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B.H. analysis

검색결과 1,378건 처리시간 0.038초

소나무림(林)의 임분구조(林分構造) 해석(解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nalysis of Stand Structure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 윤종화;김주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54-261
    • /
    • 1994
  • 본 연구는 소나무림(林)의 임분구조(林分構造)를 명확히 해석(解析)하여 실용적인 시업계획(施業計劃)을 세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강원지방(江原地方)에서 환경과 입지조건이 다른 고성(高城)과 평창(平昌)의 소나무림(林)중 무육간벌(撫育間伐)이 시행되지 않은 2영급 소나무림(林)의 임분구조(林分構造)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경급별(直徑級別) 본수분포(本數分布)에서 고성지방(高城地方)은 좌비대칭형(左非對稱形)이여, 평창지방(平昌地方)은 대칭형(對稱形)의 분포(分布)를 하고 있었다. 2. 흉고직경(胸高直徑)에 따른 수고곡선(樹高曲線)은 선형적(線形的)으로 나타났으며 평창지방(平昌地方)이 높았다. 3. 임분재적(林分材積)과 ha당의 본수(本數)는 평창지방(平昌地方)이 높았다. 4. 최근 5개년 간의 흉고직경(胸高直徑) 생장량(生長量)은 직경급(直徑級)이 클수록 크게 나타났다. 5.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수고(樹高) 및 재적(材積)의 총생장량(總生長量)은 15년생 이후부터 평창지방(平昌地方)이 높았다.

  • PDF

M-B 변수를 이용한 Preisach 모델링의 수렴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proved Convergence on the Preisach Model Method by Using M-B Variables)

  • 원혁;박관수;양창섭;정현주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22
    • /
    • 2011
  • 강자성체를 정밀해석하기 위해서는 포화자화 현상과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모두 고려해 주어야만 한다. Preisach 모델링은 변화율이 심한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매우 잘 표현해 낼 수 있는 수치모사 방법이다. 하지만 정자기 유한요소법과 Preisach 모델링을 사용한 자화해석 반복 과정에서 수렴성이 떨어진다는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자화율의 기울기가 급격히 변화할 경우 수렴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일반적인 M-H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M-B 변수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M-H를 이용한 Preisach 모델링의 평면 분포로부터 M-H 변수를 M-B 변수화 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고, 2차원 정자기 유한요소법과 M-H, M-B 변수를 이용한 Preisach 모델링을 비교 분석하여 Preisach 모델링의 수렴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안지오제닌을 이용한 Xanthomonas celebensis 5S rRNA의 고차원 구조 분석 (Analysis of Higher Order Structure of 5S rRNA from Xanthomonas celebensis by Using Angiogenin)

  • 김상범;조봉래;임자혜;장수익;박인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769-773
    • /
    • 1994
  • 우유에서 추출한 안지오제닌을 사용하여 Xanthomonas celebensis 5S rRNA의 고차원 구조를 조사하였다. 안지오제닌은 5S rRNA의 단일가닥 부분에 있는 피리미딘 염기들의 먼 쪽으로 있는 3' P-O 에스테르 결합들만을 절단하였다. pH 7.0이고 10 mM의 $Mg^{2+}$이 있을 때 안지오제닌은 5S rRNA의 d 고리에서만 작용하였지만 $Mg^{2+}$이 없을 때는 e 고리를 제외한 모든 고리들(a, b, c, d 고리들)에서 작용하였다. $Mg^{2+}$이 없을 때 $U_{74}$-$G_{75}$$U_{77}$-$A_{78}$, $U_{103}$-$A_{104}$ 결합들이 pH 7.0과 pH 3.5에서 모두 안지오제닌의 작용에 매우 민감하였다. 한편 pH 3.5이고 $Mg^{2+}$이 없을 때 안지오제닌이 a 고리의 $C_{17}$-$G_{18}$과 b고리의 $U_{55}$-$G_{56}$ 결합들을 강하게 절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안지오제닌을 5S rRNA의 삼차구조 분석에서의 탐침의 하나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둘째, 5S rRNA의 d고리의 구조는 $Mg^{2+}$$H^+$농도에 따라 변하기 쉽다는 것을 알았다.

  • PDF

Stress Analysis of IPS Lower bracket

  • Lee, J.M.;Park, K.N.;Chi, D.Y.;Park, S.K.;Sim, B.S.;Lee, H.H.;Ahn, S.H.;Lee, C.Y.;Kim, H.R.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703-704
    • /
    • 2005
  • PDF

The Possibility of TBC1D21 as a Candidate Gene for Teat Numbers in Pigs

  • Jin, S.;Lee, J.B.;Kang, K.;Yoo, C.K.;Kim, B.M.;Park, H.B.;Lim, H.T.;Cho, I.C.;Maharani, D.;Lee,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0호
    • /
    • pp.1374-1378
    • /
    • 2013
  • Based on a quantitative traits locus (QTL) study using a $F_2$ intercross between Landrace and Korean native pigs, a significant QTL affecting teat numbers in SSC7 was identified. The strong positional candidate gene, TBC1D21, was selected due to its biological function for epithelial mesenchymal cell development. Sequence analysis revealed six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the TBC1D21 gene. Among these, two SNP markers, one silent mutation (SNP01) for g.13,050A>G and one missense mutation (SNP04) for c.829A>T (S277C), were genotyped and they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eat number traits (p value = 6.38E-05 for SNP01 and p value = 1.06E-07 for SNP04 with total teat numbers). Further functional validation of these SNPs could give valuable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teat number variation in p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