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oheximide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3초

치은 섬유모세포에서 Triclosan에 의한 Prostaglandin $E_2$ 합성 억제 (Triclosan Inhibition of Prostaglandin $E_2$ Production in Human Gingival Fibroblast)

  • 박성표;정현주;김영준;김옥수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345-356
    • /
    • 2004
  • The triclosan was shown to have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 with inhibi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prostaglandin $E_2(PGE_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whether and how $PGE_2$ could be inhibited by triclosan in human gingival fibroblast. Human gingival fibroblast-1 cells (ATCC CRL2014) were pre-treated for 1 hour with triclosan (0.001 ${\mu}/ml{\sim}10$ ${\mu}/ml$) and then stimulated with $TNF-{\alpha}$ (1.0 ng/ml). $PGE_2$ synthesis was evaluated by ELISA and gene expression of COX-1 and COX-2 was evaluated by RT-PCR after $TNF-{\alpha}$, triclosan, and NS-398 (COX-2 inhibitor, 5, ${\mu}M$) and/ or cycloheximide (protein synthesis inhibitor, 2 ${\mu}g/ml$). Triclosan was cytotoxic to human gingival fibroblasts in the concentration higher than 1.0 ${\mu}g/ml$ for longer than 24 hours in tissue culture. The $PGE_2$ synthesis was inhibited by triclosan in dose-dependent manner. Greater COX-2 mRNA suppression was observed with triclosan (0.1 ${\mu}g/ml$) than with $TNF-{\alpha}$ alone, without change in COX-1 gene expression. Inhibitory effects of triclosan on $PGE_2$ synthesis disappeared in presence of cycloheximide. This study suggests that triclosan inhibit prostaglandin $E_2$ at the level of COX-2 gene regulation and require de novo protein synthesis.

TNF-induced genes and Proteins

  • 이태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1회 추계심포지움 and 제2회 생리분자과학연구센터워크숍
    • /
    • pp.17-20
    • /
    • 1993
  • As a step toward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actions of TNF, we prepared a cDNA library from TNF-treated human FS-4 fibroblasts and used differential hybridization to identify cDNA clones corresponding to mRNAs enriched in TNF-treated eells. In Quiescent FS-4 cells n induces an increase in the level of some mRNAs within 20 to 30 min. Some of these immediate-early response mRNAs are elevated only transiently for about 30 to 120 min, e. g., c-fos and c-myc (Lin and Vilcek,1987) or the transcription factor IRF-1 (Fujita et al.1989). Such immediate-early gene products may be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other genes, but their transient induction suggests that they are not the actual effector molecules responsible for the phenotypic changes induced by TNF. We chose a 3-h incubation with W because we were seeking cDNAs corresponding to messages that are more stably elevated after TNF treatment. Indeed, the results shown in Figure 8 and 9 indicate that all of the mRNAs corresponding to the eight TSG cDNAs isolated remained significantly elevated after 16h of continuous treatment with TNF, and their kinetics of induction were clear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immediate-early response mRNAs such as c-fos, c-myc or IRF-1. Nevertheless, only the induction of TSG-21 (collagenase) and TSG-27 (stromelysin) nNAs was completely inhibited by cycloheximide and the induction of TSG-37 (metallothionein-II)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this inhibitor of protein synthesis. Induction of the other five TSG mRNAs by TNF was completelyresistant to cycloheximide, suggest ins that no protein intermediate is needed for the upregulation of these mRNAs.

  • PDF

Trichoderma속(屬)이 생산(生産)하는 항생물질(抗生物質)이 느타리버섯균(菌)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s of Antibiotic Components Produced by Trichoderma spp. to Oyster Mushroom)

  • 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09
    • /
    • 1985
  • 버섯 재배상(栽培床에)서 Trichoderma속(屬)을 분리, 동정하고 아울러 Trichoderma속(屬)이 생산하는 항생물질(抗生物質)이 느타리버섯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리된 Trichoderma속(屬)은 Rifai의 검색표에 따라 동정한 결과 Trichoderma hamatum, Trichoderma viride, Trichoderma koningii로 확인되었다. 2) 분리 동정된 Trichoderma속(屬) 중에서 Trichoderma viride(No. 10)이 느타리 버섯균 생육(生育)에 대한 저해율이 제일 높았다. 3) 각종 버섯균 중에서 Trichoderma viride(No. 10)에 의한 저해는 Pleurotus ostreatus와 Pleurotus sajor-caju가 제일 심했고 그 다음으로는 Lentinus edodes, Flammulina velutipes, Auricularicula auricula순이었다. 4) 추출된 백색 침상 결정 항균력(抗菌力)은 각각 1/10의 농도와 500ppm의 농도에서 cycloheximide $100{\sim}200ppm$의 항균력(抗菌力)에 해당하였다.

  • PDF

F9 기형암종세포에서 Ursolic acid의 apoptosis 유도기작 (Induction of Apoptosis by Ursolic Acid in F9 Teratocarcinoma Cells)

  • 강창모;백진현;김규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1-59
    • /
    • 1998
  • Ursolic acid(UA)의 apoptosis 유도능을 F9 생쥐 기형암종세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UA는 피부암화의 억제, tumor의 분화유도, tumor promotion의 억제 등의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pentacyclic triterpene acid로 물질로 알려져 있다. UA를 F9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비례로 성장억제를 나타냈다. 또한 apoptosis과정에서 관찰되는 전형적인 DNA 분절을 관찰할 수 있었고,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세포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역시 apoptosis과정에서 관찰되는 전형적인 형태인 염색질 응축, 핵의 분절들을 관찰할 수 있어, UA에 의한 항암 효과는 apoptosis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UA에 의한 apoptosis는 단백질 합성저해제인 cycloheximide에 의해 저해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UA를 F4쎄포에 처리한 후 oncogene의 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 c-myc과 laminin B1은 apoptosis과정동안 점점 감소하고 c-jun은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UA에 의한 F9 세포의 apoptosis에는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이 요구되며, c-myc 및 laminin의 발현 감소와 c-jumd의 발현 증가가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표고버섯의 영양요구성 및 약물내성주의 분리 (Isolation of auxotrophs and drug resistant mutants of Lentinus edodes)

  • 김채균;심미자;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135-141
    • /
    • 1996
  • 맛과 향이 탁월하며 항암작용을 지닌 표고버섯 Lentinus edodes의 균사체 균질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돌연변이주를 유도, 선발하였다. 자외선 조사시 생존율은 3분 조사시 2.45%, 10분 조사시 0.024%이었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돌연변이주 선발율은 0.40%이며, ethidium bromide (EtBr) 농화 법에 의해 glycerol 함유 배지에서 자라지 못하는 균주 34종을 선발하였다. 독립영양형으로 되돌아가는 비율은 $4.81{\times}10^{-4}{\sim}8.46{\times}10^{-4}$이었다. 돌연변이 주의 영양요구성을 검정하여 다양한 amino acid, nucleic acid, vitamin 요구성 균주를 선발하였다. 항진균성 약물의 MIC는 cycloheximide 2.0 ug/ml, p-fluorophenylalanine 1000 ug/ml, benomyl 2000 ug/ml이었다. p-fluorophenylalanine 1000 ug/ml에 내성 균주 5종과 benomyl 1000 ug/ml에 내성인 균주 8종을 선발하였다.

  • PDF

Effect of Kainic Acid on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in Rat Hippocampus

  • Won, Je-Seong;Lee, Jin-Koo;Choi, Seong-Soo;Song, Dong-Keun;Huh, Sung-Oh;Kim, Yung-Hi;Suh, H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5권6호
    • /
    • pp.451-456
    • /
    • 2001
  • In rat hippocampus, kainic acid (KA; 10 mg/kg; i.p.) increased the phosphorylated forms of ERK1/2 (p-ERK1/2) and Jun kinase1 (p-JNK1), but not p-JNK2 and p38 (p-p38). The preadministration with cycloheximide (CHX; 5 mg/kg; i.p.) inhibited KA-induced increase of p-JNK1, but not p-ERK1/2. Surprisingly, the phosphorylated upstream MAP kinase kinases (p-MKK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ir downstream MAP kinases. The basal p-MKK1/2 levels were completely abolished by KA, which were reversed by CHX. In addition, p-MKK4 and p-MKK3/6 levels were enhanced by CHX alone, but were attenuated by KA. Thus, our results showed that KA increased the p-ERK and p-JNK levels in rat hippocampus, which were not parallel with their classical upstreamal kinases.

  • PDF

검정곰팡이의 분화에 있어서 고인산뉴클레오티드의 출현 및 8-아자구아닌, 시클로헥시미드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ccurance of Highly Phosphorylated Nucleotides in the Differentiating Mycelia of Aspergillus niger and Effects of 8-Azaguanine, Cycloheximide on Sporulation)

  • 김종협;한희재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41-152
    • /
    • 1984
  • 1. 검정곰팡이 (Aspergillus niger)를 실험재료로 하여 동조적으로 액침배양한 결과 포자의 발아로 부터 균사의 생장, 생식기관의 성숙 및 무성포자의 형성까지를 재현시킬 수 있었다. 2. 각 분화과정에서의 균체로 부터 고인산화뉴를레오티드를 추출하여 P.E.I. Cellulose TLC법으로 전개시켰다. 3. 포자형성 직전의 균체로 부터 얻은 추출물 중에 구아노신테트라포스페이트 $(GP_4)$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4. 분화과정에 따른 균체로부터 추출한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포자형성 직전에 급격히 증가함을 알았다. 5. 정낭과 경자가 완성된 균체에 8-아자구아닌과 시클로헥시미드를 처리한 바 포자형성이 억제되었다. 6. 전낭과 경자가 완성된 균체에 이노신산과 구아닌산을 처리한 바 포자형성이 촉진되었다.

  • PDF

탈핵 후 동결한 MII 난자의 활성화 시기가 체세포 핵치환 이후 소 난자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Development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red Bovine Embryos Following Activation Timing in Enucleated and Cryopreserved MII Oocytes)

  • 박세필;김은영;김선균;이영재;길광수;박세영;윤지연;이창현;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5-252
    • /
    • 2002
  • 본 연구는 체세포 핵치환에 탈핵 후 통격한 소미수정란을 사용함에 있어서, MVC 초자화 동결방법과 탈핵난자의 활성화시기가 융해 후 생존율과 핵치환 이후 체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외에서 20시간 동안 체외성숙된 소 미수정란은 수핵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5$\mu\textrm{g}$/$m\ell$ hoechst 처리 후, 형광현미경하에서 핵을 제거하였다. 본 실험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 실행되었다 Group I은 동결하지 않고 핵치환을 한 대조군이며, group III와 group II는 핵이 제거된 난자를 MVC 방법으로 동결하기 전과 후에 활성화 처리 (5$\mu\textrm{m}$의 ionomycin에 의해서 5분간 처리) 한 군이다. 초자화 동결을 위해서는 group II와 group III의 탈핵란은 EG10에서 5~10분간 전처리하고 EG30에서 30초간 노출하여 액체 질소에 침지하였다. 융해는 37$^{\circ}C$에서 4단계로 이루어졌다. 실험군은 모두 소 귀세포를 이용하여 핵치환을 실시하였으며, 전핵을 유도하기 위한 활성화를 위해서는 10$\mu\textrm{g}$/$m\ell$ cycloheximide와 2.5$\mu\textrm{g}$/$m\ell$ cytochalasin D)가 첨가된 CRlaa 배양액에서 1시간, 이후 10 $\mu\textrm{g}$/$m\ell$ cycloheximide가 들어있는 CRlaa 배양액에서 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활성화 처리가 끝난 난자들은 CRlaa 배양액에서 2일간 배양하여 난할이 유도된 난자만을 선별하여 난구세포와 7일 동안 공배양하였다. 동결 융해 이후 group II와 group III의 탈핵된 소 미수정란의 체외 생존율은 81.0%와 84.9%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체세포와 수핵란과의 융합율도 각각 69.0%와 70.0%로 대조군 (75.2%) 과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난할율은 53.4%와 58.4%로 group II와 group III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group II의 분할된 세포질을 가진 이상난자의 비율이 group III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또한, morula 이상으로 발달율도 group II (8.6%) 에서 group III (15.6%)보다 낮은 결과를 얻었다 하지 만 group III (15.6%)의 체외 발달율은 대조군 (24.8%)과 유의한 차이를 없었다. 따라서, MVC 동결 방법은 탈핵된 소 미수정란을 동결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며, 탈핵 후 activation을 유도하고 초자화 동결한 난자는 동결하지 않은 신선란과 동일하게 체세포 핵치환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해바라기 하배축의 오옥신 유도 신장에서 RNA 및 단백질의 합성과 세포벽 산성화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RNA- and Protein-Synthesis and Cell Wall Acidification in Auxin-Mediated Elongation of Sunflower Hypocotyls)

  • 조형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2호
    • /
    • pp.107-116
    • /
    • 1992
  • 큐티클리층이 제거된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L.) 하배축 절편의 오옥신(IAA, $10\;\mu\textrm{M}$) 유도 신장 반응에 있어서 RNA, 단백질 합성 및 세포벽으로의 $H^{+}$ 방출과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하배축의 표피조직 바깥에 있는 큐티클층은 실험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대사억제제에 대해 어느 정도 불투과성 장벽으로 작용하여 억제제의 효과를 저하시키지만, 곱게 간 석영사로 하배축 절편을 문질러서 큐티클리층을 제거하였을 때 억제제들의 효과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단백질 합성 억제제인 cycloheximide (CHI, $10\;\mu\textrm{M}$)는 5분 정도의 지연시간 뒤에 IAA유도 신장반응을 억제하기 시작하였으며, 신장 반응 4-5분 전(IAA처리 10분 뒤)에 처리하였을 때 IAA에 의한 신장반응을 완벽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신장률이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IAA처리 60분 뒤에 CHI를 처리하였을 때는 신장률이 0에 이르기까지 60분 이상이 걸렸다. RNA합성 억제제인 cordycepin(COR, $200\;\mu\textrm{M}$)은 IAA보다 5분 먼저 처리하였을 때 신장반응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며, 정상상태의 신장을 완전히 억제하는 데는 70분 이상이 걸렸다. 원형질막 $H^{+}-ATP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vanadate(1 mM)는 IAA유도 신장과 세포벽으로의 $H^{+}$ 방출을 통한 배양액의 산성화를 모두 억제하였다. 또한 CHI는 완벽하게 COR 역시 현저하게 IAA에 의한 $H^{+}$ 방출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산성용액속에서, CHI에 의한 IAA 유도 신장의 억제가 다시 회복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CHI가 단순히 세포벽의 산성화를 억제하여 신장을 저지하는 것 같지는 않다. 이상의 결과에서 해바라기 하배축의 IAA유도 신장 반응의 시작과 세포벽으로의 $H^{+}$ 방출에는 단백질(생장제한 단백질)의 합성이 필요하며 이 단백질은 신장이 시작하기 전에는 존재하지 않고 IAA에 의한 신장 반응 및 분전에 새로 합성됨을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COR이 IAA 유도 신장을 억제한다는 것은 IAA에 의한 생장제한 단백질의 합성이 RNA합성 수준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신장 반응에는 세포벽으로의 $H^{+}$ 방출이 필요하나 이는 단순히 세포벽의 산성화를 통한 산성생장의 원인이 되는 것 같지는 않다.

  • PDF

암세포에서 Retroviral Vector를 이용한 종양괴사인자 유전자 이입후 획득된 종양괴사인자 내성의 기전 (The Mechanisms of Resistance to TNF in TNF-Sensitive Cancer Cells Transfected with TNF-$\alpha$ Gene Using Retroviral Vector)

  • 이혁표;오연목;유철규;김영환;심영수;한성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547-558
    • /
    • 1997
  • 연구배경 :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 TNF)는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바, 그 중 생체외에서 증명된 뚜렷한 항암효과로 말미암아 최근 항암유전자요법의 중요한 대상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유전자 이입의 기술적 문제로 생체외에서 암세포에 유전자 이입을 시행한 후 이를 다시 환자의 생체내로 이식하는 방법이 연구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저지들의 과거의 연구를 포함한 여러 연구에서 TNF가 이입된 암세포는 TNF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 획득내성의 기전을 밝히는 것이 종양생물학의 이해를 넓히고 보다 효과적인 항암유전자 요법을 개발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TNF 유전자 이입에 따른 암세포의 TNF에 대한 획득 내성에 새로운 방어단백질의 합성이 관여하는 지를 규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방 법 : TNF에 감수성을 보이는 생쥐 섬유육종 세포주인 WEHI164에 TNF-$\alpha$ 유전자를 retroviral vector를 이용하여 이입하고 TNF의 발현을 시도하여 PCR, ELISA, MTT assay로 확인하였고, TNF 유전자가 이입된 세포(WEHI164-TNF)는 TNF에 내성을 보이는지 역시 MTT assay로 검증하였다. WEHI164-TNF세포를 transcription 억제제인 actinomycin D와 translation 억제제인 cycloheximide로 처리한 후 역시 MTT assay로 TNF에 대한 감수성에 변화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결 과 : 1) TNF-$\alpha$ 유전자 이업 및 발현 확인 PCR을 시행한 결과 TNF 유전자가 이입된 WEHI164-TNF 세포주는 790 base pair 크기의 진한 DNA band를 보인 반면 모세포주는 보이지 않아서 retroviral vector를 이용한 유전자 이입이 DNA 수준에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WEHI164-TNF의 배양상층액에서 TNF양을 ELISA와 MTT assay로 측정한 결과, 생물학적 활성을 지닌 TNF를 $10.9{\pm}1.47ng/24hr/10^6cells$ 생산함을 알 수 있었다. 2) TNF 유전자 이입 전후, 암세포의 TNF에 대한 감수성 비교 TNF 농도 100ng/ml 에서 모세포는 $73{\pm}5%$의 세포독성을 보인 반면 WEHI164-TNF 세포는 $3{\pm}2%$의 세포독성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 < 0.00) TNF에 대한 내성을 획득함을 알 수 있었다. 3) TNF 유전자 이입 후 획득된 TNF에 대한 내성의 기전 WEHI164-TNF 세포를 actinomycin D로 처리한 경우 TNF 농도 10ng/ml과 100ng/ml에서 각각 $24{\pm}7%$, $44{\pm}6%$의 세포독성을 보여 control의 $6{\pm}2%$, $17{\pm}2%$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1) TNF에 대한 감수성이 부분적으로 회복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cycloheximide로 처리한 경우에서는 TNF에 대한 감수성에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 TNF에 감수성을 보이는 암세포주인 WEHI164에 TNF 유전자를 이입하여 TNF를 발현하게 하였을 때 그 세포 자신은 TNF에 대해 내성을 획득하게되며 이에는 미지의 방어단백질의 합성이 일부 관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