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ber Insuranc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초

ESG 성과가 기업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ESG Performance on Firm Risk)

  • 최정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9-26
    • /
    • 2023
  •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성과가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과거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집중하던 투자자의 시선이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의 이익이라는 비재무적 성과로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인 ESG 성과가 기업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평가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ESG 성과는 세 가지 기업위험(체계적위험, 비체계적위험, 총위험) 모두에 대해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해관계자이론과 위험관리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ESG는 비체계적위험 뿐만 아니라 광범위하고 무차별적인 체계적위험도 감소시키고, 둘째, 투자자는 ESG 투자를 집행함으로써 투자포트폴리오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셋째, 기업은 ESG 경영의 보험기능을 활용함으로써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재무성과를 영위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정부는 합리적인 ESG 관련 규제를 통해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을 제고하면서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사외이사 특성과 주식성과 : KOSDAQ, NASDAQ IPO기업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Outside Directors' Characteristics on Performance: Focused on KOSDAQ and NASDAQ IPO Firms)

  • 전호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1-23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와 미국 IPO기업을 대상으로 이사회내의 사외이사의 특성, 사외이사에 대한 보상 등이 기업공개 후 누적비정상 수익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래의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KOSDAQ기업의 사외이사의 연령과 누적비정상수익률(CAR)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NASDAQ 기업에서는 유의한 양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50대 초과 사외이사 그룹은 50대 이하 그룹보다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사외이사의 학력과 국내 KOSDAQ기업의 CAR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도출할 수 없었다. 그러나 미국기업의 경우에는 대체로 학력이 높을수록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사외이사의 경력과 관련해서는 전문성과 대표이사 경험을 보유한 사외이사가 회색이사 그룹 군에 비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외이사의 보수와 기업가치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한국기업의 경우 유의하지 않은 음(-)의 관계를 보였으나 미국기업의 경우에는 양(+)의 유의한 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미국기업의 경우 사외이사의 Stock Option과 누적비정상 수익률 간에는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어 이러한 결과로 유추해 볼 때 사외이사의 Stock Option이 기업가치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 PDF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제공 실태 (An Analysis of Infrastructure and Provis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 이인숙;김성재;방경숙;이윤정;김미주;문효정;연평식;하이얀;진영란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69
    • /
    • 2018
  •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서비스 실태, 관련 인식을 조사하여 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전국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한 달간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23개 기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응답자는 대부분 원장 혹은 사무국장이었다(75.0%). 복합건물의 일부 층을 사용 중인 노인요양시설(16.3%)은 시설 내에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를 갖추기 힘들 것으로 사료되고, 인근에 숲이 없는 경우(약 30%)와 숲이 있더라도 휠체어나 경사로가 없는 경우가 많아 이용에 제약이 많았다. 노인요양시설 운영자들도 산림복지서비스가 노인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지만,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필수항목은 아니고, 비용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면서도 낙상, 이식증 등 사고위험이 있어 수행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노인요양시설을 평가할 때, 숲 등 산림치유적 요소를 갖추었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시설 내 정원에 화장실 접근성을 높이고, 시설 인근 숲에 휠체어 진입이 가능한 통로와 리프트 이동로,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산림복지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는 노인요양시설 산림복지서비스 가이드라인을 개발 보급하여 시설 내외부에서 간편하게 따라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편안함과 적절한 인지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