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okine $IL-1{\beta}$

검색결과 743건 처리시간 0.025초

호염구세포주와 복강 비만세포에서 유색미 겨 추출물의 알레르기 염증 억제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Pigmented Rice Bran Extract to the Allergic Inflammation in Basophilic Cell Line and Peritoneal Mast Cells)

  • 최선필;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315-321
    • /
    • 2005
  • 유색미 겨 추출물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호중구 세포주 및 비만세포가 분비하는 염증매개물질인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 및 염증 cytokine 생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호중구 세포주인 RBL-2H3 세포와 rat에서 분리 추출한 복강 비만세포(RPMC, peritoneal mast cell)를 이용하여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 분비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일반미 겨 추출물은 RBL-2H3 세포에서 염증매개물질들의 분비량을 증가시킨 반면, 유색미 겨 추출물은 이들의 분비를 억제하였다(histamine 10.19% 억제, ${\beta}-hexosaminidase$ 110.03% 억제). RPMC에서는 유색미가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를 일반미보다 각각 8배와 3배나 높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관련 cytokine으로서 $IL-1{\beta},\;TNF-{\alpha}$ 및 IL-6의 발현을 RT-PCR로 측정한 결과, 유색미가 일반미 보다 $TNF-{\alpha},\;IL-1{\beta}$ 및 IL-6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ELISA를 이용하여 cytokine의 분비량을 측정한 실험에서도 유색미가 일반미보다 $TNF-{\alpha},\;IL-1{\beta}$ 및 IL-6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유색미가 염증반응의 원인 물질인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에 대한 억제효과 뿐 아니라, 염증 cytokine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도 일반미보다 우수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결핵 환자의 치료경과 중 혈청 내 Cytokine 분비와 변화 (Circulating Cytokine Levels and Changes During th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ctive Tuberculosis in Korea)

  • 류연주;김윤정;권정미;나윤주;정유진;서주영;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2호
    • /
    • pp.140-153
    • /
    • 2003
  • 연구배경 : 결핵균 항원으로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이 활성화되면 여러 종류의 cytokine이 분비되고 각기 다른 cytokine과 network system으로 작용하여 여러 병태생리적인 과정을 조절한다. 결핵 환자에서 염증반응, 조직파괴 및 질환의 중증도는 proinflammatory cytokine과 suppressive cytokine의 균형과 조합에 의하여 결정되며, 결핵 진행의 제한과 악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결핵의 이환과정에서 cytokine의 분비 및 변화와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 질환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 활동성 폐결핵 83명, 기관지 결핵 10명의 치료전과 정상 대조군 20명에서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70^{\circ}C$에 보관하였고, sandwich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혈청 IL-$1{\beta}$, IL-2, IL-4, IL-6, IL-10, IL-12(p40), TNF-${\alpha}$, IFN-${\gamma}$, TGF-${\beta}$를 측정하였다. 폐결핵 환자 83명을 ATS guideline에 따라 중증도를 분류하였고, 추적관찰 중 탈락자를 제외한 45명에서 초치료 2개월과 6개월 후 각각 혈청 sIL-$1{\beta}$, IL-2, IL-4, IL-6, IL-10, IL-12(p40), TNF-${\alpha}$, IFN-${\gamma}$, TGF-${\beta}$를 재측정하였다. 결 과 : 1) IL-$1{\beta}$, TNF-${\alpha}$, IFN-${\gamma}$는 폐결핵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경향을 보였고(p>0.05), IL-6는 폐결핵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TGF-${\beta}$는 폐결핵과 기관지 결핵환자에서의 분비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며(p>0.05), IL-2, IL-12(p40), IL-4, IL-10은 대조군과 폐결핵 환자에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기관지 결핵 환자에서 IL-6, TNF-${\alpha}$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고 TGF-${\beta}$는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p>0.05). 폐결핵에 비해 IL-12(p40)의 분비는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3) 결핵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IFN-${\gamma}$와 IL-6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특히 중증군에서 현저하였다. 4) 폐결핵 환자에서 치료전 측정한 IL-$1{\beta}$, IL-6, TNF-${\alpha}$ 간 및 IL-2, IL-4, IL-12 간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5) 폐결핵 환자 45명에서 측정한 IL-6와 IFN-${\gamma}$는 치료후 2개월과 6개월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결핵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여러 cytokine간의 균형과 조합의 변화가 숙주의 염증, 조직파괴 및 결핵의 중증도와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결핵의 형태나 면역반응 정도에 따른 다양성을 보여서 결과의 해석과 cytokine 측정의 임상적 이용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율무 추출물의 마우스 비장세포와 대식세포 활성 효과 (Effects of Job's Tears(Yul-Moo) Extracts on Mouse Splenocyte and Macrophage Cell Activation)

  • 류혜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
    • /
    • 2008
  • Job's Tears(Yul-Moo) is a grass crop long-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t is also a nourishing food. There are reports of its anti-inflammatory, stomachic, antiallergic activity, and antispastic effects and Job's Tears has been used in China to treat rheumatism, and neuralgia although its warts, rheumanism remains unclear. Thu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effect of Job's Tears extracts on immune function. Here mouse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IL-1{\beta},\;IL-6,\;TNF-{\alpha})$ by peritoneal macrophages cultured with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Job's Tears were examined. splenocytes proliferation increased with Job's Tears water extracts supplement at concentrations investigated The cytokine production$(IL-1{\beta},\;IL-6,\;TNF-{\alpha})$ by ELISA using a cytokine kit And $IL-1{\beta}$, IL-6 and $TNF-{\alpha}$ production increased water extracts supplementation. This in vitro study suggests that supplementation with Job's Tears water extracts may enhanc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enhancing cytokine production of activated macrophages.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Interleukin-12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의 치료 전후의 변화 (Changes of Interleukin-12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before and after Antipsychotic Treatments in Schizophrenic Patients)

  • 김성재;이분희;김용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2호
    • /
    • pp.143-150
    • /
    • 2005
  • 목 적: 많은 연구에서 정신분열병에서 염증반응체계의 활성화와 사이토카인의 변화가 병태생리학적 및 원인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며, 여기에는 type 1 Thelper cell(Th1), type 2 T helper cell(Th2), type 3 T helper cell(Th3)의 조절 이상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 치료 전후로 Th1 사이토카인인 interleukin-12(IL-12), Th3 사이토카인인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TGF-${\beta}1$)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였다. 방 법: 2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31명의 정상대조군에서 IL-12와 TGF-${\beta}1$ 농도를 측정하였고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는 8주간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 후 다시 IL-12와 TGF-${\beta}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치료전과 8주간 치료 후, 2차례에 걸쳐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를 측정하였다. 결 과: 치료전 IL-12 농도와 TGF-${\beta}1$ 농도 모두 정상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8주간의 치료 후 TGF-${\beta}1$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대조군의 농도와 차이를 보이지 않게 된 반면, IL-12의 농도는 유의하지 않은 감소를 보였다. BPRS 점수의 변화 및 IL-12 및 TGF-${\beta}1$의 농도의 변화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정신분열병의 병태생리학에 사이토카인의 이상이 관여할 수 있으며, TGF-${\beta}1$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청용장(小靑龍湯)이 생쥐의 폐(肺) 대식세포(大食細胞) Cytokine 귀전자(遣傳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hungyong-tang on Cytokine Gene Expression in Mouse Alveolar Macrophage)

  • 박인기;심성용;변학성;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7
    • /
    • 2005
  • In many recent studies, molecular biological methods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cytokines in pathogenesis of lung diseas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hungyong-tang on gene expressions in Mouse Alveolar Macrophage. Fer this purpose, we observed the cytokines ($IL-1{\beta}$, IL-6, IL-10, iNOS, $MIP-1{\alpha},\;MIP-1{\beta},\;MIP-1{\gamma},\;TGF-{\beta},\;TNF-{\alpha}$). We picked the alveolar macrophage out of mice and cultured it. We analyzed the cytokine gene expression by reverse transcription-PC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 Sochungyong-tang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IL-1{\beta}$ in time and concentration. 2. Sochungyong-tang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IL-6 in time and concentration. 3. Sochungyong-tang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IL-10 in concentration. 4. Sochungyong-tang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iNOS. 5. Sochungyong-tang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GF-{\beta}$ in time and concentration. 6. Sochungyong-tang showed on inhibitory effects on $MIP-1{\alpha},\;MIP-1{\beta},\;MIP-1{\gamma}$, $TCF-{\beta}$, $TNF-{\alpha}$. According to above results, it is supposed that Sochungyong-tang has the inhibitory effects on cytokine gene expression in mouse alveolar macrophage and can be usefully applied for curing inflammatory process of lung disease. Advanced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cure mechanism of Sochungyong-tang in the future.

  • PDF

양극성장애에서 Interleukin-12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의 치료 전후의 변화 (The Change of Interleukin-12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Level in Manic Patients after Treatment)

  • 최현석;김용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3권1호
    • /
    • pp.32-37
    • /
    • 2006
  • Background :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alterations of cytokine level could be related to the pathophysiology of bipolar disorder. In this study, we measured plasma level of Interleukin-12(IL-12), a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TGF-${\beta}$1),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acute manic patients. Methods :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IL-12 and TGF-${\beta}$1 were measured using quantitative ELISA in 18 bipolar disorder patients and 25 normal controls at admission and 6 weeks later. The psychopathology was measured by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and Young Mania Rating Scale(YMRS). Results : IL-12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ipolar manic patients than in controls before treatment. Following the 6-week treatment, the IL-12 level was decreased than before treatment, but sustained still higher level than normal control. TGF-${\beta}$1 level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m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before treatment, but was increased after treatment comparing with before treatment in bipolar patients. The ratio of IL-12 and TGF-${\beta}$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 Conclusion : Cytokine abnormalities in bipolar disorder might be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the illness. It is possible that TGF-${\beta}$1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immunological imbalance in bipolar disorder.

  • PDF

Cytokine expression and localization during the development of glomerulosclerosis in FGS mice

  • Park, Sang-Joon;Lee, Sae-Bom;Lee, Young-Ho;Ryu, Si-Yun;Jeong, Kyu-Shik;Lee, Cha-Soo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5-25
    • /
    • 1999
  •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age-related development in FGS/NgaKIST mice with spontaneous glomerulosclerotic lesion, we examined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various cytokine mRNA in the kidney in the progression of diseases. This mouse model is the first to develop spontanously occuring glomerosclerotic lesion in the kidney. In this study, we detected the up-regulation of local cytokine genes such as IL-1$\beta$, IL-2, IL-6, IL-10, TNF-$\alpha$, TGF-$\beta$, and IFN- $\gamma$ in the kidneys. In RT-PCR and Southern blot analysis, we detected gradual expressions of cytokine mRNA of IL-1$\beta$, IL-2, IL-6, IFN- $\gamma$, and TNF $\alpha$ mRNA during the course of disease. Other cytokines including IL -10 and TGF -$\beta$ were found to be appeared the slightly expressed level at 3 to 12 weeks before onset of inflammatory lesion but they are highly expressed at the end-stage of the disease accompaning high proteinurea and wasting. In situ RT-PCR, each cytokine mRNA were specifically localized in a variety of cells including mesangial, endothelial, parietal epithelial, tubular epithelial, arterial muscle cell, and infiltrated inflammatory cells. In addition, TNF - $\alpha$was detected moderately in the visceral and parietal epithelial cell, but weakly in endothelial and mesangial cells, whereas IL-1 $\beta$ and IL -6 were strong in mesangial regions. IL-6 and TNF- $\alpha$ was highly localized in the damaged proximal and collecting tubules. Especially, TGF -$\beta$ mRNA was highly found in mesangial cells within glomerulus and interstitium during the end-stage of this dise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 $\beta$, IL-2, IL-6, and TNF- $\alpha$ were gradually expressed from the early stage of this disease to the end-stage, and that IL-10 and TGF-$\beta$ may be important in the accumulation of extracellular matrix(ECM) within glomerulus and periglomerular fibrosis in the progression of this disease as well as tissue destruction in end-stage of this disease.

  • PDF

폐결핵 환자의 폐포 대식세포에서 TNF-$\alpha$, IL-1$\beta$, IL-6 및 IL-8의 분비에 관한 연구 (Spontaneous and Stimulated Release of the TNF-$\alpha$, IL-1$\beta$, IL-6 and IL-8 of Alveolar Macrophages in the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942-952
    • /
    • 1998
  • 연구배경: 결핵균(m. tuberculosis)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능에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중요하며, 항 결핵반응은 주로 T-림프구와 대식세포에 의하여 매개된다. 결핵균이 대식세포에 탐식되면 특징적인 cytokine이 분비되며 이 cytokine이 잠재적인 면역조절반응과 결핵감염시 여러가지 임상증상을 나타내는데 관여하고, 특히 육아종 형성, 건락성 괴사, 및 지연형 과민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성 폐결핵환자의 기관지폐포 세척액에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cytokine인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1$\beta$, interleukin-6와 interleukin-8의 자발 및 LPS 자극 후의 분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폐결핵 환자 10예와 대조군 5예를 대상으로 기관지폐포 세척술을 시행하여 폐포 대식세포를 분리한 후 RPMI 1640 배양액에 폐포 대식세포가 mi당 $1 {\times}10^6$개가 되도록 희석하여 LPS 0.1 ${\mu}g/ml$, 1 ${\mu}g/ml$, 10 ${\mu}g/ml$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37^{\circ}C$, 5% CO2 하에서 24 시간 및 48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에서 TNF-$\alpha$, IL-1$\beta$, IL-6와 IL-8의 분비를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폐포 대식세포에서 측정한 24 시간 자발적 TNF-$\alpha$의 분비는 이환된 병변 $1149{\pm}805.5$ pg/ml, 대조군 $125{\pm}109.7$ pg/ml, 비병변 $127{\pm}135.6$ pg/ml, IL-6의 분비는 이환된 병변이 $20.6{\pm}16.12$ ng/ml, 대조군 $0.91{\pm}0.58$ ng/ml, 비병변 $1.10{\pm}1.38$ ng/ml로 병변에서 유의하게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p<0.05). 폐포 대식세포에서 LPS 10 ${\mu}g/ml$로 48 시간 동안 자극한 후의 TNF-$\alpha$와 IL-6 분비능은 결핵의 이환된 병변에서 대조군이나 비병변에 1:11하여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IL-1$\beta$와 IL-8의 24시간 자발적 분비능 및 LPS 10 ${\mu}g/ml$로 48시간 동안 자극한 후의 분비능은 결핵 병변의 대식세포에서는 측정되지 못하였으며, 대조군과 비병변에서 얻어진 대식세포에서는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TNF-$\alpha$의 분비는 대부분이 처음 24 시간에 분비되었으나 IL-1$\beta$, IL-6 및 IL-8의 분비는 48시간까지 점차 증가되었다. TNF-$\alpha$, IL-1$\beta$ 및 IL-6는 자발적 분비에 비하여 LPS를 0.1 ${\mu}g/ml$, 1 ${\mu}g/ml$, 10 ${\mu}g/ml$로 증가시킬 수록 분비가 증가되었으나 IL-8은 LPS 1 ${\mu}g/ml$ 시 분비가 고평부를 이루었다. 결핵 비병변에서 얻어진 폐포 대식세포에서 TNF-$\alpha$, IL-1$\beta$ 분비능은 초치료 환자에서 재발환자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IL-6와 IL-8의 분비능은 초치료와 재치료 환자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결 론: 폐결핵 환자의 폐포 대식세포의 cytokine 분비능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이는 직접 이환된 부위의 폐포 대식세포에 국한되었다. 또한 폐포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 IL-1$\beta$가 특히 결핵의 초감염시 균에 대한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COMBINANT $INTERLEUKIN-1{\beta}$, TUMOR NECROSIS $FACTOR-{\alpha}$ 및 INTERLEUKIN-6의 골흡수 유도 효과에 관한 연구 (ACTIONS OF RECOMBINANT $INTERLEUKIN-1{\beta}$,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6 ON BONE RESORPTION IN VITRO)

  • 이용무;최상묵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155-164
    • /
    • 1994
  • 치조골흡수는 만성치주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골흡수에 작용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도, 특히 최근에 들어서 몇몇 cytokine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interleukin-1(IL-1), tumor necrosis factor(TNF) 및 interleukin-6(IL-6) 등이 치주질환의 진행과정에서 중요한 치조골흡수요인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쥐의 골조직 배양실험을 통해서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1{\beta}$ ($rHuIL-1{\beta}$), recombinant human tumor necrosis $factor-{\alpha}$($rHuTNF-{\alpha}$) 및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6(rHuIL-6) 의 골흡수 유도효과를 알아보고, cyclooxygenase 억제제인 indomethacin과 recombinant murine $interferon-{\gamma}$($rMurIFN-{\gamma}$)가 이들 cytokine의 골흡수 유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이들 cytokine의 작용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생후 1-2일된 쥐에게 $1{\mu}Ci^{45}CaCl_2$를 피하주사하고 4일 후에 쥐를 희생시켜 $^{45}Ca$ 로 표지된 두개골을 얻어 24시간 전배양 후, 각 cytokine ($rHuIL-1{\beta}$, $rHuTNF-{\alpha}$ 및 rHuIL-6)과 cytokine 및 첨가약제 (indomethacin 및 $rMurIFN-{\gamma}$)가 함유된 배지로 교환하여 48시간 배양한다. 골흡수 유도효과는 두개골에서 48시간의 배양 중 유리되는 $^{45}Ca$의 방사능 정도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rHuIL-1{\beta}$ ($10^{-12}-10^{-9}M$) 및 $rHuTNF-{\alpha}$ ($10^{-10}-10^{-8}M$)는 농도변화에 따르는 골흡수 유도효과를 보였으나 , rHuIL-6 ($10^{-10}-10^{-8}M$)는 유의할 만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2. Indomethacin ($10^{-6}M$)은 $rHuIL-1{\beta}$$rHuTNF-{\alpha}$의 골흡수 유도작용에 유의할 만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3. $rMurIFN-{\gamma}$ (1000 U/ml) 은 $rHuIL-1{\beta}$$rHuTNF-{\alpha}$의 골흡수 유도작용에 유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연구를 통해 치주질환 환자의 치주조직에서 검출되는 $IL-1{\beta}$$TNF-{\alpha}$가 치조골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현유혈의 침자극과 황기약침이 실험용 생쥐의 면역활성물질 $IL-1{\beta}$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upuncture and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on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Mouse Cytokines $IL-1{\beta}$)

  • 손수곤;김종수;박원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6-25
    • /
    • 2000
  • Objective : Acupuncture and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stimuli have long been used to cure human diseases. However, the exact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mechanisms involved remain undiscovered. Thus,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show the scientific mechanisms involved. The effects of acupuncture and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which was known to date, as follow; effective circulation of body blood system and proliferation of leucocytes. Methods : In this study, we have applied acupuncture and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stimuli to mouse on Sinsuhyul, a stimulative point of oriental medicine, to see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cytokine $IL-1{\beta}$. Mice were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LPS) for inflammation induction and then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using each primer set were performed to trace the amounts of mRNA. Results : 1. $IL-1{\beta}$ was not expressed in LPS-nontreated mice at 15 to 60 min after acupuncture-stimuli. However, expression occurred after 3hrs. 2. $IL-1{\beta}$ was specifically expressed in LPS-treated mice at 30 min after acupuncture-stimuli. 3. $IL-1{\beta}$ was expressed in LPS-nontreated mice at 30 min after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stimuli, however, not expressed at 60, 180 min. 4. $IL-1{\beta}$ was gradually expressed in LPS-treated mice at 15 to 180 min after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stimuli. Conclusions : $IL-1{\beta}$ in LPS-treated mice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LPS-nontreated mice. We are now in the process of elucidating the immunological action mechanism of acupuncture and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stimuli. And cytokine $IL-1{\beta}$ can be used not only as a basis of the effects of acupuncture and Radix Astragali aqua-acupuncture but also as a diagnosis guide through the immunological actions of tho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