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13mode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2초

천연가스 전소기관의 성능 및 배출가스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 of Exhaust emission in CNG Dedicated Engine)

  • 한영출;김경배;오용석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2-17
    • /
    • 2000
  • In this study a heavy duty diesel engine was modified into a 11-liter 6-cylinder SPI CNG dedicated engine, which was test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and exhaust emission under the maximum load condition as the engine speed was increased in the range of 1,000∼2,200 rpm. The exhaust emission was also measured at D-13 mode as well as AVL-8 mode.

  • PDF

Transmission-Line Transformer와 Harmonic Filter를 이용한 13.56 MHz 고효율 전류 모드 D급 전력증폭기 설계 (Design of High-Efficiency Current Mode Class-D Power Amplifier Using a Transmission-Line Transformer and Harmonic Filter at 13.56 MHz)

  • 서민철;정인오;이휘섭;양영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624-631
    • /
    • 2012
  • 본 논문은 Guanella의 1:1 transmission-line transformer와 harmonic filtering 방식을 이용한 13.56 MHz 고효율 전류 모드 D급(CMCD) 전력증폭기를 제안한다. 출력 정합 네트워크에 기존의 D급 전력증폭기의 부하 네트워크를 변형하여 harmonic filtering 방식을 포함시킴으로써 낮은 2차와 3차 고조파 특성을 얻었다. 제작된 CMCD 전력증폭기는 13.56 MHz의 CW 입력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13.4 dB의 전력 이득을 가지며, 44.4 dBm의 출력에서 84.6 %의 높은 PAE 특성을 나타내었다. 같은 출력에서 2차 3차 고조파는 각각 -50.3 dBc와 -46.4 dBc를 나타냈다.

대형자동차 디젤엔진용 산화촉매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Diesel Oxidation Catalyst for Automotive Heavy-Duty Diesel Engine)

  • 최병철;정필수;명광재;김복석;박광수;박찬국;이진호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21
    • /
    • 2001
  • Diesel emission control is being addressed worldwide to help preserve the global environment.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e effects of oxidation catalysts to reduce emissions from the automotive heavy-duty diesel engine. Two types of the oxidation catalyst with different kinds of precious material were used. An 11 litter displacement diesel engine with turbocharger was operated to evaluate DOC with various engine speed, load conditions under D-13 mode cycle. We could propose the detail emission data of an automotive heavy-duty diesel engin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DOC under the D-13 mode. It was found that the mean conversion efficiencies of CO and THC were 49.7% and 61% under the D-13 mode test, respectively.

  • PDF

CNG 전소기관의 배출가스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Exhaust Emissions of CNG Dedicated Engine)

  • 오용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9-164
    • /
    • 2000
  • A CNG dedicated engine one of the types in natural gas engine is assessed as the most effective mechanism for the reduction of exhaust emissions. This work described the measuring results of a CNG dedicated engine by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NG engine was investigated and then measured exhaust gas by engine performance mode at maximum load condition with increasing the engine speed in the range of 1,000-2,200rpm. The exhaust emission was also measured at D-13 mode as well as AVL-8 mode.

  • PDF

완전시차 집적 영상 배경을 가지는 2D-3D 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2D-3D convertible display system having a background of full-parallax integral images)

  • 홍석표;신동학;김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69-37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완전 시차 배경 영상을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2D-3D 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집적 영상 시스템과 기존의 2D 평면 디스플레이 구성이 되며, 3D 모드와 2D 모드에서 구동이 가능하다. 3D 모드에서는 집적 영상 기술을 이용하여 배경영상을 만들어서 주요 영상과 결합함으로써 3D 영상을 만든다. 2D 모드에서는 집적영상 시스템이 2D 평면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역할을 수행하고 2D 평면 디스플레이에 2D 영상이 표시된다.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함을 보이기 위해서 기초 실험을 수행하고 성공적인 실험 결과를 보고한다.

결함 모드 특성을 갖는 주파수 선택적 표면에 의한 안테나 이득 향상 (Antenna Gain Enhancement Using FSS(Frequency Selective Surface) with Defect Mode Characteristic)

  • 김준형;남성수;조태준;이홍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47-153
    • /
    • 2009
  • 본 논문은 결함 모드 특성을 갖는 주파수 선택적 표면에 의한 WCDMA에서 동작하는 안테나의 이득 향상을 위한 설계와 제작에 대해 다룬다. 제안된 결함 모드 특성을 갖는 FSS 단위 셀은 동일한 크기의 일반적인 단위 셀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적용이 가능하므로 단위 셀의 크기를 66 % 정도 축소시키었다. 단위 셀의 최적화 된 배열 개수는 $13{\times}13$으로 하였으며, WCDMA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에서 동작하는 패치 안테나를 각각 설계하였다. 사각형 구조의 단일 패치 안테나를 사용하여 WCDMA 대역을 포함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모의 실험한 결과, 송신 대역에서 제안된 FSS-1 복합체 구조(송신 대역의 패치 안테나와 FSS)의 이득은 9.98 dBi에서 13.28 dBi로 3.3 dB 향상되었다. 수신 대역에서 제안된 FSS-2 복합체 구조(수신 대역의 패치 안테나와 FSS)의 이득은 9.81 dBi에서 15.34 dBi로 5.53 dB 향상되었다 측정 결과 제작된 FSS 복합체 안테나는 약 337 MHz($1.87{\sim}2.21GHz$)의 대역폭을 가지며 1.95 GHz에서 11.39 dBi, 2.05 GHz에서 13.11 dBi, 2.14 GHz에서 11.09 dBi의 이득을 나타내었고, 방사 효율은 81 %임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FSS 복합체 안테나는 높은 이득을 갖기 때문에 WCDMA 중계기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line Variable Optical Attenuator Based on the Bending of the Tapered Single Mode Fiber

  • Kim, Kwang-Taek;Kang, Ji-Hoon;HwangBo, Seung;Im, Kie-Go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3권3호
    • /
    • pp.349-353
    • /
    • 2009
  • We propose a simple in-line variable optical attenuator (VOA) based on the bending effect of tapered single mode fibers. The influence of the taper structure and the reflective index of the external medium surrounding the taper region on the bending loss of the tapered fiber have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n attenuation range exceeding 35 dB and a very low excess loss of < 0.2 dB at 1550 nm were achieved. The measured polarization dependent loss of the present VOA at the attenuation level of 10 dB, 20 dB, and 30 dB were 0.1 dB, 0.2 dB, and 0.5 dB, respectively.

이중루프 구조를 갖는 다중모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Multi-Mod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Dual Loop Structure)

  • 한민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578-58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이중루프 구조를 갖는 다중모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모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6.78 MHz 자기공진 무선전력전송 모드와 13.56 MHz NFC 모드로 동작하는 외부 루프 모듈과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자기유도 표준인 WPC 모드와 PMA 모드로 동작하는 외부 루프와 연결된 내부 루프 모듈로 구성된다. 실제 상용 스마트폰 배터리 커버에 장착하기 위해 페라이트 시트를 포함한 $45{\times}90{\times}0.35mm3$ 크기에 맞춰 설계 및 최적화 되었다. 제안된 다중모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기존의 자기유도방식 표준에 해당하는 WPC와 PMA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6.78 MHz 및 13.56 MHz에서 20 dB 이상의 반사손실 특성을 나타내었고 6.78 MHz 자기공진 무선충전 환경에서는 공진코일 간 70% 이상의 효율 특성을 갖는다.

1.55 μm Ti:LiNbO3 광도파로의 두 모드 간섭을 이용한 편광모드 분리기 (1.55 μm polarization mode splitter utilizing two mode interference of Ti:LiNbO3 optical waveguides)

  • 김정희;정기조;정홍식;이한영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2-37
    • /
    • 2002
  • 두 모드 간섭 현상을 기초로 해서 1.55 $\mu\textrm{m}$ 파장대역에서 동작하는 편광모드 분리기를 Ti: x-cut LiNbO$_3$광도파로 구조를 이용하여 설계, 제작한 다음, TE, TM 입사 모드에 따른 소자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였다. 광도파로 폭, 분기각도와 간섭영역 길이를 8$\mu\textrm{m}$, 0.55$^{\circ}$, 470$\mu\textrm{m}$로 제작된 소자의 분리 비는 TE, TM 입사 모드 각각에 대해서 16.18 dB, 21.25 dB로 측정되었으며, 누화는 -16.28 dB, -21.28 dB로 측정되었다. 삽입 손실은 TE, TM 각각에 대하여 2.24 dB/cm, 2.41 dB/cm로 측정되었으며. 30 nm 파장 범위 내에서 비교적 균일한 분리 비가 관찰되었다.

주파수 체배기를 이용한 이중 모우드 증폭부 설계 (Design of Dual Mode Amplifying Block Using Frequency Doubler)

  • 강성민;최재홍;구경헌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호
    • /
    • pp.127-132
    • /
    • 2006
  • 본 논문은 입력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증폭기 및 주파수 체배기로 동작하도록 설계하여, 무선 LAN의 다양한 표준인 802.11a/b/g의 주파수 대역을 만족하는 이중 모우드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기존의 이중대역 무선 LAM의 경우 동작주파수에 따라 별도의 증폭기를 구성하는 형태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바이어스 조건에 따라 802.11b/g 신호에 대해서는 증폭기로서 동작하고, 802.11a 신호에 대해서는 주파수 체배기로 동작하여 하나의 능동회로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표준의 주파수 대역을 증폭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증폭기로 동작할 경우 약 13dB의 이득과 약 17dBm의 PldB을 얻었으며, 2차 고조파는 약 -37dBc 이하로 억압되었다. 주파수 체배기로 동작할 경우 약 3.3dB의 체배 이득과 약 7.3dBm의 최대 전력을 얻었으며, 3차 고조파는 약 -50dBr 이하로 억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