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bersecurity Workforc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8초

정보보호인력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대졸 초기경력자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Cybersecurity Workforce: Focused on the Recent College Graduates)

  • 이송하;전효정;김태성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68
    • /
    • 2021
  • Many organizations try to hire and retain a well-trained workforce to get their security level of IT assets and networks. However, most academic studies have focused on only how many workforces are needed to keep the secure function. We have to transit to other aspects of cybersecurity HRM studies because well-training workforces are not the problem of numbers but the quality. This study proves how the person-job fit and the work values impact job satisfaction of the cybersecurity workforce in early careers who graduated school recently and have a high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lot of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job satisfaction of the cybersecurity workforce in an early career as follows. First, the major-job fit of the cybersecurity workforce doesn't influence job satisfaction, unlike other studies. Second, what graduates learned in college is little helpful in hands-on work, so retraining the cybersecurity workforce in an early career is very important. Third, the cybersecurity HRM plans have to center on realizing the self-realization of workforc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미국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 법·규정 분석을 통한 국내 법·규정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Laws and Regulations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Cybersecurity Workforce Developing Laws and Regulations in U.S.)

  • 홍순좌;김준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23-139
    • /
    • 2020
  • 1987년 컴퓨터보안법에서 연방기관 인력의 컴퓨터보안 인식 및 실무 훈련을 의무화한 것이 미국의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 정책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법률 제·개정이 곤란한 경우, 인사관리처(OPM) 규정과 예산관리국(OMB) 회람 등을 통해 인력 양성 정책을 강화해왔다. GISRA 2000, FISMA 2002 법률이 10여 년간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에 대한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기술 발전 및 정책적 보완 필요성으로 FISMA 2014를 제정하였으며, 사이버보안 인력에 대한 법률은 2차례에 걸쳐 제정하는 등 미국 연방기관에서 사이버보안 인력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미국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 법·규정 등의 검토·분석을 통해 인력양성의 핵심 비교 항목을 도출하여 우리나라의 법·규정과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 ATE 정책 기반의 신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정책 비교 프레임워크 연구 (A Study on the Framework of Comparing New Cybersecurity Workforce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ATE Programs of U.S.)

  • 홍순좌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249-267
    • /
    • 2018
  • 미국의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정책은 2010년 시작된 NICE를 중심으로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기존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전문인력 양성 정책의 일환인 국가과학재단(NSF)의 첨단기술교육(ATE) 8개 분야 중 하나인 보안기술(Security Technologies)에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 보안기술 분야는 NICE와 연계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5종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ATE에서 지원하는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프로그램 5종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이 프로그램들과 유사한 우리나라의 정부지원 프로그램을 상호 비교하여 개선점을 도출한 후, 국가차원의 신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에 대한 추진 방향을 제안한다. 이때 적용된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정책 평가 프레임워크를 새로운 인력양성 정책 수립시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사이버 정보보호 인력의 양성과 유지를 위한 방향: 정보보호 전공자들의 직업 선택 의도에 관한 연구 (A Road To Retain Cybersecurity Professionals: An Examination of Career Decisions Among Cybersecurity Scholars)

  • 채상미;김민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95-316
    • /
    • 2012
  •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 사이버 정보 보호는 가장 중요한 분야로 대두 되고 있는 가운데 전문적인 정보 보호 인력에 대한 수요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 하고 있다. 전문적이고 능력 있는 정보 기술 인력의 보유는 정보화 사회에서 향후 경쟁력과 리더십을 얻는데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정보 보호와 관련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그들의 전공선택과 향후 정보보안과 관련한 직업을 선택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 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학생들이 전공 선택과 직업선택에 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 요인들과 학생들의 전공 및 직업선택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향후 우리 사회가 보다 우수하고 전문적인 정보 보호 인력을 양성하고 유지하는 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 보안 분야 전문가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 연구 (Development of a Cybersecurity Workforce Management System)

  • 안준영;이승훈;박희민;김현철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5-70
    • /
    • 2021
  • According to the trend of increasingly sophisticated cyber threats, the need for technology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to cyber security personnel management and training systems is constantly being raised not only overseas but also in Korea. Previously, the US and UK have already recognized the need and have been steadily conducting related research from the past. In the United States, by encouraging applications based on related research (NICE Cybersecurity Workforce Framework) and disclosing successful use cases to the outside, it is laying the groundwork for profiling cyber security experts. However in Korea, research on cyber security expert training and profiling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create a system suitable for the domestic situation, research and analysis of c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ere conducted over the past few years, and based on this, a prototype was produced for the study of profiling technology for domestic cyber security experts.

사이버보안 인력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자격등급 모델 설계 (An Qualification Level Model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yber Security Workforce)

  • 엄정호;김홍준;최윤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1-69
    • /
    • 2022
  • 대규모 사이버공격이나 테러가 발생하여 국가가 막대한 피해를 보거나 안보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었을 때에서야 비로소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높아진다. 또한, 정부에서는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과 확보 정책을 제시하곤 한다. 하지만, 양성된 사이버보안 인력이 관련 기관이나 기업에 취업한 이후에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은 아직 미약하다. 소프트웨어 인력은 표준화된 자격등급 모델이 있어서 각 등급별로 적합한 직무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사이버보안 인력도 경력, 학력, 교육훈련 실적 등을 고려한 특화된 자격등급 모델이 필요하다. 자격등급을 부여함으로써 각 등급별로 수행할 수 있는 직무를 설정하고 부서의 직책과 직위도 등급을 고려하여 부여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보안 인력의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자격등급 모델을 제안한다.

사이버보안 교육과정 특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 설계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ybersecurity Workforce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by Level of a Characteristic of Training Program)

  • 박기태;전효정;김태성;김인중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4호
    • /
    • pp.127-138
    • /
    • 2016
  •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such as establishing new major/department and operating a variety of education programs related with cybersecurity. However, it has not yet been constructed virtuous cycle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and training to professionals with the high level and quality. In this study, by surveying and analyzing satisfaction abou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imed at employees in public sector who are in charge of cybersecurity, we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cybersecurity experts required at the national level.

정보보호 업무인력의 경력개발을 위한 재교육 방향 (A Study on Retraining for Career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curity Workforce)

  • 전효정;김태성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4호
    • /
    • pp.67-77
    • /
    • 2018
  • With the types and targets of cyber attacks expanding and with personal information leaks increasing, the quantitative demand for information security specialists has increased. The base for training the workforce has expanded accordingly, but joblessness and job-seeking still coexist. To resolve the gap between labor demand and supply,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that can supply demand quickly are needed.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for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and new manpower supply through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o be reflected in the market. However, if information security retraining is carried out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curity and related workforce, the problem of lack of experts could be solv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This paper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security work of the information security workforce, the degree of skill level, the need for retraining, and the workplace migration experience; it also discusses the direction of career development retraining.

공공부문의 사이버보안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탐색적 연구 (Are There Any Solutions for the Cybersecurity Education Gap in the Public Sector?)

  • 이송하;전효정;김태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973-985
    • /
    • 2021
  • 우리나라는 명실상부한 전자정부 강국으로서 오랜 기간의 경험과 잘 구축된 정보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일찌감치 행정업무의 효율성과 국민의 편의성은 확보했지만, 그만큼 크고 작은 사이버 공격에 항시 노출되어 있다. 행정 및 공공부문의 사이버보안 대응력 및 회복력 확보는 국가경쟁력의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해 잘 훈련된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재교육을 통해 계속해서 역량개발을 지원해야 한다. 하지만 국가균형발전사업으로 기관과 인력이 지방으로 이전하였음에도 교육시설의 이전이나 확장은 이루어지지 않아, 오히려 재교육을 통한 역량개발의 기회는 박탈되고 있는 것은 아닐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 사이버보안 교육기회나 요구사항에 있어 지역, 기관, 인력의 특성에 따라 격차가 있는지 실증하고자 한다. 더불어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부문 사이버보안 인력의 교육격차 해소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Early Career Turnover Model and Career Path for Self-realization: Findings in Korea's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 Song-Ha Lee;Hyo-Jung Jun;Tae-Sung Ki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3권4호
    • /
    • pp.1135-1155
    • /
    • 2023
  • Management of the workforce in the early career stage who enter information security work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or university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develop their information security careers without leaving the organization can be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absolute shortage of staffing and lack of skills. This is because the workforce can improve their job skills, and organizations can build a stable, cost-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constructed and verified a turnover intention research model focusing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of early-stage workforce who took their first steps in society as an information security workforce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y or college; it confirmed that self-realization is a crucial factor. Furthermore, with in-depth interviews, the career path information of skilled workers, which is essential information necessary for self-realization, was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HRM for self-realization of the workforce in the early career stage was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