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ized Service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23초

고령자의 요구도 분석을 반영한 고령자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 (Reflecting the needs analysis of the elderly Elderly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model)

  • 정은영;김재승;박동균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7-140
    • /
    • 2018
  •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한 고령자의 건강증진 효과에 관련한 연구는 그 동안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정작 건강관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고령자들의 니즈를 파악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시, 농촌간의 지역별 특징과 수요를 분석을 통해 고령자 건강관리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도심지역과 농촌지역별 고령자의 건강관련 프로그램 이용현황 및 건강관리방법과 건강관리 서비스 형태 및 콘텐츠에 대한 지역별 수요 분석을 통하여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생활환경 기반 u-건강관리서비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u-Health Care Services in the Life Environment)

  • 홍인화;김주영;최호천;김찬규;정광모;김남일;강정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07-118
    • /
    • 2011
  • 논문은 U-Health Service 기술분야로 기존의 사업자 중심의 U-Health Service와 달리 이용자(시민)와 서비스 제공자(의료서비스) 관점에서 건강관리 서비스를 기획하고, IT기술을 활용하여 개발 구축한 서비스이며, 성남시 지원의 산학연과제로서, 성남시 탄천변에 구축 운영중인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 논문이다. 본 건강관리 서비스는 이용자 관점에서 서비스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4가지 주요원칙(최대한 단순하게, 최대한 가볍게, 맞춤형을 지향, 재미있는 피드백)하에 구현하였으며, 건강 관리서비스의 핵심 알고리즘은 평가/처방/모니터링/피드백의 4가지 단계로 구성되어있고. 시스템 구성은 평가 부분은 성남시 탄천변의 금곡공원에 건강지킴이 부스를 설치하여 RFID와 체성분계, 혈압계를 연동한 건강측정 및 평가를 제공하고, 건강관리서비스 처방엔진을 통해 개인 맞춤형 건강행동 처방(운동처방 및 건강신호등 처방)이 제공되며, 처방된 운동 처방은 탄천변의 기 구축된 운동시설(근력, 유산소)을 통해 이용자 스스로가 맞춤형 운동을 시행하고, 모니터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피드백 서비스가 제공된다. 본 건강관리 서비스는 2010년1월 ~ 12월(개발), 2011년 1월~2월(시범서비스 및 시스템 안정화), 2011년 2월 ~ 3월(분당 서울대병원 중심의 50명의 임상군을 대상으로 한 2개월간의 임상시험), 2011년 3월부터 현재 까지 600여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시민 자율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생활환경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몇 가지 이용자 측면에서의 이용 편이성을 높이고, 지자체/의료기관/방송사업자가 연계된 사업모델이 발굴된다면 향후 유비쿼터스 건강관리 서비스 분야에서 성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청소년 성장관리와 예측을 위한 맞춤형 3D 캐릭터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Customized 3D Characters for Growth Management and Prediction of Adolescents Using Big Data)

  • 추혜진;하서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50-257
    • /
    • 2018
  • 오늘날 ICT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스마트 기기의 결합은 쉽고 빠른 정보 검색 뿐 아니라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우리의 삶을 온라인 커뮤니티 환경 속으로 빠르게 이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의 활동이 다방면에서 방대한 데이터로 축적되면서, 일상의 데이터는 이전과는 다른 가치를 재생산하며 여러 분야에서 이를 활용한 새로운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다. 근래 들어 보건의료 영역에서도 빅데이터의 활용도가 크게 주목 받고 있는 가운데, 특히 빅데이터와 모바일이 연결된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은 이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 예측 모바일 맞춤형 서비스 개발을 위하여 개인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으로 3D 아바타 캐릭터 모델 제작을 제안하고, 사용자가 캐릭터에 몰입과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효과적인 시각적 표현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MBTI-based Recommendation for Resource Collaboration System in IoT Environment

  • Park, Jo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5-43
    • /
    • 2017
  • In IoT(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ers want to receive customized service by users' personal device such as smart watch and pendant. To fulfill this requirement, the mobile device should support a lot of functions. However, the miniaturization of mobile devices is another requirement and has limitation such as tiny display. limited I/O, and less powerful processors. To solve this limitation problem and provide customized service to users, this paper proposes a collaboration system for sharing various computing resources. The paper also proposes the method for reasoning and recommending suitable resources to compose the user-requested service in small device with limited power on expected time. For this goal, our system adopts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to analyzes user's behavior pattern and recommends personalized resourc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zation. The evaluation in this paper shows that our approach not only reduces recommendation time but also increases user satisfaction with the result of recommendation.

비대면 미술교육 서비스를 위한 맞춤형 ART 융합 서비스 연구 (A study on customized ART convergence service for non-face-to-face art education service)

  • 김형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75-280
    • /
    • 2022
  • 본 논문은 비대면 미술감상 교육을 위해 사용자의 상황 정보 및 취향에 맞는 태그가 융합된 융·복합 예술 플레이리스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기술의 구현을 위해 예술 작품의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작품들의 태그를 기반으로 관련된 음악과 미술작품을 매칭한다. 또한 매칭된 작품을 활용해 융·복합 예술 관람 플레이리스트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탐색 (Network Analysis to Describe Service Link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 장숙랑;조성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
    • /
    • 2012
  • Objectives: The nurse visiting health service named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CVHCP) requires the service innovations incorporating community support into a local service ne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mmunity network in CVHCP and inform improvement in this network. Methods: We used Social Network Analysis(SNA) in one CVHCP at H city. Network links were genera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by the 14 community resource centers who quantified their links to all other 25 agents on the list. Links were analyzed by a dichotomous scale for any experience of collaboration and a scored scale of 0 to 3 for level of collaboration using UCINET v6. Results: A list of 14 agents was generated, and local network was dominated by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a local welfare center named Unlimited Care Center(UCC). According to centrality score, UCC was the most prominent agent, and Public Health Center was the most influential agent, being a link in the pathway flow between other agents for 9.5% of contribution. CVHCP scored lower rank of prominent with 30.8% of other agents reported referring to it. Conclusions: Social network analysis provides a useful network description for informing and evaluation service network improvement in maximizing its service for the CVHCP.

거주자 행위기반 유비쿼터스 주택의 시스템 구조 (System Architecture of Ubiquitous House based on Human Behavior)

  • 송정화;오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04-131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거주자의 명령 없이도 스스로 거주자의 행위를 배워서 다가올 상황을 예측하고 이에 맞춰진 개인화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유비쿼터스 주택의 시스템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 구조가 갖춰야 할 전제조건으로 거주자의 행위패턴, 공간이동패턴, 서비스패턴을 조합한 맞춤형 서비스개념 도입이 필수적임을 도출했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4가지 구성요소로 Agent, Database, Working Memory, Log Data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들 4가지 구성요소를 갖는 지능형 유비쿼터스 주택의 시스템 구조는 처음에는 거주자 행위의 사례나 패턴이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각 거주자에 대한 정보가 누적되고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인식하게 되면서 거주자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시나리오 기반 스마트 단말기 대상의 지능형 콘텐츠 큐레이션 모델 (Intelligent Contents Curation(ICCuration) model for Smart Device based on Scenario)

  • 송수미;윤용익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17-123
    • /
    • 2012
  • 스마트단말기에 장착된 다양한 센서들과 사용자의 앱 혹은 웹 활동 내역들은 사용자의 패턴을 파악하고 예상하기에 좋은 정보이다. 이러한 정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사용자 개인의 맞춤화가 가능한 콘텐츠 서비스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대는 콘텐츠 서비스가 단순히 스마트 단말기로 수많은 콘텐츠를 이용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고 즐겨 찾고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선별하고 예상하여 추천하는 형태로의 변화를 촉진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를 위해서는 마치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의 큐레이터의 역할을 해주는 시스템이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정보를 사용자 개인의 패턴 지식으로 형성, 패턴 지식을 기반으로한 추천 콘텐츠 선별의 과정을 가진 지능형 콘텐츠 큐레이션(Intelligent Contents Curation: ICCuration) 모델을 제안한다. ICCuration는 주요 작업에 따라 크게 3개의 하위 모듈이 존재한다. 수집된 사용자 정보는 시간에 따른 정보 요소들의 집합인 시나리오로 가공되며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추천될 콘텐츠가 선택된다. 시나리오 상에서는 사용자의 기호 및 행동정보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단말기정보도 포함된다. 이에 콘텐츠는 도메인 카테고리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최적화 할 수 있는 미디어 형식까지도 사용자 맞춤화가 가능하다.

PHR 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정보 탐사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knowledge search algorithm for PHR based personalized health information system)

  • 신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191-198
    • /
    • 2017
  • PHR(Personal Health Record)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지능화를 위해서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맞춤형 건강정보 추천을 위해서 온톨로지 기반 건강 정보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계학습과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유사 건강정보 탐사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데이터마이닝 기법중 연관규칙 알고리즘을 확장하여 속성을 기반으로 연관규칙 탐사를 수행하여 지식탐사의 연관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탐사시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머신러닝의 한 기법인 K근접이웃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별 그룹화를 수행하고 유사패턴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사용자의 질환과 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건강정보 탐사 수행의 효율성을 높인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에서 추론과정에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개인맞춤형건강정보를 추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고령화사회에서 스마트한 자가 건강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도서관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한 이용자-도서관 관계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ser-Library Relationship with the Library Curation Service)

  • 곽우정;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7-162
    • /
    • 2020
  •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시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강화'를 핵심과제로 선정함에 따라 최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도서관의 이용자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가 도서관과 이용자의 관계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 큐레이션 서비스는 이용자의 만족도와 신뢰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만족도와 신뢰도는 도서관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 그리고 이용 증가 및 새로운 서비스 이용의사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이용자 수요조사에 기반한 이용자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미래사회에 도서관의 경쟁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한국의 공공도서관의 위상을 제고시키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