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rabinose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6초

Streptomyces turgidiscabies에 의한 감자 더뎅이병 (Potato Common Scab by Streptomyces turgidiscabies)

  • 김전순;박덕환;임춘근;최용철;함영일;조원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1-554
    • /
    • 1998
  • Bacterial specs isolated from common scab lesion on potato (Solanum tuberosum L. c.. Dejima) tuber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turgidiscabies. This organism had flexuous spore chains and grey spore mass color, produced melanin pigment on ISP 7, but did not produce on ISP 6. S. turgidiscabies grew on agar media at pH 4.5, used L-arabinose, D-fructose, D-glucose, D-mannitol, raffinose, rhamnose, sucrose, D-xylose and meso-inositol as carbon sources, and was susceptible to 7% NaCl, thallium acetate (10 $\mu\textrm{g}$/ml, 100$\mu\textrm{g}$/ml), crystal violet (0.5 $\mu\textrm{g}$/ml), phenol (0.1%, wt/vol), oleandomycin (100 $\mu\textrm{g}$/ml), and streptomycin (20 $\mu\textrm{g}$/ml).

  • PDF

Streptomyces acidiscabies에 의한 감자 더뎅이병 (Potato Scab Caused by Streptomyces acidiscabies)

  • 김점순;박덕환;최용철;임춘근;홍순영;이승돈;함영일;조원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89-692
    • /
    • 1998
  •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common scab lesion on potato (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acidiscabies. This organism had flexuous spore chains and white spore mass color, produced melanin pigment on tyrosine agar medium but did not produce on peptone agar medium. S. acidiscabies grew on agar medium at pH 4.0, used L-arabinose, D-fructose, D-glucose, D-mannitol, rhamnose, sucrose, D-xylose and meso-inositol except reffinose as carbon sources. It was also susceptible to thallium acetate (10 $\mu\textrm{g}$/ml, 100$\mu\textrm{g}$/ml), phenol (0.1%, wt/vol), streptomycin (20 $\mu\textrm{g}$/ml), and was resistant to 7% NaCl, crystal violet (0.5 $\mu\textrm{g}$/ml), penicillin (10 IU/ml) and oleandomycin (25 $\mu\textrm{g}$/ml, 100 $\mu\textrm{g}$/ml).

  • PDF

사상균인 Aspergillus nidulans의 무성포자 발아와 당의 역할 (Role of Sugars in Early Stage of Spore Germination in Filamentous Fungi, Aspergillus nidulans)

  • 정광희;김재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11-518
    • /
    • 2018
  • Aspergillus nidulans와 Botrytis cinerea와 같은 사상균들은 당과 같은 영양분이 존재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발아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A. nidulans의 포자에 당을 인식하는 기구가 존재할 것이라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A. nidulans의 포자에 증류수를 가하였을 때에는 발아가 관찰되지 않는 반면에 5%의 글루코오스를 가해 주었을 때에는 98%이상의 포자가 발아하였다. 뿐만 아니라 프록토오스, 설탕, 녹말과 같은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를 가해 주어도 유사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특이한 것은L-형의 아라비노오스를 가해 준 포자는 발아관을 형성하였으나D-형의 아라비노오스를 가해주면 증류수를 가해주었을 때와 같이 발아관을 형성하지 못 하였다. 포자를 트립신으로 처리한 후에 글루코오스를 가해주면 발아율이 25%롤 감소하였다. 포자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용출하여 분리한 후 MALDI-TOF 질량분석기로 단백질을 동정한 결과 동정된 10종의 단백질 중 8종의 단백질은 당의 대사와 관련된 효소들 임을 확인하였다.

천년초에서 분리한 항전이 다당의 구조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Anti-metastatic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Opuntia humifusa)

  • 최정호;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14-222
    • /
    • 2011
  • 천년초에 존재하는 점질다당의 새로운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천년초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항전이 활성을 평가하고 구조 분석을 행하였다. B16BL6 종양세포를 이용한 폐암 전이모델에서 천년초 조다당 CNC-0는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전이 활성을 나타냈다. 천년초 조다당 CNC-0는 DEAE-Sepharose FF 및 Sephadex G-75를 이용한 연속적 chromatography를 행하여 CNC-Ia으로 정제하고 이들의 구조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CNC-Ia는 분자량 약 700 kDa의 다당체로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arabinose, galactose 및 xylose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rhamnose와 fucose를 미량 함유하고 있었다. 본 당쇄의 결합양식을 규명하기 위해 methylation analysis를 행한 결과 CNC-Ia은 terminal Araf, 5-linked Araf, 4-linked Galp, terminal Xylp와를 포함한 총 18종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full branched Araf, 3,4,6-branched Galp 및 full branched Galp 와 같은 3종의 CNC-Ia 고유의 특징적 결합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CNC-Ia의 미세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exo-${\alpha}$-Larabinofuranosidase와 endo-${\beta}$-1,4-D-galactanase를 이용한 연속 가수분해 및 해석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년초 유래 다당 CNC-Ia는 ${\beta}$-($1{\rightarrow}4$)-galactan 주쇄에 arabinose oligo당이 측쇄로 분지된 Type I arabinogalactan으로 판단되었으며 주쇄 및 측쇄 모두 고도로 분지된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치아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성분분석과 보습 효과 (Moisturizing Effects and Composition Analysis of Proteoglycan Isolated from Chia (Salvia hispanica) Seed)

  • 이범천;주철규;허지연;이근하;김영진;이찬우;김진웅;박용일;김현숙;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1-12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치아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proteoglycan)의 성분분석과 분자량 측정 및 피부보습 효과를 연구하였다. 분리된 단백다당체의 성분분석 결과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를 이루고 있는 당 성분(%)은 galactose (46.8), glucuronic acid (27.1), rhamnose (8.7), xylose (7.6), glucose (4.9), fructose (2.3), mannose (1.8), arabinose (0.9)로 확인되었으며,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은 31.3 mg/g으로 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성분(mg/g)은 Asp (1.9), Glu (3.6), Ser (0.9), Gly (3.6), Thr (0.8), Arg (1.0), Ala (2.0), Tyr (0.4), Cys (4.8), Val (1.1), Phe (0.5), Ile (0.6), Leu (0.9)로 확인 되었다.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의 분자량 범위는 100,000~250,000 Da로 분자량 분포에 의한 평균 분자량은 170,000 Da이었다. 또한, 사람을 이용한 피부수분 보유 효과 및 피부 수분 손실량을 평가한 결과, 피부의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표피 수분 손실량 또한 적어서 피부 보습제로서 매우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치아 씨앗의 다당체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를 화장품에 응용하면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지는 화장품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유래한 Mannitol Dehydrogenase 유전자의 대장균 내 발현 및 효소특성 규명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Mannitol Dehydrogenas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 장명운;박정미;김민정;강정현;이소원;김태집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6-162
    • /
    • 2012
  • Salmonella typhimurium LT2 (KCTC 2421)로부터 mannitol dehydrogenase (StMDH)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대량 발현하였다. 이 유전자는 488개의 아미노산 서열(약 54 kDa)을 암호화하는 1,467 bp의 염기로 구성되며, 이미 보고된 long-chain dehydrogenase/ reductase (LDR) 계열 효소들과 약 36%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StMDH의 최적 반응온도는 $30^{\circ}C$이며, pH 5.0의 조건에서 최대의 D-fructose 환원활성, 그리고 pH 10.0에서 최대의 D-mannitol 산화활성을 보인다. 반면에 glucose, galactose, xylose, arabinose 등의 기질에 대해서는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효소는 $NAD^+$/NADH 존재 하에서만 산화 환원 활성을 가지며, $NADP^+$/NADPH는 조효소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StMDH는 전형적인 $NAD^+$/NADH 의존형의 mannitol dehydrogenase (EC 1.1.1.67)임을 확인하였다.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원균(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의 항균활성 Streptomyces sp. JR-24 균주의 분리 및 분류학적 특성 (Isolation and Taxonomical Characterization of Streptomyces sp. JR-24 with Antibacterial Activity of Bacterial Leaf Spot of Pepper (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

  • 한송이;이효진;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9-365
    • /
    • 2010
  • 조릿대 근권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방선균 50균주를 대상으로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원균(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의 항균활성 12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 항균활성 12균주의 계통학적 위치를 검토한 결과, 모두 Streptomyces 속의 Cluster II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JR-24 균주는 최소저해 농도(MIC) 10 ${\mu}l$/disc를 나타내었으며, 배양액 5 ${\mu}l$/ml를 처리 하여 12시간 배양한 결과 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에 강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최우수 균주로 선발되었다. 항균활성 균주 JR-24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검토한 결과, Streptomyces galbus $DSM40089^T$ (X79852)와 98.1%, Streptomyces longwoodensis $LMG20096^T$ (AJ781356)와 98% 그리고 Streptomyces capoamus $JCM4734^T$ (AB045877)와 97.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API 20NE와 API 50CHE를 이용하여 JR-24 균주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L-arabinose, D-fructose, D-glucose, D-galactose을 이용하며 gelatin, protein, starch에 대하여 분해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지방산으로는 iso-$C_{14:0}$ (25.93%), iso-$C_{15:0}$ (10.13%), anteiso-$C_{15:0}$ (19.29%) 그리고 iso-$C_{16:0}$ (20.35%) 등을 함유하였으며, 퀴논종은 MK-9 ($H_4$) 4.37%, MK-9 ($H_6$) 51.22% 그리고 MK-9 ($H_8$) 49.47%로 동정되었다. Streptomyces sp. JR-24 균주의 계통학적 특성을 근연종인 Streptomyces galbus $DSM40089^T$와 비교한 결과, 다수의 표현형적 및 계통학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Streptomyces sp. JR-24는 친환경 미생물제제 개발을 위한 유전자원 확보에 있어서 매우 큰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Characterization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 from 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 Min, Jin-Gi;Kim, Tae-Jin;Lee, Doo-Seog;Ch, Sang-Won;Yoon, Ho-Dong;Park, Jeong-Heu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37-141
    • /
    • 2001
  • Water-soluble crude polysaccharide (TM-1) prepared from the leaves of 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was fractionated into three polysaccharide fractions, TM-2, TM-3 and TM-4 by the addition of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The major polysaccharide fraction, TM-2, consisted of glucose, galactose, rhamnose, mannose, glucuronic acid and galacturonic acid, and all fractions contained galactose and glutose as the major neutral sugars. TM-4 showed the highest anti-complementary activity. When TM-4 was futher fractionated by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TM4- II a and TM4-II b showed the most Potent anti-complementary activity. TM4- II a was composed mainly of galactose, arabinose and glucose in the molar ratios of 2.13 : 0.94 : 1.00 respectively, and contained a small amount of galacturonic acid and glucuronic acid.

  • PDF

붉은자루동충하초의 균사생육에 관한 연구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ycelial Growth by an Entomogenous Fungus, Cordyceps pruinosa Petch)

  • Hong, In-Pyo;Nam, Sung-Hee;Jung, I-Yeon;Sung, Gyoo-Byung;Nam, Hack-Woo;Chang, Seung-Jong;Hyeon Hyur;Lee, Min-Woong;Guo, Shun-Xing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6-120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data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for an artificial cultivation of fruiting body of C. pruinosa. C. pruinosa showed the most favorable growth on the MCM medium.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mycelial growth was obtained at 25$^{\circ}C$ and pH 5.0, respectively. Carbon sources such as arabinose, mannose, xylose were favorable for stimulating a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ies of C. pruinosa. Ammonium nitrate, ammonium citrate and ammonium tartrate of nitrogen sources also appeared to be good in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Characterization of a New Acidophilic Acetobacter sp. Strain H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Vinegar

  • CHUN, HONG-SUNG;SUNG-JUN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2호
    • /
    • pp.108-114
    • /
    • 1993
  • A new strain of acidophilic, acetogenic bacterium, Acetobacter sp. strain HA was isolated by selective enrichment from the traditionally fermented rice wine vinegar in Korea. It was a gram-negative, non-motile short rod and oxidized acetate and lactate. The optimal temperature and pH for growth were $28^{\circ}C$ and 4.0, respectively. The strain HA differed from other Acetobacter species by growing well on methanol, xylitol, inositol, dulcitol, D-xylose, L-arabinose, and D-mannose as sole sources of carbon and energy. The isolated strain HA did not produce $\gamma$-pyrones from glucose and did not produce ketone bodies from glycerol. The quinone system used in this study was an ubiquinone-9 isoprene unit. The guanine-plus-cytosine content of the DNA was 50.7 mol%, and the major cellular fatty acids were $C_{18:1} and C_{16: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