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pressacea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1초

제주도 청수공 시추코아에서 산출된 플라이스토세 포자·화분화석의 화분층서 및 고기후적 의미 (Palynostratigraphic and paleoclimatic implications of the Pleistocene Cheongsu Core sediments, Jeju Island, Korea)

  • 문병찬;정철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6-282
    • /
    • 2005
  • 제주도 청수공에서 산출된 포자$\cdot$화분화석군은 낙엽활엽수와 초본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풍부하게 산출되는 종류로는 소나무과, 오리나무속, 밤나무속/구실잣밤나무속, 느릅나무속/느티나무속, 명아주과 및 국화과 등이다. 전체적인 식생 조성에 근거하여 2개의 화분 분대를 설정하였다. 하부의 Zone I에서는 오리나무속, 명아주과 등이 우세하며 전반적으로 초본류가 풍부하게 나타난다. 상부의 Zone II에서는 전나무속, 낙우송과-측백과-주목과, 느릅나무속/느티나무속, 벼과 등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낙엽활엽수가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산출된다. 청수공의 포자$\cdot$화분화석군은 그 조성에 있어 중국의 동지나해 대륙붕에서 설정된 Alnipollenites(Alnus)-Chenopodipollis(Chenopodiaceae)-Compositae 군집대와 잘 대비되며 그 지질시대는 Pleistocene으로 해석된다. 오늘날 식생분포와의 비교 및 우세종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청수공 코아는 한랭한 온대 기후 하에서 형성되었으며 당시의 제주도에는 오늘날의 한라산과 같은 지형적 기복은 아직 발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airborne pollen in Korea peninsula

  • Moon, Hye-Kyoung;Kong, Min-Jung;Song, Jun-Ho;Kim, Sun-Yu;Kim, Jin-Suk;Jung, Eun-Hee;Park, Chan-Ho;Lee, Byoung-Yoon;Hong, Suk-Py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59-168
    • /
    • 2015
  • Although airborne pollen is invisible to the eye, it has been known as a major source to respiratory allergic reactions. For this reason, airborne pollen is monitoring in many countries to predict pollen concentration based on locality and season. Howeve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irborne pollen and their potential tendency as an allergen are still obscure. In the present study, we selected 52 airborne pollen samples based on previously reported data and investigated their detail pollen characteristics using LM and SEM. Major airborne pollen in Korea has sorted in 19 families (most angiosperms except four gymnosperm families), and all pollen grains are small to medium in size ($P=17.34-49.86{\mu}m$) apart from the bisaccate pollen grains of Pinaceae ($P=46.49-106.20{\mu}m$). The aperture number and shape vary from sulcate to polyporate. While the inaperture pollen has found only in gymnosperm (Cupressaceae and Taxaceae), triporate or polyporate is common pollen type in angiosperm. The sexine ornamentations could divide into several types, but the most sculpturing types are inconspicuous like psilate, rugulate and granulate. Reticulate pollen grains as a semitectum have occurred the species of genera Platanus and Fraxinus only. To estimate th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pollen features and allergen,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botanical context.

Essential Oil of Thujopsis dolobrata Suppresses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 Nam, Kung-Woo;Noh, Jae-Kyu;Kim, Su-Kwan;Lee, Sung-Jin;Kim, Kyeong-Ho;Oh, Ki-Bong;Shin, Jong-Heon;Mar, Woong-Ch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1호
    • /
    • pp.102-108
    • /
    • 2011
  • We examined the effects of essential oil from Thujopsis dolobrata Sieb. et Zucc. var. hondai Makino (EOTD) (Cupressaceae) on atopic dermatitis (AD)-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Treatment with EOTD twice daily for two weeks ameliorate AD-like skin lesions induced by DNCB (2,4 dinitrochlorobenzene), and clinical scores were reduced to 7.29, 7.07, and 4.5 points in the groups treated with 1.5%, 3.0%, and 6.0% extract (p<0.01) respectively, from the 15.0 score obtained using vehicle. EOTD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mast cells into the AD-like skin lesion in NC/Nga mice (p<0.01) and also reduced serum histamine and IgE levels (p<0.05). Furthermore, it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from rat basophilic leukemia RBL 2H3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OTD reduces AD-like skin lesions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IgE and histamine, and, thus, IgE-mediated degranulation.

국내산 및 일본산 식물체 추출물의 솔잎혹파리 유츙에 대한 살충활성 (Laarvicidal Acrivities of Extracts from Domestic and Japanese Plants aginst the Pine Needle Gall Midge (Diptera: Cecidomyiidae))

  • 김순일;안용준;이상길;김준범;변병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3-158
    • /
    • 1996
  • 국내산 41종과 79종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 및 일본산 1종 식물체 정유의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유충에 대한 살충황성을 여지접촉법과 충제침지법으로 조사한 결과 살추활성은 식물체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여지접촉법으로 여지당 시료 10mg을 처리하였을 때, 국내산 미나리아재비과의 지범, 부자의 위령선 뿌리 추출물과 일본산 측백나무과의 Thujopsis 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정유가 90%이사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충제침지법(5,000ppm)을이용한 생물검정에서는 T.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정유만이 강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T.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추출물의 솔잎 혹파리에의한 소나무림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희귀수종 향나무 자연집단의 분포와 성간 동태 및 보존 (The Distribution and Dynamics between Sexes, Conservation of Natural Populations of a Rare Woody Plant, Juniperus chinensis L.)

  • 신재권;정재민;김진석;윤충원;신창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0-410
    • /
    • 2015
  • Juniperus chinensis (Cupressaceae) is a valuable woody plant resource, but this rare plant is only distributed in restricted regions in Korea.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geographic distribution regions, variation of sex ratio and the dynamics of natural populations of J. chinensis. in order to establish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of this important resource tree. The 17 natural populations of J. chinensis are restrictively distributed in the shore cliffs of (1) Ulleungdo island, (2) Gyeongju-si to Gangneung-si of the eastern coast, the riverside cliff along (3) Donggang-river of Jungsun-gun and Pyeongchang-gun and (4) branch of Nakdonggang-river in Uiseong-gun. The populations in Ulleungdo island showed continuous population distribution of over 200 individuals, but populations in other regions had discontinuous population distribution of under 200. The population of J. chinensis surveyed in Korea was estimated in ca. 3,200 individuals. The sex ratio (male/female) among populations of J. chinensis was diverse with variation from 0.46~1.67 range, but showed no significance. The sex ratio of the total individuals by species level was 0.74,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tre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ale. The results of dynamics analysis within population among regions showed that seedlings and saplings of J. chinensis in three regions surveyed were continuously regenerating. The distribution of DBH class showed a stable population structure of inverse J shape graph, but fragmentation and decrease in populations because of invading broad-leaved shrubs and trees from the surroundings were concerned. Further studies, and in situ and ex situ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on natural populations of this rare resources woody plant, J. chinensis in Korea are recommended.

Antibacterial Effects of Extracts of Thuja Orientalis cv Aurea Nana Cones against Food-spoilage and Food-borne Pathogens

  • Yang, Xiao Nan;Hwang, Cher-Won;Kwon, Gi-Seok;Kang, Sun-Chul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9-465
    • /
    • 2011
  • BACKGROUND: Nowadays, Chemical antiseptics have become great problems for health and environmental, so that developing of new substitutes for chemical antiseptics is more and more important. Natural product is a kind of environment-friendly additive that could be used as antiseptic in food industry. Thuja orientalis cv Aurea Nana is a gymnospermous plant of the family Cupressaceae, native to northwestern China and widely naturalised elsewhere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potential of various organic extracts from T. orientalis cones against some food-borne and food-spoilage bacteria. METHODS AND RESULTS: Hexane extract (HE), chloroform extract (CE), ethyl acetate extract (EAE) and methanol extract (ME) were obtained from female cones of T. orientali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were tested by standard agar diffusion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against five gram-positive and six gram-negative bacteria. Cell viability and morphology change of L. monocytogenes ATCC 10943 treated with hexane extract were also observed. The various extracts displayed remarkable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all the gram-positive bacteria but did not show any effect against the gram-negative bacteria. Hexane extract has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cell viability of L. monocytogenes ATCC 10943. SEM observation also demonstrated the damaging effect of the hexane extract on the morphology of L. monocytogenes ATCC 10943 at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 tested gram-positive bacteria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organic extracts of T. orientalis cone. Hexane extract was the most potent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0943, as evidenced by the lowest MIC level and the complete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within shortest exposure time, along with SEM observation.

韓半島 松栢類의 時 . 空間的 分布域 復元 (The distribution of conifers and taxads in time and space in the Korean peninsula)

  • 공우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3
    • /
    • 1995
  •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송백류 화석은 고생대 페름기에 생육했던 Elatoeladus, Ullmannia, Walchia 등이다. 중생대에 출현했던 대부분의 송백류는 신생대에 들어서 멸종했 으나 소나무(Pinus)속은 현생하는 송백류 중 유일하게 중생대 백악기 이래 오늘날까지 계속 적으로 살아 남았다. 신생대 제3기 마이오세부터 제4기 까지 연속적으로 나타났던 송백류 가운데 오늘날 한반도에서 멸종된 송백류는 왜금송(Sciadopitys)속, 낙우송(Taxodiaceae)과, 메타세콰이어(Metasequoia)속, 삼나무(Cryptomeria)속 등이며, 이들은 제4기 후기의 기온 한 랭화에 의해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소나무(Pinus)속, 노간주나무(Juniperus)속, 전나 무(Abies)속, 가문비나무(Picea)속, 편백(Cupressaceae)과 등은 제3기 마이오세 이래 제4기 후기까지 계속 출현한다. 제4기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한반도에는 가문비나무(Piceo) 속, 소 나무(Pinus)속, 전나무(Abies)속. 이깔나무(Larix)속, 주목(Taxus)속, 찝방나무(Thuja)속 등 한랭한 기후에 적응한 송백류가 분포역을 확장했다. 제4기 홀로세 초기와 중기에 잎이 두개 인 소나무 Pinus(Diploxylon)속은 전나무(Abies)속이나 잎이 다섯개인 소나무 Pinus(Haploxylon)속과 혼생하기도 했으나, 후기로 가면서 기온 온난화를 반영하듯 잎이 두 개인 소나무 Pinus(Diploxylon)속이 우점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한반도의 송백류 중 소나 무(Pinus)속은 중생대 백악기에 출현한 이래 가장 성공적으로 환경에 적응하여 오늘날에도 가장 넓은 분포역을 차지하며 가장 많은 종을 보유하고 있다. 노간주나무(Juniperus)속은 신 생대 제3기 마이오세 이래 종의 분화와 분포역의 확장을 통해 소나무(Pinus)속 다음의 지위 를 송백류에서 차지한다. 즉, 화석의 출현 시기가 이른 송백류일수록 오늘날 넓은 분포역을 점유하고 다양한 종이 발견되었다. 가문비나무(Picea)속, 전나무(Abies)속, 이깔나무(Larix) 속, 주목(Taxus)속도 제3기 이래 한반도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송백류들이다. 반면에 개비자나무(Cephalotaxus)속, 솔송나무(Tsuga)속의 분포역은 축소되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신생대 제4기 기온 한랭화에 기인한 것으로 본다. 비자나무(Torreya)속과 향나무(Sabina)속 의 화석은 보고되지 않았다. 현생 송백류 분포역의 넓고 좁음은 과거와 오늘날의 환경 조건 과 함께 그들의 출현 시기와도 연관시켜 고려되어야 한다. 한반도 송백류에 대한 시.공간 적 분포에 대한 접근은 장차 수행될 송백류의 속별, 종별 분포역과 생태를 설명하는데 유용 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나자식물 화분의 비교형태 (Comparative Morphology of Pollen Grains from Some Korean Gymnosperms)

  • 고성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203-221
    • /
    • 1994
  • 한국산 나자식물 5과 12속 19분류군을 대상으로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화분의 형태를 비교 관찰하고 기재하였으며, 각 과별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분류학적으로 볼 때 취급된 나자식물의 화분립은 모양, 크기, 표면상태, 표면무늬, 기낭의 유무 및 돌기의 유무에 의해 뚜렷이 구분되어 속간 및 속 이하의 분류군에는 유용하였으나, Pinus속내의 종들은 본 연구에서 관찰된 화분립의 크기나 표면무늬에 의해서는 화분형질의 중복으로 인해 종분류는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소나무과내의 Picea속에 속하는 P. koraiensis의 화분립은 기낭의 형태가 불규칙하고, 몸체에 비해 기낭의 크기가 크며, 표벽이 얇기 때문에 기낭을 갖는 Pinus속과 Abies속의 분류군과는 차이점이 뚜렷하다. 또한 Abies속의 특징으로 기재된 모부의 중앙부위에서 기낭쪽으로 갈수록 표벽이 얇아진다는 점, 화분림 몸체의 표면이 비교적 굴곡이 심하지 않다는 점과 화분립의 크기가 크다는 점으로 볼 때 P. koraiensis는 기낭을 갖는 Pinus속과 Abies속 중 Abies속과 화분학적으로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투과전자현미경관찰을 통해 기낭을 갖는 화분립을 조사한 결과 근극에는 내표벽과 외표벽이 모두 존재하나, 서로 분리되어 외표벽은 기낭과 연결되고 내표벽은 원극을 이룬다. 또한 구과목의 분류군들에 있어 소나무과를 제외한 주목과, 난우송과 및 측백나무와 일부 분류군의 내표벽이 여러 층으로 구성된 관상구조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기낭을 관찰한 결과 표면무늬는 유공상이고 미세한 pit가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기낭의 표면무늬는 광학현미경상에서 망상으로 보이나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 본 결과 이는 기낭내부의 망상구조가 광학현미경하에서 투시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II)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귀화식물 -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I) - Rare, Endangered and Naturalized Plants -)

  • 김용식;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8-139
    • /
    • 1996
  •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난대상록활엽수림의 12개 지역을 대상으로 이 지역에 주로 출현하는 상록수종과 생육하고 있는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난대상록활엽수림에 70% 이상 공통적으로 고르게 출현하는 수종으로는 녹나무과의 생달나무, 후박나무 등 28과 34속 37종류로 파아고디었으묘, 이들 수종은 상록활엽수림의 복원모형을 만드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리라 판단된다. 면적 100m$^{2}$당 종수는 보길도가 5.511로 가장 높았으묘, 미조리(4.677), 맹선리(2.481) 등의 순이었다. 관찰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물푸레나무과의 이팝나무를 포함한 4종 등 총 24과 32종이었으며 보길도에서 13과12종 1변종 등 13종류로 가장 많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파악되었다. 귀화 및 도입식물의 경우 국화과는 7종, 콩과는 5종, 자리공과는 2종을 파악되었다. 이 외에 비름과, 자작나무과, 능소화과, 명아주과, 닭의장풀과, 측백나무과, 꿀풀과, 아욱과, 분꽃과, 소나무과, 마디풀과 및 낙우송과 등 12과는 각 1종씩 총 12종이 확인되었다. 보길도의 경우 낙우송과의 삼나무 등 총 9과 13속 13종으로 가장 많은 도입 또는 귀화식물이 식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격리된 소규모 도서 생태계의 합리적인 보전을 위한 관리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 PDF

설악산 국립공원 내설악지역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Na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 김용식;강기호;배준규;김종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07-414
    • /
    • 1998
  • 1997년 5월부터 8월까지 9개 조사경로에 대한 설악산국립공원 내설악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을 조사한 결과, 소나무과(1종), 주목과(1종), 측백나무과(1종 1변종), 백합과(5종 1변종), 쥐방울덩굴과(2종), 미나리아재비과(4종), 매자나무과(1종), 범의귀과(2종), 장미과(1종), 제비꽃과(2종), 두릅나무과(1종), 산형과(1종), 진달래과(3종), 물푸레나무과(2종 1변종), 가지과(1종), 현삼과(1종), 마타리과(1종), 초롱꽃과(1종), 국화과(1종) 등 19과 32종 3변종으로 총 35종류였다. 등산로 주변에서 확인된 이 식물종들은 보행자들에게 쉽게 눈에 띄기 때문에 식, 약용 등 인위적인 훼손의 우려가 많아 종 및 서식지 수준에서의 특별한 보호가 요구된다. 특히 설악눈주목, 노랑만병초, 월귤, 산마늘, 한계령풀은 개체수가 적고 생육상황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서식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설악눈주목, 노랑만병초, 월귤, 산마늘, 한계령풀은 개체수가 적고 생육상황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서식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