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urve of Wils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2.481초

The Lower Flash Points of the n-Butanol+n-Decane System

  • Dong-Myeong Ha;Yong-Chan Choi;Sung-Jin Lee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0-55
    • /
    • 2003
  • The lower flash points for the binary system, n-butanol+n-decane, were measured by Pensky-Martens closed cup test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e minimum in the flash point versus composition curve. The experimental data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reduced model under an ideal solution assumption and the flash point-prediction models based on the Van Laar and Wilson equations. The predictive curve based upon the reduced model deviated form the experimental data for this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predictive curves, which use the Van Laar and Wilson equations to estimate activity coefficients. However, the predictive curve of the flash poi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Willson equation described the experimentally-derived data more effectively than that of the flash poi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Van Laar equation.

Wilson과 Devinney의 모델과 Russell과 Merrill의 모델에 의한 식쌍성의 반사 효과 (THE REFLECTION EFFECT ON THE ECLIPSING BINARY BY THE WILSON AND DEVINNEY'S MODEL AND RUSSELL AND RUSSELL AND MERRILL'S MODEL)

  • 최성희;강영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30-40
    • /
    • 1992
  • 세 종류의 식쌍성에 대한 반사 효과를 Wilson과 Devinney의 모델과 Russell과 Merrill의 모델로 분석하였다. 반사 효과를 Wilson과 Devinney의 광도 곡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론적인 광도 곡선에 여러가지 유형별로 나타내었다. 그후 반사효과가 나타난 이론적인 광도 곡선을 Russell과 Merrill의 방법으로 근접 효과를 보정하여 두 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별의 온도 차이와 반사도의 차이가 작은 경우에만 반사 효과에 관한한 두 모델이 일치함을 보였다.

  • PDF

교합면의 해부학적 형태와 교합만곡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mandibular occlusal morphology and occlusal curvature)

  • 남신은;이희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7-22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generate 3-D occlusal curvatures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lusal curvatures and mandibular occlusal morphology factors. Methods: Mandibular dental casts from 25 young adult Korean were scanned as a virtual dental models with a 3-D scanner(Scanner S600, Zirkonzahn, Italy). The curve of Spee, curve of Wilson, and Monson's sphere were generated by fitting a circle/sphere to the cusp tips using a least-squares method. The mandibular mesiodistal cusp inclination, buccolingual cusp inclination, and tooth wear parameters were measured on the prepared virtual models using RapidForm2004(INUS technology INC, Seoul, Korea).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test side difference,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nvestigated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occlusal curvatures and correlated factors (a=0.05). Results: The mean radii of curve of Spee were $83.09{\pm}33.94$ in the left side and $79.00{\pm}28.12mm$ in the right side. The mean radii of curve of Wilson were $66.82{\pm}15.87mm$ in the mesial side and $47.87{\pm}9.40mm$ in the distal side with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mesiodistal sides(p<0.001). The mean radius of Monson's sphere was $121.85{\pm}47.11mm$. Most of the cusp inclination paramete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for the radius of Monson' sphere(p<0.05). Especially, the buccolingual cusp inclinations in mesial side of molar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factors(p<0.05). Conclusion: The radius of Monson's sphere was greater than the classical 4-inch values, and the buccolingual cusp inclinations in mesial side of molar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factors correlating with the radius of Monson's sphere.

클리브랜드 개방식 장치를 이용한 2-propanol+acid류 계의 하부 인화점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Estimation of Lower Flash Point for 2-Propanol+Acid Systems Using Cleveland Open Cup Apparatus)

  • 하동명;이성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2-37
    • /
    • 2007
  • 인화점의 정보를 확보하는 것은 화재 및 폭발의 예방을 위해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propanol+acetic acid 계와 2-propanol+n-propionic acid 계의 하부 인화점을 클리브랜드 개방식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값은 Raoult의 법칙, Wilson 식과 NRTL 식에 의해 계산된 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Wilson 식과 NRTL 식에 의한 예측값이 Raoult의 법칙에 의한 예측값 보다 실험값에 더욱 근접하였다. 또한, NRTL 식의 실험값에 대한 모사성이 Wilson 식의 그것 보다 우수하였다.

식쌍성 DO Cas의 광도곡선과 시선속도곡선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LIGHT AND RADIAL VELOCITY CURVES OF DO CAS)

  • 안영숙;김호일;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81-188
    • /
    • 2000
  • DO Cas는 최근 Shaw (1990)에 의해 근접촉쌍성으로 분류된 공전주기 0.68일의 식쌍성이다. 짧은 공전주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Mannino (1958) 이후 분광관측에 의한 시선속도 곡선이 발표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 Hill (1991)은 Mannino의 시선속도곡선이 오류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 로 보인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Asiago 천문대에 의뢰하여 Mannino가 분석한 분광관측 사진건판을 입수하여 PDS로 측정하여 IRAP로 재분석하였다. 이 시선속도곡선과 1998년에 관측한 BVR 광도곡선을 Wilson-Devinney 방법으로 동시에 분석하였다. 그 결과 DO Cas가 접촉 또는 주성이 로쉬엽을 채우고 있는 접촉에 매우 가까운 준분리형 쌍성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 계의 절대량을 구하였다.

  • PDF

Tag 개방식 장치를 이용한 o-Xylene+n-Pentanol 계와 m-Xylene+n-Hexanol 계의 하부인화점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Estimation of Lower Flash Point for o-Xylene+n-Pentanol and m-Xylene+n-Hexanol Systems Using Tag Open-Cup Tester)

  • 하동명;이성진;정기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9-2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o-xylene+n-pentanol 및 m-xylene+n-hexanol 계의 인화점을 Tag 개방식 장치(ASTM D1310-86)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값은 Raoult의 법칙, van Laar 및 Wilson 식을 이용한 계산된 값들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최적화법에 의한 예측값이 Rauolt의 법칙에 의한 계산 보다 실험값에 더욱 근접하였다. 또한, van Laar 식을 사용한 최적화법이 Wilson 식에 의한 최적화법 보다 실험값에 대한 모사성이 우수하였다.

접촉형 쌍성의 진화 검증을 위한 TY UMa의 CCD 측광관측 (CCD PHOTOMETRY OF W UMa TYPE BINARY TY UMa)

  • 강영운;황창덕;이희원;김천휘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55-62
    • /
    • 2001
  • W UMa 형 쌍성 TY UMa를 소백산천문대 61cm 반사망원경과 PM512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2001년 3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측광관측하여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광도곡선의 형태는 제 2극심이 제 1극심보다 더 깊고, 식 바같부분의 max 1은 max II에 비하여 평균 $0.^m023$밝게 나타나는 비대칭이다. 비대칭 광도곡선을 분석하기 위하여 흑점 모델을 도입하고, Wilson & Devinney의 차등보정법을 이용하여 측광학적인 해를 구하였다.

  • PDF

IUE ARCHIVAL SPECTRA OF 31 CYGNI

  • Kang, Young-Wo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8권1호
    • /
    • pp.53-61
    • /
    • 1991
  • UV light curve of 31 Cygni has been made from the IUE high dispersion specta. The depth of primary minimum of the light curve is 5.2 magnitudes because the B4 star's steep spectral gradient. The light curve has been analyzed by the method of Wilson and Devinney Differential Correction (WD). The radial velocities have been measured using the Mg II h lines. The spectroscopic elements have been determined by the method of WD. The change of the Mg II resonance doublet has been investigated based on the eight representative spectra taken at well distributed orbital phases.

  • PDF

이성분계 혼합물의 최소인화점 현상의 측정 (The Measurement of Minimum Flash Point Behaviour (MFPB) for Binary Mixtures)

  • 홍순강;윤명오;이성진;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13-118
    • /
    • 2011
  • 인화점은 화학물질의 연소성의 중요한 지표이다. 최소인화점 현상은 혼합물의 인화점이 개별 성분의 인화점보다 작은 값을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현상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혼합물의 특정 조성에서 매우 낮은 인화점을 가질 때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인화점 현상을 보이는 n-butanol + n-decane 계와 n-octane + n-propanol 계의 인화점을 Tag 개방식장치 (ASTM D1310-86)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값은 Raoult의 법칙, van Laar 모델식과 Wilson 모델식에 의해 계산된 값들과 비교되었다. 그 결과 van Laar 모델식과 Wilson 모델식에 의한 예측값이 Rauolt의 법칙에 의한 예측값보다 실험값에 더욱 근접 하였다. 이는 n-butanol + n-decane 계와 n-octane + n-propanol 계와 같은 비이상 용액의 활동도 계수값을, van Laar 및 Wilson 모델식이 Raoult의 법칙보다 정확하게 계산하기 때문이다. 또한 Wilson 모델식의 실험값에 대한 모사성이 van Laar 모델식의 그것보다 우수하였다.

Photometric Observation of the Asteroid-Comet Transition Object 4015 Wilson-Harrington

  • 김명진;최영준;변용익
    • 천문학회보
    • /
    • 제35권1호
    • /
    • pp.87.2-87.2
    • /
    • 2010
  • Near-Earth asteroid-comet transition object 4015 Wilson-Harrington is a possible target of the joint European Space Agency (ESA) and Japanese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JAXA) Marco Polo sample return mission. 4015 W-H was discovered showing cometary activity by Albert G. Wilson and Robert G. Harrington at Palomar Observatory in 1949. After recovered in 1979, 4015 W-H has been observed at every apparition, it always was seen as a point source. We made time series observations for 4015 W-H using the 1.8m telescope with 2K CCD at Bohyunsan Observatory, on the nights of 2009 November 17-19. The geocentric distance of 4015 H-W was about 0.38 AU at that time. No trace of cometary activity is seen from our images. From the light curve analysis, we find a double-peaked rotational period of 2.2 hours with amplitude of 0.4 magnitude. Our result is much shorter than previous measurements of 3.6 hours (Harris & Young 1983) and 6.1 hours (Osip et al 1995). We will discuss possible origin of the period vari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