consequently, Kozak's model turned out to be suitable in all validations statistics. Stem volume tables of Quercus serrata were derived by applying Kozak's model and carbon stock tables in each tree height and DBH were developed with country-specific carbon emission factors ($WD=0.65t/m^3$, BEF=1.55, R=0.43) of Quercus serrata. As a result of carbon stock analysis by age class in Quercus serrata, carbon stocks of IV age class (11,358 ha, 36.5%) and V age class (10,432; 33.5%) which take up the largest area in distribution of age class were 957,000 tC and 1,312,000 tC. Total carbon stocks of Quercus serrata were 3,191,000 tC which is 3% compared with total percentage of broad-leaved forest and carbon sequestration per hectare(ha) was 3.8 tC/ha/yr, $13.9tCO_2/ha/yr$, respectively.

Analysis on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ats (Chiropter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 Yoon, Kwang Bae;Lim, Sang Jin;Park, Yung Ch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4호
    • /
    • pp.377-383
    • /
    • 2016
  • We obtained a total of 36 GPS coordinates of the seven bat species of Rhinolophus ferrumequinum, Myotis ikonnikovi, M. nattereri, M. petax, Murina ussuriensis, Plecotus auritus, and Pipistrellus abramus. Characteristics of forests (forest type, age class, DBH class and crown density), terrain (aspect, slope and distance from mountain stream) and disturbance factors (distance from human residential areas and distance from cultivated areas) that bats have used as their habitats were revealed from the GIS analysis based on GPS coordinates of the 36 positions that bats were found. The bats-preferred forest type is broad-leaf forests (43%) with the trees of the 2th (31%) and 5th (31%) age class, the trees of sapling (36%) and large DBH class (31%), and sparse crown density (67%). Bats prefer the slop direction of the east (39%), the gradient below $15^{\circ}$ (61%), the ranges within 200 m from the mountain streams (92%), the ranges within 200 m near roads (89%), the ranges of 200-400 m from human residential areas (28%), and the ranges within 200 m from cultivated areas (36%).

우리나라 주요수종의 Allometry와 개체목 흉고단면적 생장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llometry and Individual Basal Area Growth Model for Major Species in Korea)

  • 최정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47-54
    • /
    • 2011
  • Allometry and basal area equations were developed with various tree measurement variables for the major species;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in Korea. For allometry models, th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height-DBH, crown width-DBH, height to the widest portion of the crown-total height, and height to base of crown-total height were investigate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were used to relate annual basal area growth to tree variables of initial size (DBH, total height, and crown width), relative size (relative diameter and relative height) as well as competition measures (competition index, crown class, and live crown ratio).

Lorenz곡선(曲線)에 근거(根據)한 임분구조지수추정(林分構造指數推定) (Estimating the Stand Structure Index Based on Lorenz Curve)

  • 이우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158-16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임분구조의 다양성 또는 동질성을 계량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인접목과의 직경비율에 의해 임분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Gadow의 직경차이율을 소개하였고, 직경급별 본수비율과 단면적 또는 재적비율에 의해 형성되는 Lorenz곡선형태로 부터 임분구조의 다양성지수를 유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Lorenz곡선원리에 의한 횡적 임분구조지수는 Gadow의 직경차이율과 마찬가지로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임분구조가 다양할수록 1에 접근하는 특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Lorenz곡선원리에 의한 횡적 임분구조지수를 Gadow의 직경차이율과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형적 임분구조지수는 Gadow의 직경차이율과 비슷하게 임분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항공사진(航空寫眞)에 의한 잣나무 임분구조(林分構造)의 추정(推定)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Korean Pine(Pinus koraiensis) Stand Structure by Aerial Photographs)

  • 윤종화;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437-446
    • /
    • 1995
  • 본 논문은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부속 연습림의 잣나무림(林)(I~V 영급(齡級))을 대상으로 현지조사 자료와 항공사진(航空寫眞) 측정자료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영급별 흉고직경의 변동계수(變動係數), Weibull분포(分布)에 의한 ha당 본수 및 재적 등의 임분구조(林分構造)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진측정 수관직경으로 부터 흉고직경을 구하고 이를 단면적(斷面積) 평균목직경(平均木直徑)으로 변환하여 산출한 영급별 평균 흉고직경의 변동계수(變動係數)는 I영급 28.88%, II영급 24.13%, III영급 23.29%, IV영급 20.17% 및 V영급 18.79%이며, 2) Weibull분포에 의한 영급별(齡級別) ha당 본수(本數)는 I영급 2,875본, II영급 2,100본, III영급 1,875본, IV영급 800본 및 V영급(齡級) 325본으로 3) 영급별 ha당 재적(材積)은 I영급 $22.9m^3/ha$, II영급 $66.8m^3/ha$, III영급 $101.3m^3/ha$, IV영급 $209.6m^3/ha$ 및 V영급 $266.8m^3/ha$으로 추정되었다. 4) 따라서 임분구조 추정에 효과적으로 항공사진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비탈면에 파종된 붉나무(Rhus javanica) 개체군의 생육 및 공간분포 특성 - 용인 대지산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 (Growth an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hus javanica Populations Sowed on Cut-Slopes - Focusing on the Dae-Ji Mountain Case Study -)

  • 임채영;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9-49
    • /
    • 2015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rowth an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hus javanica popul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2015 January and July at the cut-slope revegetation site in Dae-Ji Mountain. Seeds of native species were sowed on the disturbed cut-slope in 2002. There were 119 vascular plant species 55 families and 94 genera on the cut-slope. Compositae, Rosaceae, and Leguminosae plants were dominant species, which are pioneer species in dry and barren site. Canopy of trees covered 44.1% total area, which was 8.3% increase from 2008. Rhus javanica, main species, dominated all DBH classes except DBH >24cm. Albizzia julibrissin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6~17cm DBH class and Salix koreensis was abundant at >12cm. Elaeagnus umbellata, Corylus heterophylla var. heterophylla, Alnus sibirica, and Acer pictum were not observed. Rhus javanica popul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on the south facing cut-slope. The average DBH of Rhus javanica was $7.3({\pm}3.7)cm$ and the average height of them was $5.2({\pm}1.7)m$. Annual average DBH growth was 7.9mm/yr and the maximum growth(12.0mm/yr) was the $3^{rd}$ year. It decreased after $6^{th}$ years. Although Rhus javanica population in the Dae-Ji Mountain was a seed originated plantation, the forest had reverse J shape diameter frequency distribution. It indicated that the forest is uneven-aged forest. The Rhus javanica population was expected to sustain.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 임분의 구조 및 천연 갱신 (Stand Structure and Seedling Recruitment of Abies holophylla Stands in Yong-In Area, Gyeonggi)

  • 박필선;전윤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153-162
    • /
    • 2010
  •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임분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 지역 전나무 임분의 지속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용인시의 정수리, 대대리, 호동 지역 전나무 임분에서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관목층의 구조와 치수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산림 관리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정수리와 대대리 임분에서 전나무는 중요도 40%로 임분을 우점하고 있었으며, 연속적인 연령과 직경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호동 지역 임분은 간벌과 택벌 등의 산림 작업이 이루어졌던 지역으로 전나무가 흉고직경 10-45 cm 범위에 분포하나 대부분 25-30 cm 직경급에 몰려 있고, 단일수관층을 가지고 있었다. 전나무의 연령과 흉고직경의 상관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긴 하였으나 높지 않았고($R^2$=0.2, P=0.03), 비슷한 연령대라도 다양한 흉고직경 값을 가졌다. 정수리 임분의 연속적인 직경 분포와 다층수관구조는 전나무가 조림 후 지속적으로 갱신이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주었다. 전나무의 치수는 ha당 2000-33000본까지 발생하였으나, 2-5 cm 직경급의 전나무는 ha당 70-150본 정도로 치수 단계에서 유령목으로 자라나는 동안의 생존율은 낮았다. 지속적인 천연갱신과 연간 약 0.6 cm의 직경생장율은 조사 지역의 환경이 전나무 서식에 비교적 적합한 지역임을 나타낸다. 또한 전나무 임분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여 내음성 수종인 전나무를 대상으로 한 택벌림 경영의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울릉도 자생 우산고로쇠나무의 수액채취와 주요성분 (Sap Collection and Major Components of Acer okamotoanum Nakai Native in Ullungdo)

  • 문현식;권수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9-254
    • /
    • 2004
  • 우리나라의 을릉도에 자생하고 있는 우산고로쇠나무를 대상으로 흉고직경급별 수액 채취량과 수액 내 성분을 분석하였다. 우산고로쇠나무의 총 수액채취량은 376l 이었으며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수액 채취량도 많았으며 총채취량에 대해 소 중 대경목이 각각18%, 32%, 50%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수액 채취량은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많은 양의 수액이 채취된 날의 기상조건은 일최고 최저기온의 온도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우산고로쇠나무 수액내의 고형분, 회분, 당도는 각각 3.04%, 0.06%, 3.06%로 나타났으며, 유리당은 자당 (30.6 g/l)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포도당, 과당, 맥아당은 검출되지 않았다. 우산고로쇠나무 수액은 총 7종의 무기성분중 칼슘 (522 mg/l)과 칼륨 (309 mg/l)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산 고로쇠나무의 수액 채취와 성분분석 (Sap Collection and Major Components of Acer mono in Mt. Jiri)

  • 문현식;박상범;권수덕;구자운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5호
    • /
    • pp.263-26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경남 하동지역 지리산에 자생하고 있는 고로쇠나무를 대상으로 흉고직경급별 수액채취량과 수액내 성분을 분석하였다. 고로쇠나무의 총 수액 채취량은 315L이었으며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수액 채취량도 많았으며 총 채취량에 대해 소·중·대경목이 각각 21%, 33%, 46%의 비율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수관폭 증가와 근계 발달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된다. 수액 채취량은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수액 채취량이 많은 날의 기상조건은 일최고·최저기온의 온도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고로쇠나무 수액내의 고형분, 회분, 당도는 각각 1.90%, 0.02%, 1.64%로 나타났으며, 유리당은 자당 함량이 16.4g/L로 검출되었으나 포도당, 과당, 맥아당은 검출되지 않았다 고로쇠나무 수액은 총 7종의 무기성분 중 Ca(548 ㎎/L)과 K(303㎎/L.)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제도(巨濟島) 자생(自生) 붉은고로쇠나무의 수액채취(樹液採取)와 주요성분(主要成分) (Sap Collection and Major Components of Acer mono for. rubripes Native in Geoje)

  • 문현식;권수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58-263
    • /
    • 2005
  • 경남 거제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붉은고로쇠나무의 흉고직경급에 따른 수액채취량과 성분을 분석하였다. 붉은고로쇠나무의 수액채취 가능기간은 17일간이었으며, 총수액채취량은 60본에서 193 l이었다. 총수액채취량에 대해 각 20본의 소 중 대경목이 각각 40 l(21%), 49 l(25%), 104 l(54%)가 채취되어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수액채취량이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수관폭과 근계발달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액채취량은 주야간의 온도격차가 클 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붉은고로쇠나무 수액의 pH, 고형분, 당도는 각각 6.5, 2.40%, 1.99%로 측정되었으며, 유리당은 자당 함량이 19.9 g/L가 검출되었으나 포도당, 과당, 맥아당은 검출되지 않았다. 붉은고로쇠나무 수액은 총 7종의 무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Ca과 Mg의 함량이 각각 441 mg/l 383 mg/l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