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B구축

Search Result 1,66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Alternatives Database Construction for a Efficient Levee Management (효율적 제방관리를 위한 DB구축 방안 연구)

  • Kang, Kyung-Seok;Lee, Kye-Yun;Park, Ki-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2-236
    • /
    • 2011
  • 우리나라의 물관련 정보는 국토해양부 및 관련 기관에서 구축 및 운영, 개발 중에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치수, 이수, 환경 및 생태분야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제방에 관련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며, 시스템 DB간의 상호 연계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제방에 대한 DB관리 및 향후 제방의 안전모니터링을 위해 정확하고 다양한 제방관련 DB구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방관련 DB구축을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방제원 및 관리정보의 DB구축을 위하여 국내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업인 하천일람의 "하천이력관리체계", 유역조사사업의 "WAMIS", 하천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RIMGIS"의 관련 자료를 분석한다. 기구축된 시스템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물관리정보 표준과 RIMGIS 관련코드를 적용한 도형 및 속성 정보의 테이블 설계를 수행하며, 기구축된 시스템의 제방관련 수집자료 DB 및 관련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제방제원 및 관리정보의 DB를 구축하도록 한다. 또한 향후 제방의 안전모니터링을 위한 관련항목을 포함하여 제방 유지 및 보수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제방관련 DB구축은 치수시설물 안전모니터링의 기초를 마련하여 홍수방어 및 관리시스템 구축에 활용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절감하고 기술수준을 향상시킴으로서 홍수 재해로부터 안전한 국토 건설 및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러한 제방관련 DB구축은 기구축된 시스템과 연계하여 국가 홍수관리 시스템 구축, 치수능력증대, 장래유역단위 통합홍수방어 및 관리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f Shoreline Surveying and DB Construction (해안선 조사 측량 및 DB구축 연구)

  • Kim, Byung-Guk;Lee, Jong-Ki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61-65
    • /
    • 2002
  • 오늘날 해안선은 육지와 바다의 경계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표면상에서 가장 독특한 공간 속성을 가지고 있는 해안선은 그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로 다양한 사용자와 공동체에게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국가적 관심부족으로 육상부문 지리정보에 비해 해안선부근 해역 및 육역에 대한 과학적 정보가 빈약하고 해안선 조사와 관련한 학술 및 기술적 기초조사 자료의 DB구축이 부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1년에 수행된 태안지역 해안선 조사 측량 및 DB구축 연구를 통해 앞으로 수행할 전국 해안선 조사 측량 및 DB구축의 기본계획을 수립하였고, 얻어진 데이터를 연안관리를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f Schema Mapping Technique for Efficient Establishment of Geospatial DB (지형DB의 효율적 구축을 위한 스키마매핑 기법 연구)

  • Kang, Joon-Mook;Park, Joon-Kyu;Jo, Hyeon-Wook;Lee, Cheol-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1
    • /
    • pp.1-7
    • /
    • 2008
  • The government is spending a large amount of budget to establish NGIS due to the import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study of schema mapping technique which can efficiently establish military topographic DB forest layer using digital forest map and other existing geospatial DB. In order to accomplish this each schema of these types of DB was analyzed then, mapping table which connects related attributes was created and finally, military topographical DB forest layer of the area of interest was efficiently established. This research was able to display solutions that resolved compatibility issues between existing geospatial DB of these types, established by the schema mapping techniques described in this research.

등대문화유산 분류체계와 DB구축 방안 -국립등대박물관을 중심으로-

  • Choe,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19-421
    • /
    • 2013
  • 이 글은 등대문화유산 분류체계와 DB구축 방안에 관한 기존의 법령과 제도를 기반으로 기존의 국립등대박물관의 등대문화유산 분류체계에 문화재관리 및 박물관수장품관리와 연계성을 보완하고, 등대문화유산 DB구축에 문화재기록관리 및 박물관정보관리 체계의 호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유형별 범주와 기능별 용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실무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Quality Management of a Union DB Built in a Distributed System (분산체계로 구축된 통합 DB의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 Lee Jae-Who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2 no.3
    • /
    • pp.179-20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a union database built in a distributed system. To the end, this study introduces the quality control methods employed for the OCLC union catalog, which has been built in a distributed system and also known as the most typical union DB. The main discussion is about the quality issue of KORDIC's SATURN DB, the most typical union DB in South Korea. The final recommendation includes the management strategie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efficient quality control of a union DB built in a distributed system.

  • PDF

A study of strategy on Geo-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and data management for reservoir sediment deposition (저수지퇴사 공간정보 DB구축방안 및 자료관리방안 수립)

  • Jung, Seung-Kwon;Choi, Jung-Min;Lee, Kyoung-Do;Yoon, Tae-You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52-1657
    • /
    • 2009
  • 종이지도, CAD 도면, 항공사진과 같은 형태로 구축되어 있는 저수지 퇴사자료는 자료의 훼손 변질 등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자료관리를 위한 인력의 업무중복 및 시간부족에 따른 조사자료의 질의 저하 및 부정확성 문제 등 퇴사자료 관리에 있어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수지 퇴사자료의 DB구축 및 자료관리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구축되고 있는 항공사진과 같은 3차원 공간정보 DB구축으로 기존 자료와의 상호 활용성 미흡, 관련 사업의 연계성 부족 등의 문제점에 대처할 수 있는 체계적인 사업 추진방향을 제시하여 3차원 공간정보 DB구축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퇴사자료 구축현황을 분석하고, 저수지퇴사 공간정보에 대한 구축방안을 수립하였으며, 구축된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저수지퇴사 공간정보 관리방안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공간정보 DB의 구축과 자료관리방안 수립으로 시 공간적 변화로 인한 저수지 퇴사를 쉽고 신속히 활용할 수 있는 공유기반 및 활용체계를 마련하게 되었으며, 효율적인 댐운영관리 및 수자원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Spatial DB of Watershed (유역단위 Framework 공간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대한 고찰)

  • Kim, Kyung Tak;Choi, Yun Seok;Kim, Joo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19-1222
    • /
    • 2004
  • 임의의 유역에서 유역을 관리할 목적으로 GIS DB를 구축할 경우 DEM을 이용하여 유역의 Framework 공간 DB를 구축하는 절차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유역의 Framework 공간 DB를 DEM을 이용하여 구축할 경우는 DEM을 이용하여 유역의 수문지형학적 특성인자를 손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이들이 자동으로 공간 DB의 속성으로 입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기반정보인 Framework 공간 DB의 형성 과정에 대해 정의하고 HyGIS를 개발하여 Network 기반의 수자원 통합 유역관리시스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for Creating Full-Text Database of Korean Dissertation (대학도서관의 학위논문 전문DB구축방안)

  • 방준필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9 no.1
    • /
    • pp.39-5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solution for creating full-text database of Korean dissertaion, After considering file formats for text based and image based database, Viewer, Search, Copy Right, Abstracts and Indexes, situation of Korea University Library, decided the principles of creating database. And suggested the design to produce the database for Korea University Library, that is easy to get file format conversion in case of the introducing new technology for the future.

  • PDF

Common Speech Database Collection (공통음성 DB 구축)

  • Kim Sanghum;Oh Seungshin;Jung Ho-Young;Jeong Hyung-Bae;Kim Jeong-S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1-24
    • /
    • 2002
  • 본 논문은 ETRI 음성정보연구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통음성 DB 구축에 관하여 기술한다. 총 3 년(2001 11-2004. 10) 동안 음성인식, 음성합성, 화자인식 등 다양한 용도의 음성 DB 를 수집할 예정이며, 1년차인 2002 년에는 총 14 종의 음성 DB 를 수집할 계획이다. 공통 음성 DB 는 다양한 통신망(마이크, 헤드셋, VoIP, 유무선 전화망), 지역, 성별, 발성환경(사무실, 지하철, 도로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발성대상은 숫자, 단어, 문장이고, 발성방법은 자유발화, 대화체, 낭독체 등 다양한 스타일의 음성 DB 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총 14 종에 해당하는 공통음성 DB 의 구축내역과 구축방안 및 DB 구축 일정에 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Plan of Steep Slope and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DB for Steep Slope Disaster Prevention (급경사지방재를 위한 급경사지정보 및 지하공간정보 DB 구축과 활용 방안 연구)

  • Lee, Kyungchul;Jang, Yonggu;Song, Jihye;Kang, Inj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7
    • /
    • pp.13-21
    • /
    • 2014
  • Recently, a great number of natural disasters have more frequently happened than the past.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of Korea has made preparatio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steep slope lands. There is information based on the steep slope inspection sheets and the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vention against steep slope disasters. Nevertheless, building a complete DB System to prevent the hazards and secure the safeties should be urgently dealt with. It is mainly because the information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s restricted to the text-based brief dat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 as to building steep slope DB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and maximizing the availabilities. This study shows the way of building a web-based DB system having its root in the steep slope inspection sheets. The method of establishing the ideal DB system that has liaisons betwee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is discussed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optimization of DB utilization will assist the various integrated steep slope management systems based on U-IT which are ongoing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