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urative radiotherapy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9초

직장암의 근치적 수술 루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의 순서에 대한 고찰 -전향적 무작위 3상 임상연구 중간 결과 보고-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the Seciuence of Adi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ollowing Curative Resection of Stage II, III Rectal Cancer)

  • 김경주;김종훈;최은경;장혜숙;안승도;이제환;김진천;유창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17-25
    • /
    • 2000
  • 목적 : 근치적 수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치료로서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시행시, 방사선 치료와 화학요법의 시행 시점에 따른 부작용과 치료 실패양상, 생존율을 비교하고자 전향적 무작위 3상 임상연구를 시행하여 가장 적절한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순서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이CC 병기 2기 및 3기의 직장암 환자 313명을 대상으로 조기 방사선치료군(arm I)과 지연 방사선치료군(arm II)으로 나누어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 병용치료를 시행하였다. 화학요법은 5-FU 375 mg/m$^{2}$/day와 leucovorin 20 mg/m$^{2}$/day를 방사선치료와 동시치료 기간에는 3일간씩, 화학요법 단독 기간 동안에는 5일간씩 총 8회를 정맥주사하였고 방사선치료는 전골반 영역에 45 Gy/fractions/5 weeks를 시험하였다. 이 중 1998년 6월까지 등록된 228명을 대상으로 중간 분석을 시행하였고 228명중 두명의 환자는 이차적인 원발종양의 발생으로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Arm I은 1회차 화학요법과 동시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arm II는 화학요법을 2회 마친 후 3회차와 동시에 시행하였다. 중앙추적관찰기간은 23개월이었다. 결과 : 국소재발은 arm I에서 11명(9.7$\%$), arm II에서 9명(8$\%$)이었고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원격전이는 arm I에서 22명(19.5$\%$), arm II에서 35명(31$\%$)으로 의미있게 arm 1에서 낮게 나타났다(p=0.046). 그러나 3년 무병생존율(70.2$\%$ vs 59.2$\%$, p=0.2)과 3년 생존율(89.4$\%$ vs 88.0$\%$, p=0.47)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방사선 치료중 RTOG grade 1 이상의 백혈구 감소는 78.3$\%$에서 관찰되었고 방사선치료 후 화학요법 기간 동안에는 79.9$\%$에서 관찰되었으나, RTOG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은 각각 2.1$\%$, 6$\%$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저위전방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하루 10회 이상의 설사를 한 환자는 arm I에서 71.2%$\%$ arm II에서 42.6$\%$로 의미있게 arm I에서 높았으나(p=0.02) 이러한 부작용은 보조적인 치료로 회복되었다. 결론 : 근치적 절제술 후 그 순서에 관계없이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써 국소재발율을 낮출 수 있었다. 원격전이는 수술 후 조기 방사선치료군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뚜렷한 원인은 밝힐 수 없었고 향후추적 관찰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치료는 대부분의 환자가 큰 부작용 없이 마쳐 비교적 안전한 치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치료순응도는 좀 더 높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sychometric Analysis of a Persian Version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OG25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in Oesophagogastric Cancer Patients

  • Hesari, Ali Esmaeili;Lari, Mohsen Asadi;Shandiz, Fatemeh Homa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739-2745
    • /
    • 2014
  • Backgrou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L) is a fundamental outcome in oncology patients and quality of life (QOL) assessment requires clinically relevant questionnai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ranslation and definition of measurement properties and the clinical validity of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QLQ)-OG25 module in Persian patients with oesophagus, oesophagogastric junction (OGJ) or gastric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The translation procedure followed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guidelines. Both EORTC QLQ-OG25 and a core questionnaire (EORTC QLQ-C30) were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oesophagus (150), OG junction (93) and gastric (32) cancer undergoing multi-modal treatment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known-groups comparisons were used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In all, 275 patients (mean age 62 years) completed both questionnaires. Compliance rate was high and the questionnaire module was well accepted. We found good reliability for multi-item subscales of QLQ-OG25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0.76-0.89). About 73% had TNM staging and scales distinguished between clinically distinct groups of patients. However, patients in palliative group experienced compromised functional status and worse treatment-associated symptoms than those in the potentially curative group. Test-retest scores were consistent. Multi-trait scaling analysis demonstrated goo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onclusions: Overall, the Persian version of QLQ-OG25 demonstrated psychometric and clinical validity that supports its application as a supplement to the original tool (EORTC QLQ-C30) when assessing HRQL in patients with upper-gastrointestinal (GI) cancer both in curative and palliative phases.

초기 성문암 환자에서 소분할조사법의 방사선 치료 결과와 예후 인자 (A Result and Prognostic Factors of Hypofractionation Radiation Therapy in Early Glottic Cancer)

  • 이미조;김헌정;김우철;노준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2-138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gener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early glottic cancer(T1-2N0M0), by assessing the role of primary radiation therapy and by analyzing the tumor-related and treatment-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 treatment results. We also studied the results of 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Material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comprised 48 patients who suffered from early glottic cancer and were treated by primary radiotherapy at Inh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1997 and October 2004. T-stage distribution showed 38 patients as T1 and 10 patients as stage T2. Thirty-eight patients underwent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using a 6 MY photon beam, a total tumor dose of 63Gy, in 5 weekly fractions of 2.25Gy, with an overall radiation treatment time of 38 days. Ten patients in the T2 stage tolerated a total dose of 63-72 Gy(median 68.4Gy) in 5 weekly fractions of 1.8-2.0Gy, with an overall radiation treatment time of 40-87 days(median 51 days).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3 year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results. Result: The 5-year survival rate was 92% for all patients, 94% for T1 patients and 91% for T2 patients. The local control rate was 93.5% for all patients, 95% for T1 and 92.2% for T2 patients. Three patients suffered a relapse following radiotherapy, and underwent subsequent salvage surgery. We included T-stage, tumor location, total radiation dose, field size and overall radiation treatment time as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Only T-stag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but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i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 High curative and voice preservation rates were obtained with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urther study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is need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reatment result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mproves survival outcome in muscle-invasive bladder cancer

  • Byun, Sang Jun;Kim, Jin Hee;Oh, Young Kee;Kim, Byung Ho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294-300
    • /
    • 2015
  • Purpose: To evaluate survival rates and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treatment outcomes after bladder preserving therapy including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radiotherapy (RT) with or without concurrent chemotherapy in bladder cancer with a curative inten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50 bladder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bladder-preserving therapy at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10. Age ranged from 46 to 89 years (median, 71.5 years). Bladder cancer was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stage II, III, and IV in 9, 27, and 14 patients, respectively. Thirty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and 20 patients with RT alone. Nine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prior to CCRT or RT alone. Radiation was delivered with a four-field box technique (median, 63 Gy; range, 48.6 to 70.2 Gy). The follow-up periods ranged from 2 to 169 months (median, 34 months). Results: Thirty patients (60%) showed complete response and 13 (26%) a partial response. All patients could have their own bladder preserved. Five-year overall survival (OS) rate was 37.2%, and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DFS) rate was 30.2%. In multivariate analysis, tumor grade and CC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S. Conclusion: Tumor grade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related to OS. CCRT is also considered to improve survival outcomes. Further multi-institutional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impact of RT in bladder cancer.

식도암에 있어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Radiotherapy in Esophageal Cancer)

  • 최은경;김정수;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권2호
    • /
    • pp.123-129
    • /
    • 1985
  • 1979년 3월부터 1982년 10월까지 식도의 편평상피암으로 진단되어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46례에 대한 후향성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환자의 2년 생존율은 $20\%$이었으며 식도암의 위치, 크기, 병기, 방사선조사량 그리고, 관해정도에 따라 생존율에 차이가 있었다. 식도 촬영상 5cm이하$(39.3\%)$ 또는 적도의 상부 1/3에 종양이 있는 경우$(29.5\%)$에 가장 좋은 2년 생존율을 보였으며 척적방사선 조사량은 $1,600\~l,700ret$였다. 관해정도에 따른 생존율은 완전관해를 보인 경우의 2년 생존율이 $42.2\%$인 반딘 전혀 반응이 없던 경우의 2년 생를율은 $0\%$이었다.

  • PDF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 윤상모;김재철;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195-202
    • /
    • 1999
  • 목적 :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의 치료에 있어서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 유도 화학요법이 생존율 및 치료 실패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 혹은 병합요법(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을 받은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 단독군이 85명, 병합요법군이 45명이었다. 연령, 성별, 전신 수행능력, 병리조직학적 유형, 그리고 병기 등은 양군에서 고르게 분포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 MV 혹은 10 MV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였고, 일일 선량 $1.8\~2.0$ Gy를 주 5회 조사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129명에서 59.6 Gy 이상($56\~66$ Gy, 중앙값 60 Gy) 조사되었다. 유도 화학요법은 $2\~5$회(중앙값 2회) 시행하였다. 사용된 약제는 CAP (Cyclophosphamide, Adriamycin, Cisplatin)가 6명, MVP (Mitomycin, Vinblastine, Cisplatin)가 9명, MIC (Mitomycin, ifosfamide Cisplatin)이 13례, 그리고 EP (Etoposide, Cisplatin)가 17명에서 시행되었으며, 모든 요법이 Cis-platinum을 포함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1, 2, 3 년 전체 생존율이 각각 41.5, 13.7, $7\%$였고,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다. 치료 방법별 1, 2, 3 년 전체 생존율, 그리고 중앙 생존기간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 각각 32.9, 10.5, $6\%$, 9개월이었으며,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각각 57.8, 20, $7.6\%$, 14 개월이었다(p=0.0005). 최종 치료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던 126명 중 38명($30.2\%$)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치료 방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경우, 방사선치료 단독군에서 완전관해가 $25\%$ (21/84),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40.5\%$, (17/42)에서 완전관해를 보였다(p=0.09).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혈색소치(p=0.04), NSE (neuron-specific enolase)치(p=0.004), 그리고 최종 치료반응(p=0.004)등이었다. 치료 방법별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는 WSE치(p=0.006)와 최종 치료반응(p=0.003),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최종 치료반응(p=0.007)이 예후인자였다. 치료 실패양상은 추적 관찰이 가능했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었던 1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양 군간에 특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에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병합요법 군에서 원격전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방사선치료 단독군은 19명중 11명에서, 병합요법군은 13명중 3명에서 원격전이가 발견되었다(p=0.07). 국소 실패는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에서도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10/19 vs 6/13). 결론 :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의 경우 유도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써, 방사선치료 단독보다 2년 생존율이 향상 되었고, 적어도 완전관해를 보인 경우는 원격전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국소 실패양상 및 장기생존율에는 유도 화학요법이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국소 제어율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PDF

폐암환자에서 방사선 폐렴 예측을 위한 혈장 Cytokine측정 (The Measurements of Plasma Cytokines in Radiation-induced Pneumonitis in Lung Cancer Patients)

  • 허원주;윤선민;이헝식;양광모;신건호;손춘희;한진영;이기남;정민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314-320
    • /
    • 2000
  • 목적 :폐암으로 확진되어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방사선페렴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군을 사전에 예측해 보고자 혈장내 TGF-$\beta$1, TNF-$\alpha$, IL-6의 농도를 측정하여 페렴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8년 5월부터 1999년 7월까지 폐암으로 확진되어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17명의 환자(비소세포암 11명, 소세포암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주 5회 매일 1.8 Gy씩 실시하였고 비소세포암과 소세포암에서 각각 평균 60 Gy와 져 Gy를 조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 방사선치료 중 주 1회, 치료 후 추적관찰로 내원시마다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 TGF-$\beta$1, TNF-$\alpha$ 및 IL-6의 양을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단순흉부촬영(치료중 주1회, 치료 후 추적관찰 시마다 촬영) 및 방사선 폐렴과 연관된 증세를 관찰하여 방사선 페렴의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촬영(HRCT)를 촬영하여 방사선 폐렴 발생여부를 확진하고자 하였다. 결과: 17명의 환자 중 13명에서 방사선 폐렴과 연관된 증세가 발현되었고 단순 흉부 촬영과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찰영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선 폐렴이 발생한 환자에서 측정한 TGF-$\beta$1의 경우 특징적인 수치 변화를 보여 치료 전 평균값은 38.45 ng/ml로 방사선 페렴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 비해 상승되어 나타났고(0.7T ng/ml) 방사선치료 중 13.66 ng/ml의 평균값을 보인 후 다시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치료 2$\~$4주 후까지 평균 60.63 ng/ml로 상승되어 유지되었고 이 수치는 폐렴이 발생하지 않은 군과 비교할 때(12.77 ng/ml)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5). TNF-$\alpha$와 IL-6의 수치도 방사선 폐렴군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으나 수치변화의 양상은 특징적이지 못하였으며 통계학적 의미도 찾을 수 없었다. 결론: 방사선 치료를 받은 폐암환자에서 치료 전과 치료 기간 중 및 치료 후 측정한 혈장 TGF-$\beta$1,의 수치는 향후 방사선 페렴이 발생할 위험군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 예후 인자와 전체 치료기간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f Rectal Cancers - with the Emphasis of the Overall Treatment Time -)

  • 김주영;이명학;이규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303-310
    • /
    • 1998
  • 목적 : 국소적으로 진행된 직장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 전통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근치적 수술 및 보조 방사선 및 항암치료의 성적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7월 부터 1993년 12월 까지 항문상방 15 cm 이내에 존재하는 직장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수술을 받은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 MeV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여 주5회씩 5040 cGy 까지 조사되였고 수술후 21일에서 94일 사이에 시작되었고 5-FU와 ACNU chemotherapy가 4주 간격으로 시행되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58.8$\%$및 57$\%$였다. 대상환자들의 2년 국소제어율은 76.6$\%$였다. 생존기간 및 무병생존기간의 중앙값은 각각 30개월 및 27개월이었다. 단변량 및 다변량분석시 무병생존율에 의미있게 예후인자로 작용했던 요인은 국소림프절로의 전이여부, 4개 이상의 임파선 전이, 6주이상의 수술과 방사선치료 시작 사이의 간격 및 7일 이상 지속되는 방사선치료 도중의 휴식기간 등이었다. 결론 : 국소적으로 진행된 직장암의 경우 근치적 수술 및 방사선치료 및 5-FU/ACNU를 기본으로 한 항암제를 시행하였을 때 B3 이상의 병기에서는 아직도 생존율이 저조하며 bowel wall penetration이 있거나 국소 림프절전이가 있을 때는 국소제어율도 환자의 절반 정도에서 밖에 얻을 수 없을 뿐만이 아니라 림프절전이가 없는 경우라도 원격전이율이 치료실패의 많은 부분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좀더 효과적인 항암치료제의 선택과 투여 방법이 방사선치료와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수술 후 보조적인 방사선치료를 시행함에 있어서 방사선치료가 시작되는 기간이 지연될 때, 또 방사선치료가 7일 이상 중단될 때 치료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직장선암의 경우 수술과 방사선치료시작까지의 기간이 필요이상으로 연장되거나 치료중 휴식기간이 생겨 전체치료기간이 길어지지 않게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Thoracic Re-irradiation for Locally Recurrent Lung Cancer

  • Aktan, Meryem;Kanyilmaz, Gul;Koc, Mehmet;Aras, Serha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1호
    • /
    • pp.5041-5045
    • /
    • 2016
  • Background: Patients with recurrent or progressive lung cancer experience a significant symptom burden, negatively affecting quality of life and reducing life expectancy. Thoracic re-irradiation can be used for palliative treatment to relieve symptoms or as a curative treatment. Methods: Using patient charts, we identified and reviewed 28 cases that had received palliative thoracic re-irradiation for recurrent lung cancer. Results: Before re-irradiation, 32% of patients had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six had small cell lung cancer. The median interval between treatments was 18.7 months. Median follow-up was 31.2 months from the initial radiotherapy and 5 months after re-irradiation. A better performance status before re-irradiation (<80 vs >80, p=0.09) and a lower overlap 90% isodose (<70 vs >70, p=0.09) showed trends toward improved survival. Grade 1-2 toxicity from re-irradiation was recorded in 12/28 patients, and no grade 3 or 4 acute toxicity was encountered. Conclusion: The role of palliative treatment in survival is not clear but it can provide symptomatic relief in patients, with no high grade toxicity. Further studies with greater patient numbers and longer follow-up times should facilitate determination of the role of this treatment in toxicity and effects on survival.

경구경계부식도암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근치적 식도암적출술 (Thoracoscopic Radical Esophagectomy in Cervico-Thoracic Esophageal Cancer)

  • 박재길;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81-688
    • /
    • 1996
  • 경구경계부 식도에 발생된 악성종양의 경우에는 진단시에 이미 식도에 밀접해 있는 기관과 주요 신경 그리고 혈관등에 침범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외과적 절제에도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어 식도암 의 발생부위중 가장 예후가 불량한 부위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진행형 경흥경계부 식도암 환자 1례에서 합병치료로 종양의 묶췄를 향상시킨후, 흥강경 을 이용한비개흥적 종격동 림프절적출과 경부의 림프절을 확대적출함으로써 근치도III의 고치요도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끌병증의 발병없이 식도조영술에서 양호한 조명제의 통과소견을 보였으며, 병 리 조직학적 소견상 조기식도암(TINOMO, SM2)으로 판정되어 술후 합병치료는 시행하지 않고 경과를 관찰중에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