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ization selection syste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체감형 게임의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디자인 시스템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 Customization System for Motion Sensing Game)

  • 황해표;현승훈;유석호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15-21
    • /
    • 2022
  • 코로나19의 확산과 함께 야외 운동이 제한되면서 실내에서 체감형 게임을 이용하는 이용자 수가 늘고 있다. 게이머를 대신하는 아바타 형식의 캐릭터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게이머에게 게임에 대한 매력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개발자들에게 중요한 연구주제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판매량이 많고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체감형 게임을 게임 분석 사례로 선택하였다. 선택된 세 개 게임의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분석을 통해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체감형 게임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단점을 도출하고 선택 시스템,변형 시스템,부분 시스템에 대해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제안이 향후 체감형 게임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설계에 나름의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맞춤된 COM 컴포넌트를 위한 효과적인 테스트 데이타 선정 기법과 적용사례 (An Effective Test Data Selection Technique for Customized COM Components and its Empirical Study)

  • 윤회진;이병희;김은희;최병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6호
    • /
    • pp.741-749
    • /
    • 2004
  •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서 컴포넌트 사용자는 개발 목적에 맞추어 컴포넌트를 맞춤 할 필요가 있다. 컴포넌트는 그 내부에 블랙박스특성을 갖는 부분과 화이트박스특성을 갖는 부분이 공존하고, 맞춤으로 인해 화이트박스 부분이 변형되며, 이때 발생하는 오류는 블랙박스 부분과 화이트박스 부분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블랙박스 부분과 화이트박스 부분 사이의 통합 테스트인 맞춤 테스트를 위해서 새로운 테스트 기법이 요구된다. 또한 테스트 기법이 비용 절감 효과를 노리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테스트 데이타의 선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아키덱쳐로 COM(Component Object Model)을 대상 컴포넌트로 선정하고, 다양한 COM 컴포넌트들의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테스트 데이타를 선정하는 맞춤 테스트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기법이 선정하는 테스트 데이타가 오류 감지 능력에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실험을 통해 평가한다. 또한 본 기법을 실제 대규모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인 샤모아에 적용하는 예제를 수행함으로써, 본 기법이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의 일원으로서 실제 동작하는 COM 컴포넌트의 맞춤을 테스트할 수 있음을 보인다.

Quality Driven Approach for Product Line Architecture Customization in Patient Navigation Program Software Product Line

  • Ashari, Afifah M.;Abd Halim, Shahliza;Jawawi, Dayang N.A.;Suvelayutnan, Ushananthiny;Isa, Mohd Adham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7호
    • /
    • pp.2455-2475
    • /
    • 2021
  • Patient Navigation Program (PNP)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mplementation of health care systems that can assist in patient's treatment. Due to the feasibility of PNP implementation, a systematic reuse is needed for a wide adoption of PNP computerized system. SPL is one of the promising systematic reuse approaches for creating a reusable architecture to enabled reuse in several similar applications of PNP systems which has its own variations with other applications. However, stakeholder decision making which result from the imprecise, uncertain, and subjective nature of architecture selection based on quality attributes (QA) further hinders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 line architect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quality-driven approach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MCDA) techniques for Software Product Line Architecture (SPLA) to have an objective selection based on the QA of stakeholders in the domain of PNP. There are two steps proposed to this approach. First, a clear representation of quality is proposed by extending feature model (FM) with QA feature to determine the QA in the early phase of architecture selection. Second, MCDA techniques were applied for architecture selection based on objective preference for certain QA in the domain of PNP. The result of the proposed approach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PNP system with SPLA that had been selected using MCDA techniques. Evaluation for the approach is done by checking the approach's applicability in a case study and stakeholder validation. Evaluation on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the approach with selected stakeholders have shown positive responses. The evaluation results proved that the proposed approach assisted in the implementation of PNP systems.

다계층 광네트워크에서 계층간 경로설정 시스템 구조 연구 (A Inter-layer Path Provisioning System Architecture in Multi-layer Networks)

  • 김현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5-31
    • /
    • 2013
  • 최근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식이나 가치의 변화를 살펴보면 간단한 웹 정보와 같은 단방향 정보만을 제공받는 형태에서 자유로운 이동성을 기반으로 보안과 개인화가 보장된 대용량 정보 전송 형태로 바뀌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요구사항들의 변화에 따라 개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던 형태에서 하나의 형태로 통합되는 추세에 있다. 아울러 네트워크 또한 개별적인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러 네트워크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제어 기술이 핵심 요소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차세대 네트워크는 WDM/IP 전송기술을 기반으로 동적 재구성을 지원하는 다계층 네트워크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처럼 패킷-광전달 시스템(P-OTS)은 SONET/SDH와 Ethernet, DWDM, OTN, 그리고 ROADM과 같은 기술들을 통합한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계층 광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 PCE 기반 광 및 패킷전달계층 경로계산엔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재구성 프레임워크 설계 기법 (A Design Technique of Configurable Framework for Home Network Systems)

  • 김철진;조은숙;송치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844-1866
    • /
    • 2011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는 제조사별로 부과된 고유한 제어 데이터 포맷들을 가지고 있으며 거기엔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와 프로토콜 타입들이 있다. 게다가 다양한 디바이스들 간에는 서로 상호 운영환경들이 상이하기까지 하다. 이와 같은 특징들로 인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데이터 호환, 동시 제어, 동적 플러그인과 같은 결정적인 기능들을 지원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재사용성이 낮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변성들을 지원할 수 있는 재구성 가능한 프레임워크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가변적인 부분들을 추출하여 이러한 가변부들을 가변성 타입들로 정의한다. 그리고 이러한 가변부들을 반영한 재구성 가능한 프레임워크의 구조를 설계하고 선택 기법과 플러그-인 기법을 통해 재구성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특화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실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재사용성과 제안된 설계 기법을 평가하고, 재사용성 평가 메트릭을 이용해서 이러한 사례 연구들의 결과를 평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제안된 기법이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현존 시스템보다 재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을 기대한다.

국제프랜차이징 연구요소 및 연구방향 (Research Framework for International Franchising)

  • 김주영;임영균;심재덕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61-118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외 프랜차이즈의 해외진출에 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국제프랜차이징연구의 전체적인 연구체계를 세워보고, 연구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연구요인들을 확인하여 각 연구요소별로 이루어지는 연구주제와 내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주제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요한 연구요소들은 국제프랜차이징의 동기 및 환경 요소과 진출의사결정, 국제프랜차이징의 진입양식 및 발전전략, 국제프랜차이징의 운영전략 및 국제프랜차이징의 성과이다. 이외에도 국제프랜차이징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대리인이론, 자원기반이론, 거래비용이론, 조직학습이론 및 해외진출이론들을 설명하였다. 또한 국제프랜차이징연구에서 보다 중점적으로 개발해야 할 질적, 양적 방법론을 소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국내연구의 동향을 정리하여 추후의 연구방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